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장곡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장곡사(長谷寺)는 850년([[신라 문성왕|문성왕]] 12) [[체징|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창건 후 여러 차례 중건·보수되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절의 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8262&cid=40942&categoryId=37404 장곡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1346년([[고려 충목왕|충목왕]] 2)에 현재 보물 제337호로 지정된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금동약사여래좌상(金銅藥師如來坐像)]]을 봉안하였으며<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81 장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407년([[조선 태종|태종]] 7) 12월, [[조계종|조계종(曹溪宗)]]의 [[자복사찰|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었다. [[자복사찰]]은 나라의 안녕과 고을의 복을 빌기 위하여 지정한 사찰이었으므로, 당시 장곡사가 청양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ref>윤기엽,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2 장곡사(長谷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77년([[조선 정조|정조]] 1)에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상 대웅전(上 大雄殿)]]을 중수하고 「칠갑산장곡사금당중수기(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를 지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81 장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장곡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상 대웅전]]·[[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하 대웅전]]이 있어 대웅전이 2개인 사찰이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지형에 따라 상·하 두 곳에 가람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가람 배치는 사역(寺域)의 북단인 상부의 좁은 공간에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상 대웅전]]을 비롯하여 응진전·산신각 및 최근에 신축된 염화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남쪽 기슭의 넓은 공지에는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하 대웅전]]과 [[장곡사설선당|설선당]]·승방·봉향각·운학루 등이 배치되어 있다. 산지의 지형을 적절하게 이용한 산지가람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ref>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63-164쪽.</ref> | ||
+ | |||
+ |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공주 마곡사|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 ||
===관련문화유산=== | ===관련문화유산=== | ||
32번째 줄: | 39번째 줄: | ||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및 石造臺座)]] - 보물 제174호 |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및 石造臺座)]] - 보물 제174호 | ||
*[[장곡사설선당|장곡사설선당(長谷寺說禪堂)]]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 *[[장곡사설선당|장곡사설선당(長谷寺說禪堂)]]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 ||
−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39번째 줄: | 44번째 줄: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청양 장곡사]] || [[체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자복사찰]] || [[청양 장곡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공주 마곡사]] || [[청양 장곡사]] || A의 말사는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48번째 줄: | 59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58-178쪽. |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58-178쪽. | ||
− | + | *이은창, 「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 『美術史學硏究』12, 한국미술사학회, 1961, 132쪽.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8262&cid=40942&categoryId=37404 장곡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81 장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윤기엽,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2 장곡사(長谷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2017년 9월 7일 (목) 13:54 기준 최신판
청양 장곡사 (靑陽 長谷寺) |
|
대표명칭 | 청양 장곡사 |
---|---|
한자 | 靑陽 長谷寺 |
주소 |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개곡리 15 |
교구정보 | 대한불교조계종 |
건립시기 | 850년(문성왕 12) |
|
정의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에 있는 사찰.
내용
장곡사(長谷寺)는 850년(문성왕 12)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창건 후 여러 차례 중건·보수되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절의 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1]
1346년(충목왕 2)에 현재 보물 제337호로 지정된 금동약사여래좌상(金銅藥師如來坐像)을 봉안하였으며[2], 1407년(태종 7) 12월, 조계종(曹溪宗)의 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었다. 자복사찰은 나라의 안녕과 고을의 복을 빌기 위하여 지정한 사찰이었으므로, 당시 장곡사가 청양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3] 1777년(정조 1)에 상 대웅전(上 大雄殿)을 중수하고 「칠갑산장곡사금당중수기(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를 지었다.[4]
장곡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 대웅전·하 대웅전이 있어 대웅전이 2개인 사찰이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지형에 따라 상·하 두 곳에 가람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가람 배치는 사역(寺域)의 북단인 상부의 좁은 공간에 상 대웅전을 비롯하여 응진전·산신각 및 최근에 신축된 염화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남쪽 기슭의 넓은 공지에는 하 대웅전과 설선당·승방·봉향각·운학루 등이 배치되어 있다. 산지의 지형을 적절하게 이용한 산지가람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5]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관련문화유산
-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靑陽 長谷寺 上 大雄殿) - 보물 제162호
-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靑陽 長谷寺 下 大雄殿) - 보물 제181호
- 장곡사미륵불괘불탱(長谷寺彌勒佛掛佛幀) - 국보 제300호
-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 국보 제58호
-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 - 보물 제337호
-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및 石造臺座) - 보물 제174호
- 장곡사설선당(長谷寺說禪堂)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청양 장곡사 | 체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자복사찰 | 청양 장곡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공주 마곡사 | 청양 장곡사 | A의 말사는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각자료
주석
- ↑ "장곡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위석, "장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윤기엽, "장곡사(長谷寺)",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장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63-164쪽.
참고문헌
-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58-178쪽.
- 이은창, 「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 『美術史學硏究』12, 한국미술사학회, 1961, 132쪽.
- "장곡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위석, "장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윤기엽, "장곡사(長谷寺)",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