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유형= | |유형= | ||
}} | }} | ||
− | |||
=='''정의'''== | =='''정의'''== | ||
조선 중기의 문신. | 조선 중기의 문신. | ||
+ | =='''내용'''== | ||
+ | ===가계=== | ||
+ | 오준(吳竣)은 오극권(吳克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옹원직장(司饔院直長) 오세현(吳世賢)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 오백령(吳百齡)이며, 어머니는 증참의(贈參議) 고경룡(高慶龍)의 딸이다.<ref>정하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545 오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활동=== |
+ | 오준은 문장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써서 왕가의 길흉책문(吉凶冊文)과 [[서울 삼전도비|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비롯한 수많은 공사(公私)의 비명을 썼다. 특히 [[왕희지체|왕희지체(王羲之體)]]를 따라 단아한 모양의 [[해서]]를 잘 썼다. 1650년([[조선 효종|효종]] 1)에는 예조판서로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가 되어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ref>정하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545 오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저술 및 작품=== | ||
+ | 오준의 저서로는 시문집인 『죽남당집』이 있다. 글씨로는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 [[고성 유점사 송월당대사비]], [[서울 삼전도비]], [[인평대군묘및신도비]], [[대동법시행기념비]]와 일본 닛코사(日光寺)에 있는 일광산조선등로명(日光山朝鮮燈爐銘)에 그의 글씨가 전한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8544&cid=40942&categoryId=33383 오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57번째 줄: | 62번째 줄: | ||
| [[대동법시행기념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대동법시행기념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64번째 줄: | 6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정하명,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545 오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8544&cid=40942&categoryId=33383 오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인물]] | [[분류:인물]] | ||
[[분류:조선]] | [[분류:조선]]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9월 18일 (월) 00:09 판
오준(吳竣) | |
대표명칭 | 오준 |
---|---|
한자표기 | 吳竣 |
생몰년 | 1587(선조 20)-1666(현종 7) |
본관 | 동복(同福) |
호 | 죽남(竹南) |
자 | 여완(汝完) |
시대 | 조선 |
부 | 오백령(吳百齡) |
모 | 증참의(贈參議) 고경룡(高慶龍)의 딸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가계
오준(吳竣)은 오극권(吳克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옹원직장(司饔院直長) 오세현(吳世賢)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 오백령(吳百齡)이며, 어머니는 증참의(贈參議) 고경룡(高慶龍)의 딸이다.[1]
활동
오준은 문장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써서 왕가의 길흉책문(吉凶冊文)과 삼전도비(三田渡碑)의 비문을 비롯한 수많은 공사(公私)의 비명을 썼다. 특히 왕희지체(王羲之體)를 따라 단아한 모양의 해서를 잘 썼다. 1650년(효종 1)에는 예조판서로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가 되어 『인조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2]
저술 및 작품
오준의 저서로는 시문집인 『죽남당집』이 있다. 글씨로는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 고성 유점사 송월당대사비, 서울 삼전도비, 인평대군묘및신도비, 대동법시행기념비와 일본 닛코사(日光寺)에 있는 일광산조선등로명(日光山朝鮮燈爐銘)에 그의 글씨가 전한다.[3]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구례 화엄사 벽암대선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금강 표훈사 허백당대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고성 유점사 송월당대사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서울 삼전도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인평대군묘및신도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대동법시행기념비 | 오준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주석
- ↑ 정하명, "오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하명, "오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오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