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부여 보광사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2번째 줄: 2번째 줄:
 
|사진=  
 
|사진=  
 
|대표명칭=부여 보광사지
 
|대표명칭=부여 보광사지
|영문=  
+
|영문=Bogwangsa Temple Site, Buyeo
 
|한자=扶餘 普光寺址
 
|한자=扶餘 普光寺址
 
|이칭=
 
|이칭=
15번째 줄: 15번째 줄:
 
|건립시기=  
 
|건립시기=  
 
|창건자=  
 
|창건자=  
|경내문화재=[[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경내문화재=
|필드수=10
 
 
}}
 
}}
  
 
=='''정의'''==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있는 절터.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있는 절터.
 
  
 
=='''내용'''==
 
=='''내용'''==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가신초등학교 보광분교 앞의 계곡에서 1.5㎞쯤 들어간 곳에 있다.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가신초등학교 보광분교 앞의 계곡에서 1.5㎞쯤 들어간 곳에 있다. 주변에는 다량의 기와조각과 석탑의 부재로 쓰였던 돌이 남아있다. 이곳에서 연주문(連珠文) 내에 범자(梵字)를 조각한 와당이 수습되기도 하였다.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대보광선사비(大普光禪師碑)]]의 비문에 의하면 [[부여 보광사|보광사]]는 1336년([[고려 충숙왕|충숙왕]] 5) [[충감|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이 이곳에 와서 크게 일으켰다고 전하는데, 당시의 건물이 500여 칸으로 규모가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ref>서오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404 부여보광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한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대보광선사비]]의 뒷면에 새겨진 비문에 의하면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자 1750년([[조선 영조|영조]] 26)에 승려들이 비문을 다시 새겼다고 전하고 있어, 적어도 [[부여 보광사|보광사]]가 임진왜란 무렵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보인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980000,34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주변에는 다량의 기와조각과 석탑의 부재로 쓰였던 돌이 남아있다. 이곳에서 연주문(連珠文) 내에 범자(梵字)를 조각한 와당이 수습되기도 하였다.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대보광선사비]]의 비문에 의하면 보광사는 1336년([[고려 충숙왕|충숙왕]] 5) 원명국사가 이곳에 와서 크게 일으켰다고 전하는데, 당시의 건물이 500여 칸으로 규모가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ref>서오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4404 부여보광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또 다른 비문에 의하면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자 1750년([[조선 영조|영조]] 26)에 승려들이 비문을 새겼다고 전하고 있어, 적어도 보광사가 임진왜란 무렵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980000,34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또한 비문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보광사는 1300년 무렵부터 있었고 건물이 500여 칸에 이르는 큰 절이었으며, 출토된 유물의 분포로 보아 면적은 14,928㎡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0065 부여 보광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출토된 유물의 분포로 보아 [[부여 보광사|보광사]]의 면적은 14,928㎡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0065 부여 보광사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절터 주변에서 고려시대의 석등, 석탑의 몸체와 지붕부분, 받침대 모양의 간석, 석조, 막새기와들이 출토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이 논으로 개간되어 있어 사지의 확인이 어렵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980000,34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절터 주변에서 고려시대의 석등, 석탑의 몸체와 지붕부분, 받침대 모양의 간석, 석조, 막새기와들이 출토되었으며, 비문은 부여박물관에 옮겨 보관하고 있다. 현재는 대부분이 논으로 개간되어 있어 사지의 확인이 어렵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3,00980000,34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부여 보광사|보광사]]를 중창한 후 세웠던 중창비(重創碑)와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대보광선사비]]가 이곳에서 발견되었는데 현재는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중이다.
  
 
===관련문화유산===
 
===관련문화유산===

2017년 9월 24일 (일) 18:21 판

부여 보광사지
(扶餘 普光寺址)
대표명칭 부여 보광사지
한자 扶餘 普光寺址
주소 충남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618-1번지 외 19필지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제98호
문화재 지정일 1995년 10월 7일
관리자 부여군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 있는 절터.

내용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 가신초등학교 보광분교 앞의 계곡에서 1.5㎞쯤 들어간 곳에 있다. 주변에는 다량의 기와조각과 석탑의 부재로 쓰였던 돌이 남아있다. 이곳에서 연주문(連珠文) 내에 범자(梵字)를 조각한 와당이 수습되기도 하였다. 대보광선사비(大普光禪師碑)의 비문에 의하면 보광사는 1336년(충숙왕 5) 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이 이곳에 와서 크게 일으켰다고 전하는데, 당시의 건물이 500여 칸으로 규모가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1] 또한 대보광선사비의 뒷면에 새겨진 비문에 의하면 임진왜란으로 절이 소실되자 1750년(영조 26)에 승려들이 비문을 다시 새겼다고 전하고 있어, 적어도 보광사가 임진왜란 무렵까지는 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보인다.[2]

출토된 유물의 분포로 보아 보광사의 면적은 14,928㎡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절터 주변에서 고려시대의 석등, 석탑의 몸체와 지붕부분, 받침대 모양의 간석, 석조, 막새기와들이 출토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이 논으로 개간되어 있어 사지의 확인이 어렵다.[4]

보광사를 중창한 후 세웠던 중창비(重創碑)와 대보광선사비가 이곳에서 발견되었는데 현재는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중이다.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부여 보광사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충감 부여 보광사지 A는 B를 중창하였다 A ekc:renovator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36년 충감부여 보광사지를 중창하였다
1995년 부여 보광사지가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시각자료

주석

  1. 서오선, "부여보광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부여 보광사지", 『두산백과』online.
  4.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참고문헌

  • 서오선, "부여보광사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 "부여보광사지",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