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밝히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논문)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참고자료 제시 대상'''==
+
=='''5월 11일 교수님 제안사항'''==
 +
* <font color="crimson"><b>작성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최종 작성일만 기술하고, 최종확인 날짜는 삭제</b></font>
 +
* <font color="crimson"><b>online 표시를 틀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고민 중.</b></font>
  
===Wikipedia와 위키백과===
+
=='''4월 4일 교수님 제안사항'''==
<span style="color:green"><small>현재 Wikipedia나 위키백과에서는 정해진 방식이 없음. 하나의 기사 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면 된다는 방침.<br/>
+
* <font color="crimson"><b>현재 정해진 표기 방식이 완전한 정답은 아님.</b></font>
일단 대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구성임.</small></span>
+
* <font color="crimson"><b>실제 기사 작성 중 발견되는 새로운 사례 수집 -> 출처 표시 방식 재검토 및 확정 -> 전체 기사에 적용해서 최종 수정하는 절차가 필요함.</b></font>
 +
* <font color="crimson"><b>일단 정해진 내용을 공유하고, 기사 작성에 활용하되, 수정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의견 및 사례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것.</b></font> - ''이 기사의 "토론" 기능을 활용합시다!''
 +
 
 +
 
 +
*기존에 제안된 "OOO에서 인용"라는 표현은 아예 사용하지 말 것.
 +
*참고자료의 표현을 그대로 사용한 것, 발췌/수정한 것, 요약한 것 등의 경우를 구분하지 말 것. <font color="crimson">기사 작성에 활용한 정보의 출처를 밝히는 것이 요점.</font>
 +
*온라인 자료를 참고한 경우, 온라인 DB 또는 웹사이트의 명칭 앞뒤에 '''<nowiki><html><online style="color:purple">『00000』<sup>online</sup></online></html></nowiki>'''와 같이 태깅을 함으로써, 매체 형식의 속성을 기술할 것.
 +
**위와 같이 태깅할 경우 다음의 예와 같이 출력됨.
 +
**예: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603 정창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del>*온라인 자료를 확인한 날짜는 <font color="green">"최종확인: OOOO년 OO월 OO일."</font>의 형태로 쓸 것.</del>
 +
*단, 온라인 자료 중 작성날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경우, <font color="green">작성날짜</font>를 반드시 밝힐 것. 이 경우 확인날짜는 생략 가능.
 +
**예: 온라인 신문/잡지 기사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486853.html 나주 경략 주역은 왕건 아닌 궁예]", 『한겨레』, 작성일: 2011년 7월 11일.
 +
**민백의 경우, 일부 기사는 맨 아래 쪽에 "콘텐츠 이력"이 기록되어 있음. 이 경우 최종 수정일을 확인하여 작성날짜로 표기할 것.<br/>"[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1134 박정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07월 25일.
 +
 
 +
===1) 온라인 자료의 기본 인용 방식===
 +
*<font color="green"><b>(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DB 또는 웹사이트명, 기관명, 작성일.</b></font>
 +
**예: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603 정창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하이퍼링크 연결할 URL은 실제 확인한 출처에 따라 쓸 것.
 +
**예:민백 기사를 민백 사이트에서 확인한 경우.<br/>"[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잡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예:민백 기사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확인한 경우.<br/>"[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8048&cid=46620&categoryId=46620 잡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2) 오프라인 자료의 온라인 자료를 확인한 경우===
 +
*기존의 오프라인 자료 출처 표시 방식대로 쓴 후, 온라인 자료의 출처 표시 추가.
 +
*<font color="green"><b>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온라인 참조: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DB 또는 웹사이트명, 기관명. 작성일.</b></font>
 +
**예: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3909&cid=50292&categoryId=50292 입실]", 용어해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3) 온라인 자료를 원소스가 아닌 다른 온라인 자료로 확인한 경우===
 +
*예를 들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문화콘텐츠닷컴』 콘텐츠는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도 확인됨.
 +
*『문화콘텐츠닷컴』 웹사이트로 바로 연결되는 URL을 사용할 경우, 위의 "1) 온라인 자료의 기본 인용 방식"을 사용하면 되지만, 네이버지식백과로 연결되는 URL이라면 다음과 같이 표기.
 +
*"민영환 집 터", 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583&cid=49352&categoryId=49352 민영환 집 터]",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우리 기사의 인용 표시 방법 제시하기===
 +
* 틀을 사용해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 고민 중.
 +
 
