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사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35326&cid=43667&categoryId=43667 신품 4현]", 시사상식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3년 10월 1일.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302&cid=40942&categoryId=33071 신품사현]",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0004A_0550_020_0010_2000_006_XML 동국 제현(東國諸賢)의 글씨를 평론한 데 대한 서]", 동국이상국후집 제11권 서(序),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전종합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고전번역원. | ||
[[분류:개념]] | [[분류:개념]]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승탑/검토요청]] |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8월 20일 (일) 17:00 판
신품사현 (神品四賢) |
|
대표명칭 | 신품사현 |
---|---|
한자표기 | 神品四賢 |
정의
고려시대까지의 서화(書畵)로 유명한 4인의 거장.[1]
내용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서 비롯된 말로, 이규보는 신라의 김생(金生), 고려의 탄연(坦然), 최우(崔瑀), 유신(柳伸)의 글씨를 신품(神品)이라고 평하며, 이들 네 사람을 '신품 4현(神品四賢)'이라고 불렀다. 김생의 글씨는 '전유암산가서(田遊巖山家序)', '낭공대사비(朗空大師碑)', 탄연의 글씨는 '청평사문수원중수비(淸平寺文殊院重修碑)', '북룡사비(北龍寺碑)', '승가사중수비(僧伽寺重修碑)' 등을 통해 전해진다. 유신의 글씨는 송광사(松光寺)의 '불일보조국사탑비(佛日普照國師塔碑)'를 통해 전해진다.[2]
김생
아침 이슬이 맺히고 저녁 연기가 일어나며 성낸 교룡이 뛰고 신령스러운 봉황이 난다. 김생과 왕 희지는 몸은 비록 다르나 솜씨는 같았다. 마음과 손이 서로 응한 것은 천연의 신비가 붙은 것이다. 신기하고 기이하여 말로 전하기 어렵도다. | ||
출처: "동국 제현(東國諸賢)의 글씨를 평론한 데 대한 서", 동국이상국후집 제11권 서(序), |
탄연
환하기는 명월(明月)이 구름에서 벗어난 것 같고 찬란하기는 부용(芙蓉)이 못에서 솟아난 것 같다. 연약하여 미부인(美夫人)과 같다고 이르지 말라. 밖은 곱지만 속은 근골이 박혀있다. 한 점 한 획이 알맞게 조화되니. 인위로 된 것이 아니라 신(神)이 만든 것이다. | ||
출처: "동국 제현(東國諸賢)의 글씨를 평론한 데 대한 서", 동국이상국후집 제11권 서(序), |
최우
아침 해가 구름에서 솟는 것도 그 글씨의 선명함에는 족히 비유할 수 없고 난새가 날고 봉황이 나는 것도 그 글씨의 끝없이 나부끼는 것에는 족히 비유할 수 없다. 더없이 연약하지만 그중에는 강함이 있고, 더없이 강하지만 도리어 유연함이 있다. 기골과 풍류를 오직 공이 겸하였으니 천부(天符)와 신계(神契)를 자연에서 얻었도다. | ||
출처: "동국 제현(東國諸賢)의 글씨를 평론한 데 대한 서", 동국이상국후집 제11권 서(序), |
유신
높은 기상은 사나운 뱀이 머리를 치켜든 듯, 엄한 기상은 긴 창이 삼엄하게 벌여 있는 듯, 무슨 노여움 있기에 주먹을 이렇게 휘두르고 무슨 싸움이기에 힘을 이렇게 드날리는가. 칼날과 송곳은 순전한 강철이로다. 그 사람의 시대는 점점 멀어지는데 그 글씨는 더욱 빛나네. | ||
출처: "동국 제현(東國諸賢)의 글씨를 평론한 데 대한 서", 동국이상국후집 제11권 서(序), |
관련 비문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 김생(金生)의 글씨를 집자함.
- 진락공문수원기(眞樂公文殊院記) - 탄연(坦然)이 씀.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탄연(坦然)이 쓴 것으로 추정됨
- 송광사보조국사비(松廣寺普照國師碑) - 유신(柳伸)이 씀.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신품사현 | 김생 | A는 B를 포함한다 | |
신품사현 | 탄연 | A는 B를 포함한다 | |
신품사현 | 최우 | A는 B를 포함한다 | |
신품사현 | 유신 | A는 B를 포함한다 |
시각자료
주석
- ↑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 참조: "신품 4현",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작성일: 2013년 10월 1일. - ↑ "신품사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온라인 참조: "신품 4현",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작성일: 2013년 10월 1일. - "신품사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동국 제현(東國諸賢)의 글씨를 평론한 데 대한 서", 동국이상국후집 제11권 서(序),
『한국고전종합DB』online , 한국고전번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