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동정음통석운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45번째 줄: 45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성원]]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747년
+
| [[박성원]]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삼운통고]]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삼운통고]]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사성통해]]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사성통해]]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정조]] || [[정음통석서]]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787년
+
| [[정조]] || [[정음통석서]]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화동정음통석운고]] || [[정음통석서]] || A는 B를 포함한다 ||
+
| [[화동정음통석운고]] || [[정음통석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에게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화동정음통석운고]] || A는 B를 소장하였다 ||
 
 
|}
 
|}
  

2017년 9월 5일 (화) 20:15 판

화동정음통석운고
한글팀 화동정음통석운고 01.jpg
한자명칭 華東正音通釋韻考
영문명칭 A phonological book compiled in 1747 to correct and unify the sound system of Chinese sounds used in Joseon.
작자 박성원
간행시기 1747년
소장처 장서각
청구기호 K1-197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1.0×21.0㎝
판본 목판본
수량 1책
표기문자 한자, 한글


정의

박성원(朴性源, 1697~1767)이 통일되지 않은 조선의 한자음을 바로잡기 위해 편찬한 운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박성원(朴性源, 1697~1767)이 통일되지 않은 조선의 한자음을 바로잡기 위해 편찬한 운서이다. 『삼운통고(三韻通考)』와 『사성통해(四聲通解)』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서(字書)가 편찬에 활용되었다. 한자음이 같은 대표자마다 우측에는 중국음[華音]을 표기하고 좌측에는 한글음[東音]을 표기하였다. 중국음과 한국음을 동시에 찾아볼 수 있도록 일원화하였다. 이 책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微/의 음가를 표기하기 위하여 /◇/과 같은 새로운 문자를 만들었다. 둘째, 조선의 한자음 중 표준음 외에 당시 조선에서 속음화한 음을 칸 외부에 두주(頭註)로 표시하였다. 이 속음자의 수는 450자가 넘어 조선 한자음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특히 범례(凡例)와 책 끝의 「언문초중종삼성변(諺文初中終三聲辨)」에는 한글에 관하여 고찰한 내용이 있어 국어학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1]

『화동정음통석운고』의 저술배경 및 저술의도

『화동정음통석운고』는 『정음통석』이라고도 불리는데 1787년(정조 11) 비각에서 왕명으로 초간본 『화동정음통석운고』를 재간행할 때 정음통석서를 지어 수용하게 한 이후로 정음통석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이 자료는 정조때 재간행된 것으로써 장서각에 두 권이 보관되어 있다. 박성원이 작성한 서문에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아음, 설음, 치음, 순음, 후음이 분명치 못하여 오음이 서로 뒤섞여 일정한 음운을 형성치 못하였으나 이런 것은 실제로 음과 뜻을 별도로 공부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래 음운이 있어야 그 뒤에 문자가 따르게 되는 것으로 문자란 음운, 즉 소리를 싣고 있는 그릇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 그릇을 알고자 한다면 그 소리를 분별하지 않고서야 어떻게 가능하겠는가?" 이로써 당시 이원화되어 혼동하기 쉬운 글자와 글자의 음을 알맞게 정비하여 음운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박성원의 저술 의도를 엿볼 수 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성원 화동정음통석운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삼운통고 화동정음통석운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성통해 화동정음통석운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조 정음통석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화동정음통석운고 정음통석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화동정음통석운고 A는 B에게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47년 박성원이 화동정음통석운고를 저술,간행했다.
1787년 비각에서 정조의 명으로 화동정음통석운고가 재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2258 127.054364 장서각에 화동정음통석운고가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40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
  2. 『화동정음통석운고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