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사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갤러리)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울타리를 시설하고 그 안에 나무를 심어 사구(砂丘)의 이동과 모래의 날림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해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해안침식지 방지사업과 해안방재림 조성사업도 실시하고 있다.<br/> | + | 울타리를 시설하고 그 안에 나무를 심어 사구(砂丘)의 이동과 모래의 날림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해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해안침식지 방지사업과 해안방재림 조성사업도 실시하고 있다.<ref>경상북도 포항시, "사방기념공원" 안내판.</ref><br/> |
주요 공사 방식으로는 [[복사공]], [[퇴사울타리공]], [[정사울타리공]], [[모래풀덮기공]], [[모래언덕조림]] 등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8140 해안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주요 공사 방식으로는 [[복사공]], [[퇴사울타리공]], [[정사울타리공]], [[모래풀덮기공]], [[모래언덕조림]] 등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98140 해안사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
2017년 8월 18일 (금) 12:03 판
해안사방 (海岸砂防) |
|
대표명칭 | 해안사방 |
---|---|
한자표기 | 海岸砂防 |
영문명칭 | sand dune fixation |
관련개념 | 사방사업 |
정의
해안의 침식 및 붕괴와 비사(飛砂) 및 사구(砂丘)의 이동을 방지할 목적으로 해양지역에 실시하는 각종 토목공사와 해안사방조림의 총칭.[1]
내용
울타리를 시설하고 그 안에 나무를 심어 사구(砂丘)의 이동과 모래의 날림을 방지한다. 최근에는 해안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해안침식지 방지사업과 해안방재림 조성사업도 실시하고 있다.[2]
주요 공사 방식으로는 복사공, 퇴사울타리공, 정사울타리공, 모래풀덮기공, 모래언덕조림 등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사방사업 | 해안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
해안사방 | 김원-해안사방 | A는 B의 소재이다 | |
사방사업 | 산지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
사방사업 | 야계사방 | A는 B를 포함한다 | |
사방사업 | 산림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사방사업 | 새마을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사방사업 | 제 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사방사업 | 제 2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사방사업 |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이동 ↑ "해안사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이동 ↑ 경상북도 포항시, "사방기념공원" 안내판.
- 이동 ↑ "해안사방",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이동 ↑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