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작품명= 삼별초의 대몽항전 |작가= 김서봉 |제작연도...)
 
8번째 줄: 8번째 줄: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필드수=8
 
|필드수=8
 
}}
 
}}
16번째 줄: 16번째 줄:
  
 
=='''내용'''==
 
=='''내용'''==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쌍영총]]은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영총]]이란 이름은 전실(前室)과 현실 사이에 있는 두 개의 팔각기둥에서 비롯됐다.  이 무덤의 주인의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양식을 따서 [[쌍영총]]이라 불리고 있는 것이다.
 
  
어린아이의 도움을 받아 노인이 그리고 있는 그림은 실제 쌍영총 동벽에 그려져 있는 승려 등 9명의 공양행렬도로 추정된다. 여기에 표현된 인물은 맨 앞에서 병을 머리에 이고 가는 시종에서부터 승려, 귀족 여인 등 다양한데 신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 승려와 귀족 여인은 화려한 색감의 의복에 커다란 형태이며, 시종들은 어린아이보다도 작은 크기이다. 이는 고대미술의 특징인 위계적 표현을 잘 보여준다.<br/>
 
이처럼 위 그림은 실제 [[쌍영총]]의 벽화를 충실히 재현해 놓았는데, 먹을 사용한 가느다란 붓터치로 고분 벽화를 연상시키는 섬세하고 고운 느낌을 전달하여 높은 완성도를 보인다.<br/>   
 
앞방과 뒷방의 천장 고임부에는 도리, 들보, 활개와 함께 이를 장식한 구름무늬와 당초무늬가 그려져 있다. 그림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천장에는 커다란 연꽃이 그려져 있는데, 통상적으로 군자 또는 불교의 상징으로 여겨지나 민간에서는 다산(多産)과 행복을 의미했다고 한다.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예술 소재 작품
+
고려 전쟁 소재 작품
 
<gallery>
 
<gallery>
파일:김창락-반구대암각도-1978s.jpg|[[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화]]
+
파일:이인영-안융진담판(서희)-1976s.jpg|[[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파일:문학진-고려청자-1977s.jpg|[[문학진-고려청자]]
+
파일:이용환-귀주대첩(강감찬)-1975s.jpg|[[이용환-귀주대첩]]
</gallery>
+
파일:안재후-여진정벌(윤관)-1975s.jpg|[[안재후-여진정벌]]</gallery>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고구려 소재 작품
+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gallery>
+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파일:이종상-후연정벌(광개토대왕)-1975s.jpg|[[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파일:박각순-살수대첩(을지문덕)-1975s.jpg|[[박각순-살수대첩]]
 
파일:박창돈-안시성싸움(양만춘)-1975s.jpg|[[박창돈-안시성싸움]]
 
파일:정영렬-사수싸움(연개소문)-1976s.jpg|[[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gallery>
 
</gallery>
  
48번째 줄: 40번째 줄: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이종상]]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김서봉]]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쌍영총]]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삼별초]]
 
|}
 
|}
  
59번째 줄: 51번째 줄: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
|{{PAGENAME}}||제작연도|| 1977년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
 +
|{{PAGENAME}}||[[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대여기간 || 1991.11.30~1992.11.29
 
|}
 
|}
  
66번째 줄: 60번째 줄: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
|{{PAGENAME}}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37.391577|| 127.056918
+
|{{PAGENAME}}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37.423111|| 126.973591
 
|}
 
|}
  

2017년 2월 8일 (수) 20:38 판


삼별초의 대몽항전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작가 김서봉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개요

김서봉-삼별초대몽항쟁-1975s.jpg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내용

관련 민족기록화

고려 전쟁 소재 작품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파일:문학진-쌍성수복(유인우)-1975s.jpg|문학진-쌍성수복 파일: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gallery>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에 의해 그려지다 김서봉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을 소재로 삼다 삼별초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제작연도 1975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대여기간 1991.11.30~1992.11.29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소장처 국가공무원 인재개발원 37.423111 126.973591

참고문헌

  • "쌍영총", 고고학사전,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학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2월 7일 확인)
  • "쌍영총:안간천정벽화",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길상 이미지),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2017년 2월 7일 확인)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