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내용)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이 사찰의 4번째 중건인 1555년에 건립된 것이나, 이 극락전만은 1956년경의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이란 기록을 통하여 적어도 1476년([[조선 성종|성종]] 7)보다 앞서는 건물임이 밝혀졌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이 사찰의 4번째 중건인 1555년에 건립된 것이나, 이 극락전만은 1956년경의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이란 기록을 통하여 적어도 1476년([[조선 성종|성종]] 7)보다 앞서는 건물임이 밝혀졌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8560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 |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하였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하였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ref>김동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2017년 8월 28일 (월) 18:01 판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
한자표기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영문명칭 |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
지정번호 | 국보 제13호 |
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
소장처 | 강진 무위사 |
관련유물유적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無爲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
내용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무위사에 현존하는 대부분의 건물들은 이 사찰의 4번째 중건인 1555년에 건립된 것이나, 이 극락전만은 1956년경의 수리공사 때 뒷벽의 벽화 명문(銘文)에서 “十二年 丙申 三月初 吉畵成(십이년 병신 삼월초 길화성)”이란 기록을 통하여 적어도 1476년(성종 7)보다 앞서는 건물임이 밝혀졌다.[1]
극락보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 형식이다.[2]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3]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하였고,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4]
극락보전은 1934년 일제에 의해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1962년 우리 정부에 의해 다시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었다.[5]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두산백과』online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김동현,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조선의 선비 같은 무위사의 극락보전",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