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문화유산정보 | + | {{유물유적정보 |
− | |사진 =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 + | |사진=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
− |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 | |사진출처= |
− | |한자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 |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 | |영문 = | + |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 | |이칭 = | + | |영문명칭= |
− | |지정번호 = 국보 제13호 | + | |이칭= |
− | |지정일 = 1962.12.20 | + | |유형= |
− |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 + | |시대= |
− | |위도 = 34.738758 | + |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
− | |경도 = 126.686809 | +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
− | |웹사이트 = | + | |소장처= [[강진 무위사]] |
| + | |경도= 34.738758 |
| + | |위도= 126.686809 |
| + | |수량= |
| + | |관련인물= |
| + | |관련단체= |
| + | |관련장소= |
| + | |관련물품= |
| + | |관련유물유적= |
| }} | | }} |
| | | |
− | =='''소개'''== | + | =='''정의'''== |
− |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무위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이다. 국보 제13호이다.
| |
| | | |
− | [[강진 무위사|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1555년(명종 10) 4창할 때 건립된 것인데, 이 극락전만큼은 1956년경 수리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뒷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연기문(緣起文)]]을 통하여 1476년(성종 7) 이전에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
| + | =='''내용'''== |
− | <ref>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 |
| | | |
− | =='''건축 양식'''== | + | =='''지식관계망'''== |
− | 이 불전은 엇맞추어 쌓은 [[석단(石壇)]]에 [[갑석(甲石)]]만을 둘러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아 세웠다.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공포(栱包)]]는 [[주심포계(柱心包系)]], 지붕은 [[맞배지붕]]을 한 단층 겹처마집이다.
| + | "그래프 삽입" |
| | | |
− | 기단은 앞쪽만을 높게 쌓고 두 옆면과 뒷면은 지세(地勢)를 그대로 이용하여 건물을 세웠다. 주좌(柱坐)를 새기지 않은 주춧돌 위에 [[배흘림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기둥머리와 주심포작(柱心包作)을 짜올려서 가구를 결구시켰다.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 | 출목의 수는 [[이출목]]으로서 바깥쪽 포의 끝은 제공(諸貢: 공포에서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여진 것)처럼 되어 있고, 내포(內包)는 1장의 판으로 만든 것처럼 [[파련(波蓮)무늬]]를 새긴 [[운공]](雲工: 장여와 도리를 받는 초새김한 짧은 재목)으로 되어 있다.
| + | =='''시각자료'''== |
| | | |
− | 내부에서는 대들보를 가운데칸 양쪽 포 위에 놓고 대들보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올려놓고, 그 위에 다시 [[파련대공(波蓮臺工)]]과 ㅅ자 [[솟을합장]]을 세워 마루도리를 받치고 있다.
| + | ===가상현실=== |
| | | |
− | 이렇듯 가구구조(架構構造)는 2중량(二重樑) 구조로 되어 있는데, 건물 외부에서 보면 2중량 구조로 보이지 않고 두 고주(高柱) 위에 중종보[中宗樑]만이 걸쳐져 있고 그밖에 창방(昌枋)·퇴보·장여 등 작은 직선재(直線材)로 측면을 간결하게 구성하고 있다.
| + | ===갤러리=== |
| | | |
− | 건물의 앞면은 격자모양·빗살모양을 섞어 만든 4분합(四分閤) 문을 달았고, 옆면에는 앞쪽에 출입살문, 뒷면에는 칸마다 모두 판자문과 창을 달았다.
| + | ===영상=== |
| | | |
− |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하였고, 그 뒷벽에는 1476년(성종 7)에 조성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내부 바닥에는 마루 대신에 전돌을 깔았고 천장은 위쪽 가구를 드러낸 [[연등천장]]이며 불상 윗부분에만 보개(寶蓋)와 우물반자를 가설하였다.
| + | =='''참고문헌'''== |
| | | |
− | 공포는 기둥머리 위에서 내려다본 단면이 十자형인 쌍S자형 첨차로 그 위에 장여와 제2살미를 놓아 외목의 행공첨차를 받치고, 이 첨차는 다시 제3살미와 직교하여 외목장여를 받치고 있다.
| + | {{승탑비문 Top icon}} |
− | | |
− | 외포(外包)의 첫 출목의 첨차 끝 절단면은 느린 기울기를 가지며 밑면의 S자모양 곡선은 부드럽고 힘차다. 기둥머리나 소로[小累]의 굽은 단면이 직선이고 굽받침이 없다. 이러한 세부적 특징은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의 양식보다는 후대의 것으로 조선 초기 [[주심포]] 건물의 양식적 특징이다.<ref>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 |
− | | |
− | | |
− | =='''관련 지식정보 노드'''==
| |
− | {| class="wikitable" | |
− | ! 노드 || 관계 || 노드 || 설명
| |
− | |-
|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에 있다 || [[강진 무위사]]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강진 무위사에 있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주심포]]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주심포 양식을 가진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이출목]]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이출목 양식을 가진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연등천장]]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연등천장의 양식을 가진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맞배지붕]]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맞배지붕의 양식을 가진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를 주불로 한다 || [[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아미타삼존불좌상을 주불로 한다.
| |
− | |-
|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와 유사하다 ||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부석사무량수전]]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부석사무량수전과 유사하다.
| |
− | |}
| |
− | | |
− | =='''기여자'''==
| |
− | [[김사현]]: 최초 작성
| |
− | | |
− | =='''각주'''==
| |
− | <references/>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 [[분류:승탑/작성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