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1번째 줄: 1번째 줄:
 +
{{개념정보
 +
|사진= 문조(익종)어진. 국립고궁박물관 소장..jpg
 +
|사진출처=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
|대표명칭= 왕세자
 +
|한자표기= 王世子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신분
 +
|관련개념=
 +
}}
  
 +
=='''정의'''==
 +
조선시대 [[왕]]의 후계자로, 타인을 지배하기 위한 강제력과 권력의 정당화가 수반되는 통치자이다.<ref>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75쪽.</ref>
  
==관련항목==
+
=='''내용'''==
===인물 → 인물===
+
===지위와 활동===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조선시대 왕위 계승에는 두 가지 원칙이 있었다. 첫째는 적장자(嫡長子) 계승의 원칙으로 [[왕비]]가 낳은 첫째 아들이 왕이 되는 조선시대 일반적인 상속 원칙이었다. 둘째는 덕이 있는 사람이 [[왕]]이 된다는 원칙이다. 적장자에게 왕위를 계승한다는 것은 군주제도에서 큰 장점으로, 왕자들간의 다툼을 방지하고, 후계자를 미리 교육시켜 장래를 준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장자가 무력하거나, 적장자보다 둘째나 셋째 아들이 유능한 경우 정국은 늘 쿠데타의 가능성으로 불안했다. 또 [[왕비]]가 아들을 낳지 못하고 후궁들만 여러 아들이 있는 경우 이들 사이의 치열한 암투로 정치 불안이 가중되었다. [[왕]]이 아들을 보는 것은 종사가 걸린 일로, 아들을 얻기 위해 [[왕]]과 [[왕비]]는 길일을 택해 합방하고, 아들이 들어서는데 좋은 음식을 가려 먹는 등 갖가지 노력을 한다. 그 결과 임신하면 [[왕비]]는 본격적으로 태교에 들어가며, [[왕비]]의 만삭이 다가오면 예정일 서너 달 전에 [[산실청]]이 설치된다. 원자가 탄생함과 동시에 [[왕]]은 소격전(昭格殿)에 명하여 사흘간 아들의 복을 빌게 하였다. [[왕]]도 몸소 소격전을 찾아와 절을 하며 첫아들의 만복을 기원한다. 탯줄은 어머니와 조상을 이어주는 생명의 통로로 여겨져 소중히 보관된다. [[왕세자]] [[책례]]는 원자를 [[왕세자]]로 책봉한다는 임명서를 수여하는 의식으로, 조정의 [[백관]]들을 모아놓고 [[책례]]를 거행한 후 바로 종묘에 이 사실을 고하고 팔도에 알린다. [[왕세자]]는 예비 [[왕]]으로, [[왕세자]]로 있을 때에는 철저하게 자신의 주제를 지켜야 한다. [[왕세자]]가 정치에 관여하거나 인사에 개입하게 되면 바로 삼사관료들의 탄핵이 뒤따르게 된다.또한 [[왕]]은 자신의 권력에 도전하는 [[왕세자]]는 아들이 아니라 정적으로 간주하게 되서 [[왕세자]]가 대리청정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는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60125&cid=49298&categoryId=49298 왕세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임무===
| [[문효세자]] || 왕세자 || A는 B이다 ||
+
[[왕]]의 후계자로 예정된 세자의 역할은 열심히 공부하고, 아침저녁으로 부모에게 문안인사하는 것이 전부이다. 만약 이 역할에 충실하지 못하거나, 또는 자신의 주제를 넘어서면 절대권력자인 [[왕]]과 부딪치게 되고 폐세자의 위기에 직면했다.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호위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가 담당하였다. [[왕세자]]의 교육을 위해 당연직으로 영의정이 [[왕세자]]의 사(師)로, 좌의정과 우의정 중에서 한 명이 부(傅)로, 종 1품의 찬성 한 명이 이사(二師)로 임명된다. 그러나 [[왕세자]]를 실제 담당 교육하는 사람들은 보덕(輔德) 이하의 전임관료들이다. 세자시강원의 전임관료는 정3품의 보덕1명, 정4품의 필선(弼善) 1명, 정5품의 문학(文學)1명, 정6품의 사서(司書)1명, 정 7품의 설서(設書) 1명 등 5명이다. 이들은 모두 문과에 합격한 가문 좋고 실력이 뛰어난 참상관들이다. [[왕세자]] 교육에는 『소학』, 『효경』, 『논어』, 『맹자』, 『중용』, 『대학』, 『대학연의(大學衍義)』, 『상서(尙書)』, 『주역』, 『예기』, 『춘추좌전(春秋左傳)』, 『통감강목(通鑑綱目)』 등이 교재로 이용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60125&cid=49298&categoryId=49298 왕세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효장세자]] || 왕세자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 [[사도세자]] || 왕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의소세자]] || 왕세자 || A는 B이다 ||
+
| [[문효세자]] ||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장조]] || 왕세자 || A는 B이다 ||
+
| [[효명세자]] || || A는 B에 해당한다 || A dcterms:type B
 
|-
 
|-
| [[문조]] || 왕세자 || A는 B이다 ||
+
| 왕세자 || [[왕세자빈]]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진종]] || 왕세자 || A는 B이다 ||
+
| 왕세자 || [[왕세자의 대례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왕세자 || [[왕세자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신분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세자 || [[왕세자의 제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 왕세자 || [[왕세자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자 || [[왕세자의 상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왕세자 || [[왕세자의 상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자 || [[왕세자의 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왕세자 || [[왕세자의 융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자 || [[왕세자의 융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왕세자 || [[왕세자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왕세자 || [[왕세자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시간정보===
 +
===공간정보===
 +
 