 +
=='''출처 표기 방식 (20170511 업데이트 버전)'''==
 +
 
 +
*오프라인 자료(사료, 단행본, 논문 등)의 각주 표기 방식은 [http://www.aks.ac.kr/univ/contentsInfo.do?menu_no=173 한국학대학원 학위논문 작성법]을 따랐습니다.
 +
*출처 표기에 사용되는 특수 기호는 <font color="green"><b>"ㄴ"+"한자" 키를 누른 후 입력 창이 뜨면 탭을 눌러 확장해서 선택</b></font>하는 방식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width=20%|기호 || 사용처 || 예시
 +
|-
 +
| '''「 」''' || 논문제목 || rowspan="4"| 정상균, 「이황의 《도산십이곡》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제14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04.
 +
|-
 +
| '''『 』''' || 서명, 잡지/신문명, 웹사이트명
 +
|-
 +
| '''〈 〉''' || 서명 혹은 논문제목 내에 편명/논문명이 언급된 경우<br/><font color="crimson">태그 표시하는 < > 와 다른 기호이니 주의!</font>
 +
|-
 +
| '''《 》''' || 서명 혹은 논문제목 내에 다른 서명/작품명이 언급된 경우
 +
|}
 +
 
 +
===사료===
 +
*『三國史記』 新羅本紀 文武王 2년 6월조.
 +
*『正祖實錄』 9년(1785) 4월 戊子(또는 일자): 「掌令柳河源上疏」.
 +
*『高麗史』 世家 靖宗 3년 3월 甲戌.
 +
*『高麗史』 志(1) 天文(1) 穆宗 12년 2월 己丑.
 +
*『論語』 學而篇.
 +
 
 +
===저서===
 +
<font color="green"><b>
 +
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br/>
 +
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쪽 번호.<br/>
 +
저자, "장(章)",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쪽 번호.<br/>
 +
저자, 역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쪽 번호.
 +
</b></font>
 +
 
 +
*안대회, 『정조의 비밀편지』, 문학동네, 2010.
 +
*방학봉, 『중국을 뒤흔든 우리 선조 이야기』, 일송북, 2004, 255쪽.
 +
*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34쪽.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
*피터 K.볼, 심의용 역,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사문을 통해 본 당송 시대 지성사의 대변화』, 북스토리, 2008, 104쪽.
 +
 
 +
===논문===
 +
<font color="green"><b>
 +
저자, 「논문제목」, 『잡지명』, 권수, 호수, 학회명, 출판연도.<br/>
 +
저자, 「논문제목」, 『잡지명』, 권수, 호수, 학회명, 출판연도, 쪽 번호.
 +
</b></font>
 +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7쪽.
 +
*이덕진, 「新羅末 桐裏山門에 대한 연구」, 『한국선학』 제2권, 한국선학회, 2002, 199-246쪽.
 +
*정상균, 「이황의 《도산십이곡》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제14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04.
 +
 
 +
===웹사이트===
 +
<font color="green"><b>
 +
(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nowiki><html><online style="color:purple">『DB 또는 웹사이트 이름』<sup>online</sup></online></html></nowiki>, 기관명.
 +
</b></font>
 +
 
 +
*『[http://db.itkc.or.kr/DCH/index.jsp 이체자 정보검색]』<html><online style="color:purple"><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
<font color="green"><b>
 +
(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nowiki><html><online style="color:purple">『DB 또는 웹사이트 이름』<sup>online</sup></online></html></nowiki>, 기관명, 작성일.<br/>
 +
</b></font>
 +
 
 +
*"[http://www.daarts.or.kr/handle/11080/19603 정창섭]",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예술자료원.
 +
*"민영환 집 터", 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 』<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583&cid=49352&categoryId=49352 민영환 집 터]",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22 잡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문, 잡지===
 +
<font color="green"><b>
 +
(필자,) "기사명", 『신문(잡지)명』, 작성일: 0000년 00월 00일.
 +
</b></font>
 +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486853.html 나주 경략 주역은 왕건 아닌 궁예]", 『한겨레』, 2011년 7월 11일.
 +
*고미석,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30000000165/3/70030000000165/20110225/35112017/1  명복을 빕니다: 정창섭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일보』, 2011년 02월 25일.
 +
*최완수, "[http://shindonga.donga.com/3/all/13/101115/1 최완수의 우리문화 바로보기 24 - 신라 선종과 비로자나불의 출현]", 『신동아』, 2001년 6월호.
 +
 
