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복식정보 | {{복식정보 | ||
− | |사진=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식 망건01 민박.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
|대표명칭= 망건 | |대표명칭= 망건 | ||
|한자표기= 網巾 | |한자표기= 網巾 | ||
|이칭별칭= | |이칭별칭= | ||
|구분= 수식 | |구분= 수식 | ||
− | |착용신분= [[왕]], [[왕세자]], [[ | + | |착용신분= [[왕]], [[왕세자]], [[백관]] 등 모든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착용성별= 남성 | ||
}} | }} | ||
=='''정의'''== | =='''정의'''== | ||
− | + |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 [[관례]]를 올린 성인 남성은 귀하거나 천하거나 누구나 상투를 튼 머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정리할 때 착용한 쓰개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6쪽.</ref> | |
=='''내용'''== | =='''내용'''== | ||
− | + | 이마의 비치는 부분이 '그물[網]'처럼 비쳐 보인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말총을 엮어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머리를 감쌀 수 있게 하였고, 관자놀이 부분에 [[당줄]]을 매기 위한 [[관자]]를 달며, 이마 윗부분에 [[풍잠]]을 달아 장식하기도 한다.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6쪽.</ref> [[망건]]을 착용할 때는 먼저 [[망건]]을 이마에 대고 [[망건]]당에 꿰어 있는 윗당줄로 뒤에서 졸라맨 다음 나머지를 상투에 얽어매고, 편자(邊子) 양쪽 끝에 단 좌우 당줄은 뒤통수에서 서로 맞바꾸어 편자의 좌우 귀 부근에 달린 관자를 꿰어 다시 [[망건]] 뒤로 가져다 엇걸어 맨 다음, 두 끝을 [[상투]] 앞으로 가져와 동여맨다. 흘러내린 살쩍은 [[살쩍밀이]]를 사용하여 망건 속으로 밀어 넣어 정리한다. [[망건]]의 부속품인 관자는 아랫당줄을 걸어 매는 실용적인 역할과 함께 재료는 품계를 구분 지었고, 망건 앞 중앙에 부착한 [[풍잠]]은 [[갓]]을 머리 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89쪽.</ref>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항목A!!항목B!!관계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PAGENAME}}''' | + | | [[왕]] || '''{{PAGENAME}}'''||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PAGENAME}}''' | + | | [[왕세자]]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PAGENAME}}''' | + | | [[백관]] || '''{{PAGENAME}}'''||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 '''{{PAGENAME}}''' | + | | 일반 백성 || '''{{PAGENAME}}'''||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 ||
− | |'''{{PAGENAME}}''' | + | | '''{{PAGENAME}}''' || [[탕건]]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PAGENAME}}''' | + | | [[의궤]] || '''{{PAGENAME}}'''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 | |} | ||
53번째 줄: | 39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 ||
− | ==시각자료== | + | =='''시각자료'''==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망건04 민박.jpg | 신광헌(申光憲, 1731~1784) 묘 출토 망건.<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망건03 민박.jpg | 조선시대의 망건.<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 ||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망건02 민박.jpg | 망건과 망건통.<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 ||
</gallery> | </gallery> | ||
===영상=== | ===영상===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姜淳弟, 「우리 冠帽의 始末에 관한 硏究-男子 便服 冠帽를 中心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
+ |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
+ |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vol.1, 한국복식학회, 1977. | ||
+ |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 ||
+ |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
+ | * 박형박, 「朝鮮時代 笠(黑笠)의 造形性에 關한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5. | ||
+ | * 石宙善,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3. | ||
+ |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
+ | * 李民周, 「朝鮮時代 王族冠帽에 關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
+ | * 李銀喜, 「朝鮮朝 黑笠에 관한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
+ | * 이철성, 「18·19세기 朝鮮의 對淸貿易 展開過程에 관한 硏究-帽子·人蔘貿易을 둘러싼 譯·商間의 경쟁을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
+ | * 張淑煥, 「朝鮮後期 笠飾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
+ | * 장숙환, 「조선후기 笠飾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9 No.3,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
+ | * 陳美喜,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
+ |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2017년 9월 8일 (금) 18:13 판
망건 (網巾) |
|
대표명칭 | 망건 |
---|---|
한자표기 | 網巾 |
구분 | 수식 |
착용신분 | 왕, 왕세자, 백관 등 모든 남성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왕,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 관례를 올린 성인 남성은 귀하거나 천하거나 누구나 상투를 튼 머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정리할 때 착용한 쓰개이다.[1]
내용
이마의 비치는 부분이 '그물[網]'처럼 비쳐 보인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말총을 엮어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머리를 감쌀 수 있게 하였고, 관자놀이 부분에 당줄을 매기 위한 관자를 달며, 이마 윗부분에 풍잠을 달아 장식하기도 한다. [2] 망건을 착용할 때는 먼저 망건을 이마에 대고 망건당에 꿰어 있는 윗당줄로 뒤에서 졸라맨 다음 나머지를 상투에 얽어매고, 편자(邊子) 양쪽 끝에 단 좌우 당줄은 뒤통수에서 서로 맞바꾸어 편자의 좌우 귀 부근에 달린 관자를 꿰어 다시 망건 뒤로 가져다 엇걸어 맨 다음, 두 끝을 상투 앞으로 가져와 동여맨다. 흘러내린 살쩍은 살쩍밀이를 사용하여 망건 속으로 밀어 넣어 정리한다. 망건의 부속품인 관자는 아랫당줄을 걸어 매는 실용적인 역할과 함께 재료는 품계를 구분 지었고, 망건 앞 중앙에 부착한 풍잠은 갓을 머리 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였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왕 | 망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왕세자 | 망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 | 망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일반 백성 | 망건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망건 | 탕건 |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의궤 | 망건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6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06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89쪽.
-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 ↑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姜淳弟, 「우리 冠帽의 始末에 관한 硏究-男子 便服 冠帽를 中心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姜淳弟, 「笠制의 變遷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4.
- 姜淳弟, 「韓國 笠制의 變遷에 關한 硏究」, 『服飾』 vol.1, 한국복식학회, 1977.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 김아람, 「복식 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박형박, 「朝鮮時代 笠(黑笠)의 造形性에 關한 硏究」,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5.
- 石宙善,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3.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李民周, 「朝鮮時代 王族冠帽에 關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李銀喜, 「朝鮮朝 黑笠에 관한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이철성, 「18·19세기 朝鮮의 對淸貿易 展開過程에 관한 硏究-帽子·人蔘貿易을 둘러싼 譯·商間의 경쟁을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張淑煥, 「朝鮮後期 笠飾 硏究」,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장숙환, 「조선후기 笠飾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9 No.3,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陳美喜,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황의숙 외3인, 『아름다운 한국복식』, 수학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