 +
=='''시각자료'''==
 +
===갤러리===
 +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더 읽을거리===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신분]]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신분]]

2017년 9월 28일 (목) 21:42 판

왕세자
(王世子)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왕세자
한자표기 王世子
유형 신분



정의

조선시대 의 후계자로, 타인을 지배하기 위한 강제력과 권력의 정당화가 수반되는 통치자이다.[1]

내용

지위와 활동

조선시대 왕위 계승에는 두 가지 원칙이 있었다. 첫째는 적장자(嫡長子) 계승의 원칙으로 왕비가 낳은 첫째 아들이 왕이 되는 조선시대 일반적인 상속 원칙이었다. 둘째는 덕이 있는 사람이 이 된다는 원칙이다. 적장자에게 왕위를 계승한다는 것은 군주제도에서 큰 장점으로, 왕자들간의 다툼을 방지하고, 후계자를 미리 교육시켜 장래를 준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장자가 무력하거나, 적장자보다 둘째나 셋째 아들이 유능한 경우 정국은 늘 쿠데타의 가능성으로 불안했다. 또 왕비가 아들을 낳지 못하고 후궁들만 여러 아들이 있는 경우 이들 사이의 치열한 암투로 정치 불안이 가중되었다. 이 아들을 보는 것은 종사가 걸린 일로, 아들을 얻기 위해 왕비는 길일을 택해 합방하고, 아들이 들어서는데 좋은 음식을 가려 먹는 등 갖가지 노력을 한다. 그 결과 임신하면 왕비는 본격적으로 태교에 들어가며, 왕비의 만삭이 다가오면 예정일 서너 달 전에 산실청이 설치된다. 원자가 탄생함과 동시에 은 소격전(昭格殿)에 명하여 사흘간 아들의 복을 빌게 하였다. 도 몸소 소격전을 찾아와 절을 하며 첫아들의 만복을 기원한다. 탯줄은 어머니와 조상을 이어주는 생명의 통로로 여겨져 소중히 보관된다. 왕세자 책례는 원자를 왕세자로 책봉한다는 임명서를 수여하는 의식으로, 조정의 백관들을 모아놓고 책례를 거행한 후 바로 종묘에 이 사실을 고하고 팔도에 알린다. 왕세자는 예비 으로, 왕세자로 있을 때에는 철저하게 자신의 주제를 지켜야 한다. 왕세자가 정치에 관여하거나 인사에 개입하게 되면 바로 삼사관료들의 탄핵이 뒤따르게 된다.또한 은 자신의 권력에 도전하는 왕세자는 아들이 아니라 정적으로 간주하게 되서 왕세자가 대리청정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는다.[2]

임무

의 후계자로 예정된 세자의 역할은 열심히 공부하고, 아침저녁으로 부모에게 문안인사하는 것이 전부이다. 만약 이 역할에 충실하지 못하거나, 또는 자신의 주제를 넘어서면 절대권력자인 과 부딪치게 되고 폐세자의 위기에 직면했다.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호위는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가 담당하였다. 왕세자의 교육을 위해 당연직으로 영의정이 왕세자의 사(師)로, 좌의정과 우의정 중에서 한 명이 부(傅)로, 종 1품의 찬성 한 명이 이사(二師)로 임명된다. 그러나 왕세자를 실제 담당 교육하는 사람들은 보덕(輔德) 이하의 전임관료들이다. 세자시강원의 전임관료는 정3품의 보덕1명, 정4품의 필선(弼善) 1명, 정5품의 문학(文學)1명, 정6품의 사서(司書)1명, 정 7품의 설서(設書) 1명 등 5명이다. 이들은 모두 문과에 합격한 가문 좋고 실력이 뛰어난 참상관들이다. 왕세자 교육에는 『소학』, 『효경』, 『논어』, 『맹자』, 『중용』, 『대학』, 『대학연의(大學衍義)』, 『상서(尙書)』, 『주역』, 『예기』, 『춘추좌전(春秋左傳)』, 『통감강목(通鑑綱目)』 등이 교재로 이용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효장세자 왕세자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사도세자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문효세자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효명세자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왕세자 왕세자빈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왕세자 왕세자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왕세자의 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왕세자의 상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왕세자의 군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왕세자의 융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왕세자의 편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75쪽.
  2. "왕세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3. "왕세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1998.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