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영롱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번째 줄: | 3번째 줄: |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은영롱시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은영롱시_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_규장각.png |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은영롱시 |
|한자표기= 銀玲瓏匙 | |한자표기= 銀玲瓏匙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은영롱시(銀玲瓏匙) || [[동뢰|동뢰(同牢)]]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 | + | | 은영롱시(銀玲瓏匙)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은영롱시(銀玲瓏匙)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은영롱시(銀玲瓏匙) || [[사옹원|사옹원(司饔院)]]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2017년 9월 14일 (목) 20:12 판
은영롱시(銀玲瓏匙) | |
대표명칭 | 은영롱시 |
---|---|
한자표기 | 銀玲瓏匙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가례(嘉禮)-혼례(婚禮)에 사용 |
관련단체 | 사옹원(司饔院) |
정의
자루 끝 부분에 구슬 장식이 달린 은 숟가락이다.
내용
가례(嘉禮)의 동뢰(同牢)에서 음식을 덜어 올릴 때 사용되었다.
사옹원(司饔院)에서 제작과 공급을 담당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은영롱시(銀玲瓏匙) | 동뢰(同牢)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은영롱시(銀玲瓏匙)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은영롱시(銀玲瓏匙)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은영롱시(銀玲瓏匙) | 사옹원(司饔院)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박봉주, "은영롱시(銀玲瓏匙)",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이정민, "은령롱시(銀玲瓏匙)",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은령롱시(銀玲瓏匙)",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