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청양 장곡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사찰사지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청양 장곡사 |영문명칭= |한자=靑陽 長谷寺 |이칭= |지정번호= |지정일= |주소=충청남도 청양군...)
 
(관련항목)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리자=
 
|관리자=
 
|교구정보=[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교구정보=[http://www.buddhism.or.kr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850년(문성왕 12)
+
|건립시기=850년([[신라 문성왕|문성왕]] 12)
 
|창건자=
 
|창건자=
 
|경내문화재=
 
|경내문화재=
23번째 줄: 23번째 줄:
  
 
=='''내용'''==
 
=='''내용'''==
 +
장곡사(長谷寺)는 850년([[신라 문성왕|문성왕]] 12) [[체징|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창건 후 여러 차례 중건·보수되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절의 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8262&cid=40942&categoryId=37404 장곡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1346년([[고려 충목왕|충목왕]] 2)에 현재 보물 제337호로 지정된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금동약사여래좌상(金銅藥師如來坐像)]]을 봉안하였으며<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81 장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407년([[조선 태종|태종]] 7) 12월, [[조계종|조계종(曹溪宗)]]의 [[자복사찰|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었다. [[자복사찰]]은 나라의 안녕과 고을의 복을 빌기 위하여 지정한 사찰이었으므로, 당시 장곡사가 청양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ref>윤기엽,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2 장곡사(長谷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777년([[조선 정조|정조]] 1)에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상 대웅전(上 大雄殿)]]을 중수하고 「칠갑산장곡사금당중수기(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를 지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81 장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장곡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상 대웅전]]·[[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하 대웅전]]이 있어 대웅전이 2개인 사찰이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지형에 따라 상·하 두 곳에 가람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가람 배치는 사역(寺域)의 북단인 상부의 좁은 공간에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상 대웅전]]을 비롯하여 응진전·산신각 및 최근에 신축된 염화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남쪽 기슭의 넓은 공지에는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하 대웅전]]과 [[장곡사설선당|설선당]]·승방·봉향각·운학루 등이 배치되어 있다. 산지의 지형을 적절하게 이용한 산지가람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ref>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63-164쪽.</ref>
 +
 +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공주 마곡사|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관련문화유산===
 
===관련문화유산===
 +
*[[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청양 장곡사 상 대웅전(靑陽 長谷寺 上 大雄殿)]] - 보물 제162호
 +
*[[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청양 장곡사 하 대웅전(靑陽 長谷寺 下 大雄殿)]] - 보물 제181호
 +
*[[장곡사미륵불괘불탱|장곡사미륵불괘불탱(長谷寺彌勒佛掛佛幀)]] - 국보 제300호
 +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藥師如來坐像 및 石造臺座)]] - 국보 제58호
 +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 - 보물 제337호
 +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靑陽 長谷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및 石造臺座)]] - 보물 제174호
 +
*[[장곡사설선당|장곡사설선당(長谷寺說禪堂)]]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0번째 줄: 44번째 줄: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청양 장곡사]] || [[체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자복사찰]] || [[청양 장곡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공주 마곡사]] || [[청양 장곡사]] || A의 말사는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39번째 줄: 5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58-178쪽.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58-178쪽.
 
+
*이은창, 「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 『美術史學硏究』12, 한국미술사학회, 1961, 132쪽.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8262&cid=40942&categoryId=37404 장곡사]",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281 장곡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윤기엽,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42 장곡사(長谷寺)]",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2017년 9월 7일 (목) 13:54 기준 최신판

청양 장곡사
(靑陽 長谷寺)
대표명칭 청양 장곡사
한자 靑陽 長谷寺
주소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개곡리 15
교구정보 대한불교조계종
건립시기 850년(문성왕 12)



정의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에 있는 사찰.

내용

장곡사(長谷寺)는 850년(문성왕 12)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창건 후 여러 차례 중건·보수되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절의 내력은 자세히 알 수 없다.[1]

1346년(충목왕 2)에 현재 보물 제337호로 지정된 금동약사여래좌상(金銅藥師如來坐像)을 봉안하였으며[2], 1407년(태종 7) 12월, 조계종(曹溪宗)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었다. 자복사찰은 나라의 안녕과 고을의 복을 빌기 위하여 지정한 사찰이었으므로, 당시 장곡사가 청양 지역을 대표하는 명찰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3] 1777년(정조 1)에 상 대웅전(上 大雄殿)을 중수하고 「칠갑산장곡사금당중수기(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를 지었다.[4]

장곡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 대웅전·하 대웅전이 있어 대웅전이 2개인 사찰이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지형에 따라 상·하 두 곳에 가람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가람 배치는 사역(寺域)의 북단인 상부의 좁은 공간에 상 대웅전을 비롯하여 응진전·산신각 및 최근에 신축된 염화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남쪽 기슭의 넓은 공지에는 하 대웅전설선당·승방·봉향각·운학루 등이 배치되어 있다. 산지의 지형을 적절하게 이용한 산지가람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5]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청양 장곡사 체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자복사찰 청양 장곡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공주 마곡사 청양 장곡사 A의 말사는 B이다 A dcterms:hasPart B

시각자료

주석

  1. "장곡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김위석, "장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윤기엽, "장곡사(長谷寺)",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김위석, "장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63-164쪽.

참고문헌

  • 사찰문화연구원, "장곡사", 『전통사찰총서 13 - 충남의 전통사찰II』, 사찰문화연구원, 1999, 158-178쪽.
  • 이은창, 「七甲山長谷寺金堂重修記」, 『美術史學硏究』12, 한국미술사학회, 1961, 132쪽.
  • "장곡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김위석, "장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윤기엽, "장곡사(長谷寺)",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