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직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5번째 줄: | 85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0224 직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김양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538 직지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9월 21일 (목) 22:59 판
김천 직지사 (金泉 直指寺) |
|
대표명칭 | 김천 직지사 |
---|---|
한자 | 金泉 直指寺 |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건립시기 | 418년 |
창건자 | 아도(阿道) |
경내문화재 | 김천 직지사 대웅전,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김천 직지사 석조나한좌상, 김천 직지사 대웅전 앞 삼층석탑, 김천 직지사 비로전 앞 삼층석탑,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
|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에 있는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이다.
내용
418년(눌지왕 2) 아도(阿道)가 창건했다고 한다.[1]
직지사라고 한 데는 세 가지 설이 있다. 아도가 도리사(桃李寺)를 창건하고 황악산(黃嶽山)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쪽에 큰 절이 설 자리가 있다’고 하여 '직지사(直指寺)'로 불렸다는 설과, 고려 초기에 능여(能如)가 절을 중창할 때 절터를 측량하기 위해 자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손으로 측량하여 지었기 때문에 직지사라고 하였다는 설, 선종(禪宗)의 교리를 단적으로 표현하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에서 유래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2]
창건 이후 645년(선덕여왕 14)에 자장(慈藏)이 중창하고, 930년(경순왕 4)에 천묵(天默)이 중수하였으며, 936년(태조 19)에 능여가 태조의 도움을 받아 크게 중창하였다.[3]
조선시대에는 학조(學祖)가 주지로 있었고, 유정(惟政)이 여기서 승려가 되었다.[4]
1399년(정종 1)의 중건과 1488년(성종 19) 학조(學祖)의 중수가 있었으며, 1596년(선조 29) 왜병들이 불을 질러 43동의 건물 가운데 천불전(千佛殿)·천왕문(天王門)·자하문(紫霞門)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타 버렸다. 이때 법당 앞에 있던 대형 오층목탑도 함께 소실되었다.[5]
그 뒤 1602년부터 70여 년에 걸쳐 절을 중건하였는데, 1681년(숙종 7)에 조종저(趙宗著)가 쓴 사적기에 의하면, 당시의 규모가 8전(殿)·3각(閣)·12당(堂)·3장(藏)·4문(門)에 정실(正室)만 352칸에 달했으며, 부속 암자는 26개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1805년(순조 5) 이후부터 사세(寺勢)가 차츰 기울기 시작하여 퇴락을 거듭하게 되었다.[6]
현대에 이르러 대대적인 중건에 착수하여 1966년부터 1981년 10월까지 10동의 건물을 중건하고 10동을 이건했으며, 9동을 중수하였다.[7]
경내에는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319), 대웅전 앞 삼층석탑(보물 606), 비로전 앞 삼층석탑(보물 607), 대웅전 삼존불탱화(보물 670), 청풍료 앞 삼층석탑(보물 1186) 등의 문화재가 있다.[8]
관련 문화재
- 김천 직지사 대웅전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 김천 직지사 석조나한좌상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앞 삼층석탑
- 김천 직지사 비로전 앞 삼층석탑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천 직지사 | 아도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김천 직지사 대웅전 | 김천 직지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 김천 직지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 | 김천 직지사 대웅전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천 직지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김천 직지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천 직지사 석조나한좌상 | 직지성보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천 직지사 대웅전 앞 삼층석탑 | 김천 직지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천 직지사 비로전 앞 삼층석탑 | 김천 직지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 김천 직지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 | 구미 강락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시각자료
영상
- cby9338, "2012김천 천년의미소(김천직지사)", YouTube, 게시일: 2013년 5월 24일.
주석
- ↑ 김양순, "직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양순, "직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양순, "직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직지사",
『두산백과』online . - ↑ 김양순, "직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양순, "직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양순, "직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직지사",
『두산백과』online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