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 홍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 | {{궁중인물정보 | ||
+ | |사진= |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혜경궁 홍씨 | ||
+ | |한자표기= 惠慶宮 洪氏 | ||
+ | |작위명= [[왕세자빈]], [[대비]] | ||
+ | |이칭별칭= 혜빈(惠嬪), 헌경왕후(獻敬王后) | ||
+ | |재위기간= | ||
+ | |출생사망= 1735년-1815년 12월 15일(음) | ||
+ | |능묘= 융건릉(隆健陵) [https://www.google.co.kr/maps/place/37%C2%B012'28.5%22N+126%C2%B059'21.9%22E/@37.2079173,126.9872223,17z/data=!3m1!4b1!4m5!3m4!1s0x0:0x0!8m2!3d37.207913!4d126.989411 37.207913, 126.989411] | ||
+ | |배우자= [[사도세자]] | ||
+ | |자녀= 2남 2녀<br />[[의소세손|의소세손(懿昭世孫)]], [[조선 정조|정조(正祖)]], [[청연공주|청연공주(淸衍公主)]], [[청선공주|청선공주(淸璿公主)]] | ||
+ | |부친= 영풍부원군(永豐府院君) [[홍봉한|홍봉한(洪鳳漢)]] | ||
+ | |모 = [[한산부부인|한산부부인(韓山府夫人) 이씨(李氏)]] | ||
+ | |전임자= | ||
+ | |후임자= | ||
+ | }} | ||
+ | |||
+ | =='''정의'''== | ||
+ | [[사도세자]]의 비로, 생전에는 [[왕세자빈]]이었으며, 조선 제22대 왕 [[조선 정조]]의 어머니이다. | ||
+ | |||
+ | =='''내용'''== | ||
+ | ===생애=== | ||
+ | 영풍부원군(永豐府院君) [[홍봉한|홍봉한(洪鳳漢)]]과 [[한산부부인|한산부부인(韓山府夫人) 이씨(李氏)]] 의 딸이다. [[사도세자]]와 혼인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나 장남인 [[의소세손|의소세손(懿昭世孫)]]은 3세 때 죽었다.<ref>『영조실록』 76권, 영조 28년 3월 4일 을축 2번째 기사, ‘왕세손이 통명전에서 훙서하다.’</ref>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고 난 뒤, 차남이 [[왕세손]]이 되었다가 왕위에 올랐다. 딸인 [[청연공주|청연공주(淸衍公主)]]는 광은부위(光恩副尉) [[김두성|김두성(金斗性)]]에게,<ref>『영조실록』 105권, 영조 41년 윤 2월 2일 정미 1번째 기사, ‘청연 군주를 김두성과 정혼시키고 광은 부위로 호하다.’</ref> [[청선공주|청선공주(淸璿公主)]]는 흥은위(興恩尉) [[정재화|정재화(鄭在和)]]에게 시집갔다.<ref>『영조실록』 107권, 영조 42년 2월 10일 경술 2번째 기사, ‘유학 정인환의 아들 정재화가 청선 군주에게 장가들어 흥은위의 칭호를 내리다.’</ref> [[사도세자(장조)]]가 죽기 직전 폐세자가 되었을 때 폐세자빈이 되었다가 [[사도세자]] 사후 ‘혜빈(惠嬪)’의 칭호를 받았다.<ref>『영조실록』 99권, 영조 38년 윤5월 21일 계미 2번째 기사, ‘사도세자가 훙서하다. 왕세자의 호를 회복하다.’</ref> [[조선 정조]]가 즉위한 뒤 '혜경궁(惠慶宮)'이 되었으며,<ref>『정조실록』 1권, 정조 즉위년 3월 10일 신사 2번째 기사, 왕비를 왕대비로 삼고 혜빈을 혜경궁으로 삼았으며 빈궁을 왕비로 삼다.</ref> 1815년(순조 15) 죽었다.<ref>『순조실록』 18권, 순조 15년 12월 15일 을축 4번째 기사, 신시에 혜경궁이 경춘전에서 훙서하다.</ref> [[고종|고종(高宗)]]때 추숭되어 ‘헌경왕후(獻敬王后)’가 되었다.<ref>『고종실록』 39권, 고종 36년 9월 1일 양력 3번째 기사, ‘장헌 세자의 묘호망 등과 혜빈의 휘호망과 정종 대왕, 효의 왕후의 존호망을 올리다.’</ref> 저서로 『[[혜경궁 읍혈록|한중록(閑中錄)]]』이 전해진다. | ||
+ | |||
+ | ===거행 의례=== | ||
+ |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30&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BANCHA%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bancha%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C%96%91%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8%A5%84%E7%A6%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ref>,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27&hl=orginner@%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9%88%EA%B6%81%ED%98%BC%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CONTENT%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content%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level1_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B%B9%88%EA%B6%81%ED%98%BC%EA%B6%81%EB%8F%84%EA%B0%90%EC%9D%98%EA%B6%A4$level1_content@%E7%8D%BB%E6%95%AC%E6%83%A0%E5%AC%AA%E6%AE%AF%E5%AE%AE%E9%AD%82%E5%AE%AE%E9%83%BD%E7%9B%A3%E5%84%80%E8%BB%8C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ref>,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ref>[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a&id=uig_225&hl=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orgtitl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tablename@_%5E_DOSUL%5E_HAEJE%5E_SEOJI%5Eimg%5Eimg_uig%5Euig%5Euig_dosul%5Euig_haeje%5Euig_seoji$kname@%E7%8D%BB%E6%95%AC%E6%83%A0%E5%AC%AA%E9%A1%AF%E9%9A%86%E5%9C%92%E5%9C%92%E6%89%80%E9%83%BD%E7%9B%A3%E5%84%80%E8%BB%8C%5E%ED%97%8C%EA%B2%BD%ED%98%9C%EB%B9%88%ED%98%84%EB%A5%AD%EC%9B%90%EC%9B%90%EC%86%8C%EB%8F%84%EA%B0%90%EC%9D%98%EA%B6%A4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PAGENAME}}''' || [[사도세자]] || A는 B의 아내이다 || | ||
