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문후생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지식 관계망)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 | |} | ||
− | + |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 | |} | ||
− | + | ===공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80번째 줄: | 80번째 줄: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사진==== | ====사진==== |
2017년 9월 5일 (화) 16:56 판
언문후생록 | |
한자명칭 | 諺文厚生錄 |
---|---|
영문명칭 | The list of novel books and necessary information for women. |
작자 | 미상 |
간행시기 | 19세기말~20세기초 |
소장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청구기호 | C7-88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24.6×17.1㎝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책 |
표기문자 | 한글,한자 |
목차
정의
아녀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와 소설책의 목록을 수록한 세책(貰冊)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아녀자들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와 소설책의 목록을 수록한 세책(貰冊)이다. 세책이란 일정 기간 책을 빌려주고 대여료를 받기 위해 제작한 상업적 목적의 책이다. 이 책은 1책의 필사본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만 소장된 유일본이다. 책의 서두에는 세책본 소설의 목록을 3장에 걸쳐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세책본 소설의 광고 목적이다. 이 목록은 『삼국지』, 『셔쥬연의』 등 장편소설 13건과 『사씨남졍긔』, 『홍길동젼』 등 단편소설 36건을 장편[길ᄎᆡᆨ]과 단편[소셜ᄎᆡᆨ]으로 분류하여 수록하였다. 소설 목록 뒤에 이 책의 본편이 시작되는데, 이 책은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생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록하고 있다. 술 만드는 법, 강정, 김치, 열구자탕 등의 요리법, 잔칫상, 기제사의 찬물식(饌物式), 진찬식(進饌式), 제물(祭物) 배설도(排設圖), 혼인 예법, 염색법 등이 기록되어 있다. ‘셕박짐ᄎᆡ담그난법’에는 통배추 양념은 조기젓국, 조기, 생굴, 전복, 배, 생강, 마늘, 파 등의 재료를 잘게 썰어 배춧잎 속에 겹겹이 넣어 담으라고 설명되어 있다. 통배추가 재배되면서 잎 사이에 양념재료를 넣어 김치를 만들게 되었는데, 이 방법을 기록한 자료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책은 일종의 여성 생활백과라 할 수 있는데, 당시 여성들은 생활 정보를 얻기 위해 이 책을 대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혼인 예법에서는 신랑, 신부 양가에서 각각 갖추어야 할 것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당시 혼례문화를 확인할 수 있다. [1]
언문후생록의 구성과 내용
『언문후생록』은 필사본 1책으로 그 편자와 편찬연대에 대한 정보는 나타나있지 않다. 안춘근 소장본이었는데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소장하고 있다. [2]'길ᄎᆡᆨ'과 '소셜ᄎᆡᆨ'로 구분하여 소설 목록을 싣고 있다. 또 작품명 앞에 작품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서술하고 있다. '길책'으로『삼국지』,『서쥬연의』,『서유기』,『임진녹』,『슈호지』,『현씨양웅쌍릔긔』,『명쥬긔봉』,『현슈문젼』,『하진양문녹』,『임화정연긔』『유씨삼대록』,『명듀보월빙』,『초현젼』 , 총 13개가 언급된다. '소셜책'으로는 『사씨남졍긔』, 『장경젼』, 『장풍운젼』, 『조웅젼』, 『남윤젼』, 『정황후젼』, 『숙향젼』, 『양산백전』, 『임경업전』, 『석화룡전』, 『월봉긔전』, 『적성의전』, 『홍길동젼』, 『셜린귀젼』, 『졍슈경젼』, 『민듕젼』, 『금향졍긔』, 『장한졀효긔』, 『김원젼』, 『소대셩젼』, 『용문젼』, 『삼셜긔』, 『둑겁젼』, 『방씨젼』, 『서대쥬젼』, 『져마무젼』, 『사씨젼』, 『야사젼』, 『삼문규합녹』, 『수졔옥난빈』, 『구운몽』, 『양문규합』, 『진대방전』, 『토기젼』, 『츈향젼』, 『심청젼』, 36개가 언급된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삼국지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사씨남정기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홍길동전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서유기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수호지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구운몽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심청전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춘향전 | 언문후생록 | A는 B에 언급되었다 | |
세책 | 언문후생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안춘근 | 언문후생록 | A는 B를 소장하였다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언문후생록 | A는 B를 소장하였다 | 현재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세기말~20세기초 | 언문후생록이 저술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언문후생록을 소장하였다. |
시각자료
사진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44쪽.
- ↑ 정명기, 「세책본소설에 대한 새 자료의 성격 연구 - 《언문후생록(諺文厚生錄)》소재 목록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19, 한국고소설학회, 2005, 230쪽.
- ↑ 정명기, 「세책본소설에 대한 새 자료의 성격 연구 - 《언문후생록(諺文厚生錄)》소재 목록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19, 한국고소설학회, 2005, 236-238쪽.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김목한 등, 『장서각한글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