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16번째 줄: 16번째 줄:
  
 
=='''내용'''==
 
=='''내용'''==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쌍영총]]은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영총]]이란 이름은 전실(前室)과 현실 사이에 있는 두 개의 팔각기둥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이 무덤의 주인의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다만 부부가 함께 앉아있는 모습이 화려한 물감으로 아름답게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쌍영총]]은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영총]]이란 이름은 전실(前室)과 현실 사이에 있는 두 개의 팔각기둥에서 비롯됐다.  이 무덤의 주인의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
 
 +
어린아이의 도움을 받아 노인이 그리고 있는 그림은 실제 쌍영총 동벽에 그려져 있는 승려 등 9명의 공양행렬도로 추정된다. 여기에 표현된 인물은 신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묘사되어 고대미술의 특징인 위계적 표현을 잘 보여주며, 의복에서도 신분의 차이를 잘 나타내고 있다.
 +
앞방과 뒷방의 천장 고임부에는 도리, 들보, 활개와 함께 이를 장식한 구름무늬와 당초무늬가 그려져 있다. 그림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천장에는 커다란 연꽃이 그려져 있는데, 통상적으로 군자 또는 불교의 상징으로 여겨지나 민간에서는 다산(多産)과 행복을 의미했다고 한다.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2017년 2월 7일 (화) 16:32 판


고구려 고분 벽화
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
작가 이종상
제작연도 1977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예술
분류 수묵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개요

이종상-쌍영총고분벽화-1977s.jpg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내용

5세기 후반 고구려시대의 대표적 벽화고분인 쌍영총의 현실(玄室) 벽에 행렬도를 그리고 있는 고구려 화가들의 활동상을 그린 작품이다. 쌍영총은 평안남도 남포시 용강군 용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영총이란 이름은 전실(前室)과 현실 사이에 있는 두 개의 팔각기둥에서 비롯됐다. 이 무덤의 주인의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어린아이의 도움을 받아 노인이 그리고 있는 그림은 실제 쌍영총 동벽에 그려져 있는 승려 등 9명의 공양행렬도로 추정된다. 여기에 표현된 인물은 신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묘사되어 고대미술의 특징인 위계적 표현을 잘 보여주며, 의복에서도 신분의 차이를 잘 나타내고 있다. 앞방과 뒷방의 천장 고임부에는 도리, 들보, 활개와 함께 이를 장식한 구름무늬와 당초무늬가 그려져 있다. 그림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천장에는 커다란 연꽃이 그려져 있는데, 통상적으로 군자 또는 불교의 상징으로 여겨지나 민간에서는 다산(多産)과 행복을 의미했다고 한다.

관련 민족기록화

예술 소재 작품

고구려 소재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에 의해 그려지다 이종상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을 소재로 삼다 쌍영총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제작연도 1977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37.391577 127.056918

참고문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