+ | |- | ||
+ | | '''{{PAGENAME}}''' || [[왕세자빈]] || A는 B이다 || | ||
+ | |- | ||
+ | | '''{{PAGENAME}}''' || [[가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
+ | |- | ||
+ | | '''{{PAGENAME}}''' || [[간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1월 13일 | ||
+ | |- | ||
+ | | '''{{PAGENAME}}''' || [[납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0일 | ||
+ | |- | ||
+ | | '''{{PAGENAME}}'''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6일 | ||
+ | |- | ||
+ | | '''{{PAGENAME}}''' || [[고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9일 | ||
+ | |- | ||
+ | | '''{{PAGENAME}}''' || [[책빈]]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9일 | ||
+ | |- | ||
+ | | '''{{PAGENAME}}''' || [[친영]]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
+ | |- | ||
+ | | '''{{PAGENAME}}''' || [[동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
+ | |- | ||
+ | | '''{{PAGENAME}}''' || [[혜경궁 홍씨 회갑연|회갑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95년 윤2월 9일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1743년 12월 20일 || [[혜경궁 홍씨]]은 [[납채]]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743년 12월 26일 || [[혜경궁 홍씨]]은 [[납폐]]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743년 12월 29일 || [[혜경궁 홍씨]]은 [[고기]]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744년 1월 9일 || [[혜경궁 홍씨]]은 [[책빈]]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은 [[친영]]을 거행하였다 | ||
+ | |- | ||
+ |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은 [[동뢰]]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는 [[가례]]를 거행하였다 | ||
+ | |- | ||
+ | | 1795년 윤2월 9일 || [[혜경궁 홍씨]]은 [[혜경궁 홍씨 회갑연|회갑연]]을 거행하였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화성행궁 봉수당|봉수당(奉壽堂)]] || [[혜경궁 홍씨]]의 [[혜경궁 홍씨 회갑연|회갑연]]을 거행하였다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영상===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 『영조실록』 | ||
+ | * 『정조실록』 | ||
+ | * 『순조실록』 | ||
+ | * 『고종실록』 | ||
+ | * 임혜린, 「영조~순조대 혜경궁(惠慶宮)의 위상 변화」,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
+ | * 이현진, 「순조대 혜경궁(惠慶宮)의 상장(喪葬) 의례와 성격」,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
+ | * 정만조, 「혜경궁의 삶과 영조대 중후반의 정국」,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
+ | * 최성환, 「혜경궁의 처지와 『한중록』의 다면적 사실성」,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
+ | * 송혜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공연사적 의의」, 『한국어와 문화』 7,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 ||
+ | * 김세은, 「순조 15년(1815) 惠慶宮 洪氏의 薨逝와 顯隆園 合祔」, 『奎章閣』 27,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4. | ||
+ | * 이금희, 「『한중록』과 혜경궁 홍씨의 삶 : 基一_을 중심으로」, 『論文集』 19, 상지대학교, 1998. | ||
+ | *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古典文學硏究』 34, 한국고전문학회, 2008. | ||
+ | |||
+ | ===더 읽을거리=== | ||
+ | |||
+ | ===유용한 정보===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왕세자빈]] |
2017년 8월 22일 (화) 14:06 판
혜경궁 홍씨 (惠慶宮 洪氏) |
|
대표명칭 | 혜경궁 홍씨 |
---|---|
한자표기 | 惠慶宮 洪氏 |
지위/역할 | 왕세자빈, 대비 |
이칭/별칭 | 혜빈(惠嬪), 헌경왕후(獻敬王后) |
출생사망 | 1735년-1815년 12월 15일(음) |
능묘 | 융건릉(隆健陵) 37.207913, 126.989411 |
배우자 | 사도세자 |
자녀 | 2남 2녀 의소세손(懿昭世孫), 정조(正祖), 청연공주(淸衍公主), 청선공주(淸璿公主) |
부친 | 영풍부원군(永豐府院君) 홍봉한(洪鳳漢) |
목차
정의
사도세자의 비로, 생전에는 왕세자빈이었으며, 조선 제22대 왕 조선 정조의 어머니이다.
