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문정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장소정보1 |사진= 궁중기록화 장소 창경궁 문정전 궁중기록화.jpg |사진출처= 궁중기록화팀 |대표명칭= 창경궁 문정전 |한자표기= 昌慶宮...)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효종]] || A는 B의 혼전이다 || |
|- | |- | ||
− | | | +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인현왕후]] || A는 B의 혼전이다 || |
|- | |- | ||
− | | | +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경종]] || A는 B의 혼전이다 || |
|- | |- | ||
− | | | +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선의왕후]] || A는 B의 혼전이다 || |
|- | |- | ||
− | | [[창경궁 휘녕전]] || | + | | [[창경궁 휘녕전]]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A는 B의 혼전이다 || |
|} | |} | ||
2017년 9월 14일 (목) 20:26 판
목차
정의
창경궁에 있는 전각으로, 왕이 백관들을 만나 업무 보고를 받고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던 집무실인 편전(便殿)이다.[1]
내용
역사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광해군 때 재건하면서 창건 당시 규모와 제도대로 공사를 진행하던 중 왕으로부터 창덕궁 명정전과 같이 동쪽을 향하게 하고 격을 높이라고 지시했다가 반년의 논란 끝에 원래대로 재건했다고 한다. 광해군 때 재건된 전각이 일제 강점기까지 전해 왔으나 언제인지 모르게 헐어버려 1986년 발굴 조사와 문헌 고증을 통해 재건하였다.[2]
현재
창경궁 문정전이 왕실 가족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으로 쓰인 경우도 있으니, 영조의 첫째 왕비인 정성왕후와 철종의 비인 철인왕후의 혼전으로 사용되었다.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라고 명하고 서인으로 폐한 곳이기도 하다. 그 후 뒤주는 창경궁 홍화문 남쪽에 있는 창경궁 선인문 안뜰로 옮겨졌고, 사도세자는 8일 동안 굶주림과 더위에 신음하다가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3] 창경궁 휘녕전(昌慶宮 徽寧殿)이 문정전의 옛이름이라고 알려져 있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효종 | A는 B의 혼전이다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인현왕후 | A는 B의 혼전이다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경종 | A는 B의 혼전이다 |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선의왕후 | A는 B의 혼전이다 | |
창경궁 휘녕전 | 창경궁 문정전(昌慶宮 文政殿) | A는 B의 혼전이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659년 10월 29일 | 효종의 신주를 창경궁 문정전에 봉안하였다 |
1701년 12월 09일 | 인현왕후의 신주를 창경궁 문정전에 봉안하였다 |
1724년 12월 17일 | 경종의 신주를 창경궁 문정전에 봉안하였다 |
1730년 10월 20일 | 선의왕후의 신주를 창경궁 문정전에 봉안하였다 |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1, 81쪽.
-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1, 81쪽.
-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1, 66쪽.
- ↑ 한국민족대백과 창덕궁 문정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공준원, 『오궁과 도성』, 세계문예, 2009.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1.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