승탑비문 작업노트

"사명당대사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문헌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사명당대사집 |한자표기= 泗溟堂大師集 |영문명칭= |이칭=사명당집 |유형=시문집 |저자= 유정|...)
 
(관련항목)
53번째 줄: 53번째 줄:
 
|-
 
|-
 
| [[뇌묵]] || [[사명당대사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뇌묵]] || [[사명당대사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허봉]] || [[사명당대사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성일]] || [[사명당대사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성일]] || [[사명당대사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2017년 10월 1일 (일) 10:44 판

사명당대사집(泗溟堂大師集)
대표명칭 사명당대사집
한자표기 泗溟堂大師集
이칭 사명당집
유형 시문집
저자 사명대사 유정(泗溟大師 惟政)
편자 공봉산인 성일(公峰山人 性一)
시대 조선시대
수량 7권 1책
판본 목판본
판사항 재판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재판)



정의

조선 중기의 고승 사명당의 시문집.

내용

7권 1책. 목판본. ‘사명당집’이라고도 한다. 허균(許筠)이 쓴 서(序)와 뇌묵(雷默)의 발(跋)이 있다. 그 뒤 1652년(효종 3)에 성일(性一)이 재판하였다.[1]

편찬 및 발간 경위는 이렇다. 사명당의 막연한 글친구였던 허봉(許篈)은 뜻한 바가 있어서 사명당의 시를 수천 수 모았는데, 불행하게도 이리저리 흩어져 없어져 버렸다. 그 뒤 사명당의 문도(門徒) 혜구(惠球)가 스승의 시문을 세상에 남겨 빛내고자 이 문집을 엮어 1612년(광해군 4)에 간행한 것이다.[2]

임진왜란의 병화(兵火)로 대부분의 저작(著作)이 유실되고 시(詩) 100수(首), 문(文) 1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3]

7권의 내용을 보면, 권1은 사(辭)·고시(古詩), 권2는 5언율시(五言律詩), 권3은 7언율시, 권4는 5언절구(五言絶句)·7언절구, 권5는 선게(禪偈), 권6은 잡문(雜文), 권7은 명도해시(命渡海詩)·소기잡체시(所記雜體詩) 등으로 되어 있다.[4]

이 문집에는 임진왜란의 참혹상과 나라를 위해 싸웠던 의기가 서려 있으며, 참된 선을 위한 정진이 담겨져 있다. 특히 시 가운데에는 다른 승려들에게서는 보기 어려운 시풍도 엿보여 문집의 품위를 높여주고 있다.[5] 한국 불교사상의 흐름과 사명당의 생애와 사상 및 당시의 사회상을 알리는 귀중한 자료이다.[6]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명당대사집 유정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허균 사명당대사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뇌묵 사명당대사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성일 사명당대사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허봉 사명당대사집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혜구 사명당대사집 A는 B를 간행하였다 A dcterms:publisher B

주석

  1. 김위석, "사명당대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사명당대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사명당대사집", 『두산백과』online.
  4. "사명당대사집", 『두산백과』online.
  5. 김위석, "사명당대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사명당대사집",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