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양평 보리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19번째 줄: 19번째 줄:
  
 
=='''정의'''==
 
=='''정의'''==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있었던 보리사의 절터.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있었던 절터.
  
 
=='''내용'''==
 
=='''내용'''==
 
[[양평 보리사|양평 보리사(楊平 菩提寺)]]는 언제 누가 창건했는지 알 수 없다. [[여엄|대경국사 여엄(大鏡國師 麗嚴, 862~930)]]은 중국에서 909년([[신라 혜공왕|혜공왕]] 13)에 돌아와서 얼마 되지 않아 [[고려 태조|태조]]의 배려로 이곳에 오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를 이 절의 주지로 봉했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면 이미 신라 말기에 절이 경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413 양평 보리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양평 보리사|양평 보리사(楊平 菩提寺)]]는 언제 누가 창건했는지 알 수 없다. [[여엄|대경국사 여엄(大鏡國師 麗嚴, 862~930)]]은 중국에서 909년([[신라 혜공왕|혜공왕]] 13)에 돌아와서 얼마 되지 않아 [[고려 태조|태조]]의 배려로 이곳에 오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를 이 절의 주지로 봉했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면 이미 신라 말기에 절이 경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413 양평 보리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407년([[조선 태종|태종]] 7)기록에 의하면 [[양평 보리사|보리사]]는 조계종의 대표적인 사찰로써, 보리갑사라 불렀으며 또한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로 지정되었다는 기록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413 양평 보리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이 절에 머물렀던 [[여엄]]의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부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탑비]]가 절터에 남아 있었으나, 현재 부도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 탑비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석축과 기와 조각만 남아 있던 절터에 선운사라는 절을 새로 지으면서 그나마 남아 있던 옛 모습마저 많이 잃어버렸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94454&cid=40942&categoryId=33692 양평 보리사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조선 초기의 억불숭유(抑佛崇儒) 정책에도 불구하고 [[양평 보리사|보리사]]의 사격(寺格)은 [[자복사찰|자복사]]로 지정될 만큼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그로부터 120여 년 뒤인 1530년([[조선 중종|중종]] 25)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도 기록이 남아 있는 것을 보아 이때까지도 사찰이 건재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 이후의 연혁은 알 수 없다. 그러나 지리적 요충지임을 고려하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는 동안 절이 무너졌을 가능성이 높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413 양평 보리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799년([[조선 정조|정조]] 23)에 편찬된 『[[범우고|범우고(梵宇攷)]]』에는 이미 폐사되었다고 나와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93 보리사]"<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현재 절터에는 석축과 기와 조각, 도자기 조각이 산재해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93 보리사]"<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57번째 줄: 5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413 양평 보리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42413 양평 보리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93 보리사]"<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3293 보리사]"<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2017년 9월 24일 (일) 18:41 판

양평 보리사지
(楊平 菩提寺址)
대표명칭 양평 보리사지
한자 楊平 菩提寺址
주소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정의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있었던 절터.

내용

양평 보리사(楊平 菩提寺)는 언제 누가 창건했는지 알 수 없다. 대경국사 여엄(大鏡國師 麗嚴, 862~930)은 중국에서 909년(혜공왕 13)에 돌아와서 얼마 되지 않아 태조의 배려로 이곳에 오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를 이 절의 주지로 봉했다.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면 이미 신라 말기에 절이 경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1]

이 절에 머물렀던 여엄부도탑비가 절터에 남아 있었으나, 현재 부도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에, 탑비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석축과 기와 조각만 남아 있던 절터에 선운사라는 절을 새로 지으면서 그나마 남아 있던 옛 모습마저 많이 잃어버렸다.[2]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양평 보리사지 양평 보리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여엄 A는 B를 위한 탑이다 A ekc:isStupaOf B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여엄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주석

  1. "양평 보리사지", 『두산백과』online.
  2. "양평 보리사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 "양평 보리사지", 『두산백과』online.
  • 이정, "보리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