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문화유산정보 | + | {{사찰사지정보 |
− | |사진 = muwisa.jpg | + | |사진= muwisa.jpg |
− |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 + | |사진출처= |
− | |한자 = 康津 無爲寺 | + |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
− | |영문 =
| + | |영문명칭= |
− | |이칭 =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 + | |한자= 康津 無爲寺 |
− | |지정번호 = | + | |이칭=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
− | |지정일 = | + | |지정번호= |
− |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 + | |지정일= |
− | |위도 = 34.738758 | + | |주소=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
− | |경도 = 126.686809 | + | |위도= 34.738758 |
− | |웹사이트 = | + | |경도= 126.686809 |
| + | |소유자= |
| + | |관리자= |
| + | |교구정보= |
| + | |건립시기= |
| + | |창건자= |
| + | |경내문화재= |
| }} | | }} |
| | | |
− | =='''소개'''== | + | =='''정의'''== |
− | 전남 강진군 성전면(城田面) 월출산(月出山) 남동쪽에 있는 고찰이다. 617년(신라 진평왕 39)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
| |
| | | |
− | 경내에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 부도비]](보물 제507호), 미륵전과 산신각, 천불전, 삼층석탑 등의 불교문화재가 있다.<ref>무위사,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5000&cid=40942&categoryId=39201,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 + | =='''내용'''== |
| | | |
− | ===역사=== | + | =='''지식관계망'''== |
− |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절 이름을 관음사라고 했고 그후 헌강왕 원년(875)에 [[도선국사]]가 중창하고 갈옥사(葛屋寺)로 바꿨으며 고려 정종 원년(946)에 선각(先覺)대사가 3창하고 모옥사(茅屋寺)로 개명, 조선 명종 10년(1555)에 태감(太甘)선사가 4창하고 비로소 절 이름을 무위사로 고쳤다는 내용이 『무위사 사적기』에 나온다. 이 사적기는 영조 15년(1739)에 당시 주지였던 극잠이 절을 보수하면서 쓴 것인데, 당시까지 전해 오던 이야기를 그대로 받아 적은 듯, 믿기 어려운 점이 많다.
| + | "그래프 삽입" |
| | | |
− | 우선 진평왕 39년에는 이 부근이 백제의 영토였고 또 [[원효]]는 바로 그해에 겨우 태어났을 뿐이었다. [[도선국사]]가 중창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효공왕 9년(905)부터 [[형미|선각대사 형미]]가 주석했다는 것으로 보아 도선의 중창설도 의문시되고 있다. 도선국사는 [[동리산문]]에 속하며 선각대사는 [[가지산문]]에 속하는데, 사찰의 소속이 그렇게 짧은 기간에 바뀌는 일은 드물기 때문이다. 또 정종 원년은 선각대사 부도비가 세워진 해이고 선각대사가 죽은 지 이미 28년이 지난 때이므로 그 해에 그가 절을 중창했다는 것은 맞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절 이름에 대해서도, 지금 절 안에 있는 선각대사 부도비의 제목에 ‘무위갑사’(無爲岬寺)라고 적혀 있고 비문 속에도 신라 효공왕 9년(905)에 왕건이 선각대사를 무위갑사에 머물도록 청했다는 내용이 있으므로, 그 이전부터 계속 무위사로 불려 왔음을 알 수 있다.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 | 어쨌든 무위사는 무위갑사라는 이름으로 10세기 초 이전에 창건되었고 신라 말에 [[고려 태조|왕건]]과 가까웠던 [[형미|선각대사]]가 머물던 기간에 사세를 키웠다. 조선 시대 들어와 태종 7년(1407)에는 각지의 명찰을 골라 여러 고을의 자복(資福) 사찰로 지정하는 가운데 [[천태종]] [[자복사]]의 하나로 꼽혔다. 이전에 [[선종]] 사찰이었던 무위사가 어느 때부터인가 [[천태종]] 절이 된 데는 고려 후기에 [[백련사]]에서 [[천태종]] [[백련결사]]가 활발히 활동했던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한다.
| + | =='''시각자료'''== |
| | | |
− | 세종 12년(1430)에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모시는 [[극락전]]이 지어지고 성종 7년(1476)에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전]] 안에 [[아미타삼존도]], [[아미타여래내영도]]를 비롯한 벽화가 그려졌다. 이는 당시 무위사가 [[수륙사(水陸寺)]]로 지정되었던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수륙사]]로 지정된 무위사에서는 죽어서 제 갈 길로 가지 못하고 떠도는 망령들을 불력으로 거두는 [[수륙재]]를 자주 지냈을 것이고, [[아미타불]]은 [[서방정토]]를 주관하는 부처이기 때문이다.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보전]] 앞 좌우에 벌여 선 괘불 걸이는 [[수륙재]] 야단법석(野壇法席)을 펼 때 괘불을 걸었던 자취이리라.<ref>'''무위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네이버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8161&cid=42840&categoryId=42849, 2016년 12월 26일 확인.''' 이 서비스는 (무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돌베개, 초판 1995, 23쇄 2010.)를 원본으로 한다.</ref>
| + | ===가상현실=== |
| | | |
− | ===절의 특징=== | + | ===갤러리=== |
− | 강진 무위사는 수륙재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 | | |
− | 「신증동국여지승람」 권 37 <강진현 불우조>에는 '세월이 오래되어 퇴락했던 무위사를 이제 중수하고 이로 인해 수륙사(水陸社)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 | ===영상=== |
| | | |
− | 무위사가 수륙사로 지정된 것과 극락보전의 건립, [[아미타삼존도]] · [[아미타여래도]]등의 벽화 조성은 그 조성 시기 및 신앙 배경 등에 있어서 상호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왜냐하면 [[수륙사]]로 지정된 무위사는 수륙재(水陸齎)를 빈번하게 행하였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수륙재는 지상에 떠도는 망령을 부처님에 의하여 환생케 하는 재생 의식으로서 적을 포함한 전사자를 위로하는 불교 의식이다. 죽은 영혼을 달래려는 수륙재는 곧 살아 있는 자들의 애도와 복수심가지 포용하려는 차원에서 거행된 불교 의식인 것이다. 수륙사로 지정된 무위사에 [[극락보전]]이 건립되고 [[아미타불]]의 벽화가 조성되는 것은 이와 같은 신앙 구조 속에서 가능한 것이라 여겨진다. <ref>무위사 소개, 대한불교조계종 월출산 무위사, http://www.muwisa.com/maha/introduce/introduce_02.html, 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경내 문화재'''== | + | =='''참고문헌'''==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
−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
− |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 |
− |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
| |
− | *[[무위사삼층석탑]]
| |
| | | |
− | =='''관련 지식정보 노드'''==
| + | {{승탑비문 Top icon}} |
− | {| class="wikitable"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
− | ! 노드 || 관계 || 노드 || 설명
| |
− | |-
| |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을 포함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를 포함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를 포함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는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를 포함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 강진 무위사는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를 포함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 || 강진 무위사는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를 포함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를 포함한다 || [[무위사삼층석탑]] || 강진 무위사 극락전는 무위사삼층석탑를 포함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가 창건하였다 || [[형미]] || 강진 무위사는 선각국사 형미가 창건하였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 ~의 역할을 하다 || [[수륙사]] || 강진 무위사는 수륙사의 역할을 하였다.
| |
− | |-
| |
− | |}
| |
− | | |
− | =='''기여자'''==
| |
− | [[김사현]]: 최초 작성
| |
− | | |
− | =='''각주'''==
| |
− | <references/>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 [[분류:사찰]] | |
− | [[분류:승탑/작성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