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태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더 읽을거리) |
||
115번째 줄: | 115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
+ | *김당택,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한국중세사연구』 31, 한국중세사학회, 2011, 407-445쪽. | ||
+ | *김당택,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제도개혁」, 『역사학연구』 24, 호남사학회, 2005, 137-165쪽. | ||
+ | *김정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9397&cid=59015&categoryId=59015 태조 이성계]",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 2010. 05. 23. | ||
+ | *문재윤,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동양정치사상사』 10권 1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5-28쪽. | ||
+ | *박제광, 「태조 이성계의 어궁과 궁술에 대한 소고」, 『고궁문화』 8, 국립고궁박물관, 2015, 42-72쪽. | ||
+ | *윤훈표, 「고려말 이성계의 군사 활동과 조선 건국 주도 세력의 결집 양상」, 『한국사학사학보』 33, 한국사학사학회, 2016, 101-149쪽. | ||
+ | *이상백, 『李朝建國의 硏究 : 李朝建國과 田制改革問題』,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67. | ||
+ | *이상훈,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개경 전투」. 『국학연구』 20, 한국국학진흥원, 2012, 241-272쪽. | ||
+ | *이태문, 「이성계 전설의 인물인식과 그 특징」, 『구비문학연구』 4, 한국구비문학회, 1997, 251-279쪽. | ||
+ | *이형우, 「李成桂의 경제적 기반에 대한 연구」, 『한국사학보』 16, 고려사학회, 2004, 79-113쪽. | ||
+ | *조민, 「조선 이성계 세력과 명과의 관계」, 『동북아연구』 22권 1호,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07, 75-88쪽. | ||
+ | *주경미,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미술사학연구』 257, 한국미술사학회, 2008, 31-65쪽. | ||
+ | *최재진, 「고려말 동북면의 통치와 이성계 세력 성장 : 쌍성총관부 수복이후를 중심으로」, 『사학지』 26권 1호, 단국사학회, 1993, 167-193쪽. | ||
+ | *하현강,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9033 태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7년 9월 2일 (토) 18:10 판
조선 태조(朝鮮 太祖) | |
대표명칭 | 조선 태조 |
---|---|
한자표기 | 朝鮮 太祖 |
생몰년 | 1335년(충숙왕 복위 4) 10월 11일-1408년(태종 8) 5월 24일 |
본관 | 전주(全州) |
이칭 | 이성계(李成桂), 이단(李旦) |
시호 | 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대왕(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大王) |
호 | 송헌(松軒)·송헌거사(松軒居士) |
자 | 중결(仲潔), 군진(君晉) |
출생지 | 화령부(和寧府: 영흥) |
사망지 | 창덕궁(昌德宮) 별전(別殿) |
시대 | 조선 |
배우자 |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韓氏),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 |
부 | 이자춘(李子春) |
모 | 최한기(崔閑奇)의 딸 |
자녀 | 이방우(李芳雨), 조선 정종, 이방의(李芳毅), 이방간(李芳幹), 조선 태종, 이방연(李芳衍), 경신공주(慶愼公主), 경선공주(慶善公主), 이방번(李芳蕃), 이방석(李芳碩), 경순공주(慶順公主) |
능묘 | 건원릉(健元陵) |
성격 | 왕 |
유형 | 인물 |
정의
내용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조선 태조 | 이자춘 | A는 B의 아들이다 | |
조선 태조 | 신의왕후 한씨 | A는 B의 남편이다 | |
조선 태조 | 신덕왕후 강씨 | A는 B의 남편이다 | |
조선 태조 | 홍건적의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황산대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이지란 | A는 B의 신하이다 | |
조선 태조 | 위화도회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최영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조선 태조 | 조준 | A는 B의 신하이다 | |
조선 태조 | 정도전 | A는 B의 신하이다 | |
조선 태조 | 남은 | A는 B의 신하이다 | |
조선 태조 | 자초 | A는 B와 교유하였다 | |
이방우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조선 정종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이방의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이방간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조선 태종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이방연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경신공주 | 조선 태조 | A는 B의 딸이다 | |
경선공주 | 조선 태조 | A는 B의 딸이다 | |
이방번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이방석 | 조선 태조 | A는 B의 아들이다 | |
경순공주 | 조선 태조 | A는 B의 딸이다 | |
조선 태조 | 함흥차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창덕궁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건원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조선태조어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태조대왕태실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구리 건원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조선 태조 | 전주 경기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 김당택,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한국중세사연구』 31, 한국중세사학회, 2011, 407-445쪽.
- 김당택,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과 제도개혁」, 『역사학연구』 24, 호남사학회, 2005, 137-165쪽.
- 김정미, "태조 이성계", 인물한국사,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발행일 : 2010. 05. 23. - 문재윤,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동양정치사상사』 10권 1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5-28쪽.
- 박제광, 「태조 이성계의 어궁과 궁술에 대한 소고」, 『고궁문화』 8, 국립고궁박물관, 2015, 42-72쪽.
- 윤훈표, 「고려말 이성계의 군사 활동과 조선 건국 주도 세력의 결집 양상」, 『한국사학사학보』 33, 한국사학사학회, 2016, 101-149쪽.
- 이상백, 『李朝建國의 硏究 : 李朝建國과 田制改革問題』,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67.
- 이상훈,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개경 전투」. 『국학연구』 20, 한국국학진흥원, 2012, 241-272쪽.
- 이태문, 「이성계 전설의 인물인식과 그 특징」, 『구비문학연구』 4, 한국구비문학회, 1997, 251-279쪽.
- 이형우, 「李成桂의 경제적 기반에 대한 연구」, 『한국사학보』 16, 고려사학회, 2004, 79-113쪽.
- 조민, 「조선 이성계 세력과 명과의 관계」, 『동북아연구』 22권 1호,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 2007, 75-88쪽.
- 주경미,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미술사학연구』 257, 한국미술사학회, 2008, 31-65쪽.
- 최재진, 「고려말 동북면의 통치와 이성계 세력 성장 : 쌍성총관부 수복이후를 중심으로」, 『사학지』 26권 1호, 단국사학회, 1993, 167-193쪽.
- 하현강, "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