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장의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659년(무열왕 6)에 황산벌(黃山伐) 싸움에서 전사한 신라의 장춘랑(長春郎)과 파벌구(罷伐九)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창건하였다.<ref>김상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750 장의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고려시대 1027년([[고려 현종|현종]] 18)에는 장의사와 인근 사찰에서 당시의 금령을 어기고 술을 주조하여 처벌되기도 했지만, 예종, 인종, 의종 등 역대 왕들이 절에 행차하는 등 높은 위상을 가졌다.<ref>김용태,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372 장의사(藏義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정비(正妃)인 신의왕후(神懿王后)의 기신제(忌晨祭)를 이 절에서 지냈기 때문에 그 뒤로 왕실의 비호를 받아 사세를 떨치게 되었다. 태종의 첫 기재가 장의사에서 설행되었으며, 세종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초재(初齋) 또한 장의사에서 열렸다. 1424년(세종 6) 세종은 기존의 7개 종단을 선·교 양종으로 나누고 각각 18개씩 36개 사찰만 공인하였는데, 이때 장의사는 교종 18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세조는 왕비와 함께 장의사에서 법회를 열었고, 성종대에도 왕실의 기재를 장의사에서 설행한 사례가 종종 보이며 홍문관 관원들의 독서당(讀書堂)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ref>김용태,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372 장의사(藏義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2017년 9월 21일 (목) 15:19 판
서울 장의사 (서울 藏義寺) |
|
대표명칭 | 서울 장의사 |
---|---|
한자 | 서울 藏義寺 |
이칭 | 장의사(莊義寺)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영동 |
|
정의
서울 종로구 신영동 세검정초등학교 자리에 있었던 사찰.
내용
659년(무열왕 6)에 황산벌(黃山伐) 싸움에서 전사한 신라의 장춘랑(長春郎)과 파벌구(罷伐九)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창건하였다.[1] 고려시대 1027년(현종 18)에는 장의사와 인근 사찰에서 당시의 금령을 어기고 술을 주조하여 처벌되기도 했지만, 예종, 인종, 의종 등 역대 왕들이 절에 행차하는 등 높은 위상을 가졌다.[2] 조선시대에는 태조가 정비(正妃)인 신의왕후(神懿王后)의 기신제(忌晨祭)를 이 절에서 지냈기 때문에 그 뒤로 왕실의 비호를 받아 사세를 떨치게 되었다. 태종의 첫 기재가 장의사에서 설행되었으며, 세종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초재(初齋) 또한 장의사에서 열렸다. 1424년(세종 6) 세종은 기존의 7개 종단을 선·교 양종으로 나누고 각각 18개씩 36개 사찰만 공인하였는데, 이때 장의사는 교종 18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세조는 왕비와 함께 장의사에서 법회를 열었고, 성종대에도 왕실의 기재를 장의사에서 설행한 사례가 종종 보이며 홍문관 관원들의 독서당(讀書堂)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찬유 | 서울 장의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탄문 | 서울 장의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삼십육사 | 서울 장의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서울 장의사 | 황산벌싸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서울 장의사지 | 서울 장의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서울 장의사지 당간지주 | 서울 장의사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각자료
주석
- ↑ 김상현, "장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용태, "장의사(藏義寺)",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용태, "장의사(藏義寺)",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