 +
===블로그, 포럼===
 +
<font color="green"><b>
 +
필자, "포스트 이름", 『사이트 이름』, 작성일: 0000년 00월 00일.
 +
</b></font>
 +
 
 +
*꼭대기, "[http://blog.naver.com/459745/220621547126 청주 이항희 가옥(고선재) (2016.02.09) (고선재 찻집 및 한옥스테이, 청주 한옥체험 게스트하우스)]",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추억이 될 일상을 남기고 있습니다.』<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6년 02월 08일.
 +
 
 +
===YouTube 동영상===
 +
<font color="green"><b>
 +
업로더, "동영상 이름", ''YouTube'', 작성일.
 +
</b></font>
 +
 
 +
*EBSCulture (EBS 교양), "[https://www.youtube.com/watch?v=EUd6X2R6xpw EBS 기획 시리즈, 최완수의 우리미술 바로보기 - 선각왕사 형미의 유적_#001]" (방송일: 2002.11.08), ''YouTube'', 작성일: 2013년 04월 18일.
 +
*John Weeke, "[https://www.youtube.com/watch?v=WhwuF2fSXGg Experience Korea: Ten Poems of the Joseon Dynasty 이황 - 정철]", ''YouTube'', 작성일: 2011년 10월 31일.
 +
 
 +
=='''참고'''==
 +
===Wikipedia와 위키백과 출처 표기 방침===
 +
<span style="color:green"><small>현재 Wikipedia나 위키백과에서는 정해진 방식이 없음. 하나의 기사 내에서 최소한의 일관성을 유지하면 된다는 기조를 유지함.<br/>
 +
대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구성임.</small></span>
  
 
*'''References'''
 
*'''References'''
16번째 줄: 143번째 줄:
 
*'''See Also''' - 관련 기사  
 
*'''See Also''' - 관련 기사  
  
===제안===
+
<span style="color:green"><small>
*'''같이 보기''' 또는 '''관련 항목''' - 관련 항목을 RDF 테이블 형식으로 제시(''designed by 김현'')
 
*'''각주''' - 본문에 인용된 내용에 대한 출처 표시
 
*'''참고문헌''' - 본문에 인용되지 않았지만 추가로 참고할만한 자료 정보 제공
 
*'''바깥고리'''
 
 
 
<span style="color:blue">
 
 
- 참고문헌에 출처 정보 전체를 입력하고(full citation), 이를 각주에서 약식(short citation)으로 불러오는 방식이 있음.<br/>
 
- 참고문헌에 출처 정보 전체를 입력하고(full citation), 이를 각주에서 약식(short citation)으로 불러오는 방식이 있음.<br/>
 
예: Miller, Edward (2005). ''The Sun''. Academic Press. -->  Miller 2005.<br/>
 
예: Miller, Edward (2005). ''The Sun''. Academic Press. -->  Miller 2005.<br/>
32번째 줄: 153번째 줄:
 
- "Ibid." 또는 "위의 책"과 같은 표기 방식은 지양.<br/>  
 
- "Ibid." 또는 "위의 책"과 같은 표기 방식은 지양.<br/>  
 
- 이미지 파일의 경우 파일 페이지에 출처를 표시하고, 동영상은 캡션을 활용하는 것이 어떨지...?
 
- 이미지 파일의 경우 파일 페이지에 출처를 표시하고, 동영상은 캡션을 활용하는 것이 어떨지...?
</span>
+
</small></span>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0%81%EC%A3%BC 위키백과:각주]
 
*[https://en.wikipedia.org/wiki/Wikipedia:Citing_sources#General_references Wikipedia:Citing sources]
 
  
=='''각주에 필수적으로 포함할 정보'''==
+
===참고 사이트===
 +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A%B0%81%EC%A3%BC 위키백과:각주]",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https://en.wikipedia.org/wiki/Wikipedia:Citing_sources#General_references Wikipedia:Citing sources]", <html><online style="color:purple">Wikipedia<sup>online</sup></online></html>.
  