내용
생애
영풍부원군(永豐府院君) 홍봉한(洪鳳漢)과 한산부부인(韓山府夫人) 이씨(李氏) 의 딸이다. 사도세자와 혼인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나 장남인 의소세손(懿昭世孫)은 3세 때 죽었다.[1] 사도세자가 뒤주에서 죽고 난 뒤, 차남이 왕세손이 되었다가 왕위에 올랐다. 딸인 청연공주(淸衍公主)는 광은부위(光恩副尉) 김두성(金斗性)에게,[2] 청선공주(淸璿公主)는 흥은위(興恩尉) 정재화(鄭在和)에게 시집갔다.[3] 사도세자(장조)가 죽기 직전 폐세자가 되었을 때 폐세자빈이 되었다가 사도세자 사후 ‘혜빈(惠嬪)’의 칭호를 받았다.[4] 조선 정조가 즉위한 뒤 '혜경궁(惠慶宮)'이 되었으며,[5] 1815년(순조 15) 죽었다.[6] 고종(高宗)때 추숭되어 ‘헌경왕후(獻敬王后)’가 되었다.[7] 저서로 『한중록(閑中錄)』이 전해진다.
거행 의례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8],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9],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10]
지식 관계망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혜경궁 홍씨 | 사도세자 | A는 B의 아내이다 | |
혜경궁 홍씨 | 왕세자빈 | A는 B이다 | |
혜경궁 홍씨 | 가례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 | 간택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1월 13일 |
혜경궁 홍씨 | 납채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0일 |
혜경궁 홍씨 | 납폐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6일 |
혜경궁 홍씨 | 고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9일 |
혜경궁 홍씨 | 책빈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9일 |
혜경궁 홍씨 | 친영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 | 동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 | 회갑연 | A는 B를 거행하였다 | 1795년 윤2월 9일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43년 12월 20일 | 혜경궁 홍씨은 납채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6일 | 혜경궁 홍씨은 납폐를 거행하였다 |
1743년 12월 29일 | 혜경궁 홍씨은 고기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9일 | 혜경궁 홍씨은 책빈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은 친영을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은 동뢰를 거행하였다 |
1744년 1월 11일 | 혜경궁 홍씨는 가례를 거행하였다 |
1795년 윤2월 9일 | 혜경궁 홍씨은 회갑연을 거행하였다 |
공간정보
시간 | 내용 |
---|---|
봉수당(奉壽堂) |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거행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영조실록』 76권, 영조 28년 3월 4일 을축 2번째 기사, ‘왕세손이 통명전에서 훙서하다.’
- ↑ 『영조실록』 105권, 영조 41년 윤 2월 2일 정미 1번째 기사, ‘청연 군주를 김두성과 정혼시키고 광은 부위로 호하다.’
- ↑ 『영조실록』 107권, 영조 42년 2월 10일 경술 2번째 기사, ‘유학 정인환의 아들 정재화가 청선 군주에게 장가들어 흥은위의 칭호를 내리다.’
- ↑ 『영조실록』 99권, 영조 38년 윤5월 21일 계미 2번째 기사, ‘사도세자가 훙서하다. 왕세자의 호를 회복하다.’
- ↑ 『정조실록』 1권, 정조 즉위년 3월 10일 신사 2번째 기사, 왕비를 왕대비로 삼고 혜빈을 혜경궁으로 삼았으며 빈궁을 왕비로 삼다.
- ↑ 『순조실록』 18권, 순조 15년 12월 15일 을축 4번째 기사, 신시에 혜경궁이 경춘전에서 훙서하다.
- ↑ 『고종실록』 39권, 고종 36년 9월 1일 양력 3번째 기사, ‘장헌 세자의 묘호망 등과 혜빈의 휘호망과 정종 대왕, 효의 왕후의 존호망을 올리다.’
- ↑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 ↑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
- ↑ 헌경혜빈현륭원원소도감의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영조실록』
- 『정조실록』
- 『순조실록』
- 『고종실록』
- 임혜린, 「영조~순조대 혜경궁(惠慶宮)의 위상 변화」,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이현진, 「순조대 혜경궁(惠慶宮)의 상장(喪葬) 의례와 성격」,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정만조, 「혜경궁의 삶과 영조대 중후반의 정국」,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최성환, 「혜경궁의 처지와 『한중록』의 다면적 사실성」, 『朝鮮時代史學報』 74, 조선시대사학회, 2015.
- 송혜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 ‘봉수당진찬(奉壽堂進饌)’의 공연사적 의의」, 『한국어와 문화』 7,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 김세은, 「순조 15년(1815) 惠慶宮 洪氏의 薨逝와 顯隆園 合祔」, 『奎章閣』 27,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4.
- 이금희, 「『한중록』과 혜경궁 홍씨의 삶 : 基一_을 중심으로」, 『論文集』 19, 상지대학교, 1998.
- 정병설, 「『한중록』의 신고찰」, 『古典文學硏究』 34, 한국고전문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