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육진개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계정보) |
(→지식 관계망)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html>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6/C02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2017년 9월 2일 (토) 23:28 판
육진개척 | |
작가 | 김태 |
---|---|
제작연도 | 1975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전쟁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전쟁기념관 |
목차
정의
조선 세종 시기 육진(六鎭)개척을 위해 김종서 장군의 군대가 두만강 유역에서 여진족을 토벌하는 장면[1]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조선 세종은 1433년(세종15)에 동북방면의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하여 김종서를 함길도도절제사에 임명하고, 무신인 이징옥을 앞세워 육진 개척을 추진하였다. 그리하여 1434년(세종 16)부터 10년간에 걸쳐 함경도 두만강 하류 지역에 군사상 요충지인 육진[2]을 설치하였고, 육진 개척으로 조선의 북쪽 경계가 두만강까지 완전히 이르게 되었다.
해당 작품은 김종서와 이징옥이 육진 개척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하는 모습을 담고있는데, 작품의 중앙에서 백마를 탄채 검을 빼든 장군은 김종서로, 갈색마를 타고서 그 뒤를 따르는 장군은 이징옥으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두만강 하류 남안 유역으로, 작품 왼편 위쪽에 그려진 두만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김태-육진개척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김태-육진개척 | 김종서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태-육진개척 | 이징옥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태-육진개척 | 육진 개척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김태-육진개척 | 두만강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김태-육진개척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김종서 | 육진 개척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이징옥 | 육진 개척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김종서 | 이징옥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조선 세종 | 육진 개척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세종 | 조선 세조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조선 세조 | 계유정난 | A는 B를 주도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계유정난 | 김종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김종서 | 조선 세조 | A는 B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징옥 | 조선 세조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김태가 김태-육진개척을 제작하였다. |
1434년-1444년 | 육진 개척이 시행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37122 | 126.977156 | 전쟁기념관이 김태-육진개척을 소장하고 있다 |
관련 민족기록화
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김종필 옆에 걸린 김태-육진개척[4]
영상
주석
- ↑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
『e뮤지엄』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육진개척", e뮤지엄,『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종성(鐘城), 온성(穩城), 회령(會寧), 경원(慶源), 경흥(慶興), 부령(富寧)의 여섯 진을 말함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