 +
*"[http://libguides.graduateinstitute.ch/citing_sources/electronic Citing Sources: Electronic Sources]", <html><online style="color:purple">The Graduate Institute Geneva<sup>online</sup></online></html>.
 +
*"[https://owl.english.purdue.edu/owl/resource/747/08/ MLA Works Cited: Electronic Sources (Web Publications)]", <html><online style="color:purple">Purdue Online Writing Lab<sup>online</sup></online></html>.
 +
*"[https://owl.english.purdue.edu/owl/resource/717/05/ General Model for Citing Web Sources in Chicago Style]", <html><online style="color:purple">Purdue Online Writing Lab<sup>online</sup></online></html>.
 +
* [[APA 웹 자원 인용 양식]]
  
  
=='''각주 표기 방식(Style Guide)'''==
+
[[분류:프로젝트관리]]

2017년 9월 12일 (화) 14:23 기준 최신판

5월 11일 교수님 제안사항

  • 작성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최종 작성일만 기술하고, 최종확인 날짜는 삭제
  • online 표시를 틀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 고민 중.

4월 4일 교수님 제안사항

  • 현재 정해진 표기 방식이 완전한 정답은 아님.
  • 실제 기사 작성 중 발견되는 새로운 사례 수집 -> 출처 표시 방식 재검토 및 확정 -> 전체 기사에 적용해서 최종 수정하는 절차가 필요함.
  • 일단 정해진 내용을 공유하고, 기사 작성에 활용하되, 수정이 필요한 사항에 대한 의견 및 사례를 지속적으로 수집할 것. - 이 기사의 "토론" 기능을 활용합시다!


  • 기존에 제안된 "OOO에서 인용"라는 표현은 아예 사용하지 말 것.
  • 참고자료의 표현을 그대로 사용한 것, 발췌/수정한 것, 요약한 것 등의 경우를 구분하지 말 것. 기사 작성에 활용한 정보의 출처를 밝히는 것이 요점.
  • 온라인 자료를 참고한 경우, 온라인 DB 또는 웹사이트의 명칭 앞뒤에 <html><online style="color:purple">『00000』<sup>online</sup></online></html>와 같이 태깅을 함으로써, 매체 형식의 속성을 기술할 것.
    • 위와 같이 태깅할 경우 다음의 예와 같이 출력됨.
    • 예: "정창섭",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온라인 자료를 확인한 날짜는 "최종확인: OOOO년 OO월 OO일."의 형태로 쓸 것.

  • 단, 온라인 자료 중 작성날짜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작성날짜를 반드시 밝힐 것. 이 경우 확인날짜는 생략 가능.
    • 예: 온라인 신문/잡지 기사 --- "나주 경략 주역은 왕건 아닌 궁예", 『한겨레』, 작성일: 2011년 7월 11일.
    • 민백의 경우, 일부 기사는 맨 아래 쪽에 "콘텐츠 이력"이 기록되어 있음. 이 경우 최종 수정일을 확인하여 작성날짜로 표기할 것.
      "박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07월 25일.

1) 온라인 자료의 기본 인용 방식

  • (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DB 또는 웹사이트명, 기관명, 작성일.
    • 예: "정창섭",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 하이퍼링크 연결할 URL은 실제 확인한 출처에 따라 쓸 것.
    • 예:민백 기사를 민백 사이트에서 확인한 경우.
      "잡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예:민백 기사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확인한 경우.
      "잡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오프라인 자료의 온라인 자료를 확인한 경우

  • 기존의 오프라인 자료 출처 표시 방식대로 쓴 후, 온라인 자료의 출처 표시 추가.
  • 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온라인 참조: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DB 또는 웹사이트명, 기관명. 작성일.
    • 예: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입실",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온라인 자료를 원소스가 아닌 다른 온라인 자료로 확인한 경우

  • 예를 들어, 한국콘텐츠진흥원의 『문화콘텐츠닷컴』 콘텐츠는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도 확인됨.
  • 『문화콘텐츠닷컴』 웹사이트로 바로 연결되는 URL을 사용할 경우, 위의 "1) 온라인 자료의 기본 인용 방식"을 사용하면 되지만, 네이버지식백과로 연결되는 URL이라면 다음과 같이 표기.
  • "민영환 집 터", 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온라인 참조: "민영환 집 터",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우리 기사의 인용 표시 방법 제시하기

  • 틀을 사용해서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 고민 중.

출처 표기 방식 (20170511 업데이트 버전)

  • 오프라인 자료(사료, 단행본, 논문 등)의 각주 표기 방식은 한국학대학원 학위논문 작성법을 따랐습니다.
  • 출처 표기에 사용되는 특수 기호는 "ㄴ"+"한자" 키를 누른 후 입력 창이 뜨면 탭을 눌러 확장해서 선택하는 방식으로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호 사용처 예시
「 」 논문제목 정상균, 「이황의 《도산십이곡》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제14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04.
『 』 서명, 잡지/신문명, 웹사이트명
〈 〉 서명 혹은 논문제목 내에 편명/논문명이 언급된 경우
태그 표시하는 < > 와 다른 기호이니 주의!
《 》 서명 혹은 논문제목 내에 다른 서명/작품명이 언급된 경우

사료

  • 『三國史記』 新羅本紀 文武王 2년 6월조.
  • 『正祖實錄』 9년(1785) 4월 戊子(또는 일자): 「掌令柳河源上疏」.
  • 『高麗史』 世家 靖宗 3년 3월 甲戌.
  • 『高麗史』 志(1) 天文(1) 穆宗 12년 2월 己丑.
  • 『論語』 學而篇.

저서

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저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쪽 번호.
저자, "장(章)",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쪽 번호.
저자, 역자, 『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쪽 번호.

  • 안대회, 『정조의 비밀편지』, 문학동네, 2010.
  • 방학봉, 『중국을 뒤흔든 우리 선조 이야기』, 일송북, 2004, 255쪽.
  • 강우방, 곽동석, 민병찬, 『한국 美의 재발견 - 불교 조각 II』, 솔출판사, 2005, 106쪽.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34쪽.
  • 이지관,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편광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1,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323쪽.
  • 피터 K.볼, 심의용 역,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사문을 통해 본 당송 시대 지성사의 대변화』, 북스토리, 2008, 104쪽.

논문

저자, 「논문제목」, 『잡지명』, 권수, 호수, 학회명, 출판연도.
저자, 「논문제목」, 『잡지명』, 권수, 호수, 학회명, 출판연도, 쪽 번호.

  • 최연식,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비를 통해 본 궁예 행적의 재검토」, 『목간과 문자』 제7호, 한국목간학회, 2011, 207쪽.
  • 이덕진, 「新羅末 桐裏山門에 대한 연구」, 『한국선학』 제2권, 한국선학회, 2002, 199-246쪽.
  • 정상균, 「이황의 《도산십이곡》 연구」, 『한국시가문화연구』제14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04.

웹사이트

(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B 또는 웹사이트 이름』<sup>online</sup></online></html>, 기관명.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편집자, 저자, 또는 편찬자,) "문서명(링크)", 카테고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DB 또는 웹사이트 이름』<sup>online</sup></online></html>, 기관명, 작성일.

  • "정창섭",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online, 예술자료원.
  • "민영환 집 터", 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 『문화콘텐츠닷컴 』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온라인 참조: "민영환 집 터", 문화원형백과, 『네이버지식백과』online.
  • "잡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문, 잡지

(필자,) "기사명", 『신문(잡지)명』, 작성일: 0000년 00월 00일.

블로그, 포럼

필자, "포스트 이름", 『사이트 이름』, 작성일: 0000년 00월 00일.

YouTube 동영상

업로더, "동영상 이름", YouTube, 작성일.

참고

Wikipedia와 위키백과 출처 표기 방침

현재 Wikipedia나 위키백과에서는 정해진 방식이 없음. 하나의 기사 내에서 최소한의 일관성을 유지하면 된다는 기조를 유지함.
대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구성임.

  • References
    • Footnote - 본문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적인, 자세한 설명 제공
    • Notes/Citations - 출처 표시
    • References/Sources/Bibliography - 참고문헌 목록
    • Further Reading - 더 읽을거리
  • External Links
    • Official
    • Other
    • Media Specific
  • See Also - 관련 기사

- 참고문헌에 출처 정보 전체를 입력하고(full citation), 이를 각주에서 약식(short citation)으로 불러오는 방식이 있음.
예: Miller, Edward (2005). The Sun. Academic Press. --> Miller 2005.
- 각주 틀을 활용할 수 있음.
예: <ref>{{서적 인용 |저자1=고영희 |저자2=고철수 |날짜=2010 |제목=둘리야 사랑해 |쪽=25}}</ref>
- 한 문서 내에서 같은 자료를 여러번 인용할 경우, 각주 이름을 지정해서 쓸 수 있음.
예: <ref name="이름">내용</ref>
- 위의 경우, 틀을 활용해서 해당 쪽 번호를 표시할 수 있음.
- "Ibid." 또는 "위의 책"과 같은 표기 방식은 지양.
- 이미지 파일의 경우 파일 페이지에 출처를 표시하고, 동영상은 캡션을 활용하는 것이 어떨지...?

참고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