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지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계와 탄생)
(가계와 탄생)
27번째 줄: 27번째 줄:
  
 
===가계와 탄생===
 
===가계와 탄생===
지눌은 1158년([[고려 의종|의종]] 12)에 황해도 서흥군 (당시 경서의 동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국학의 학정(學正)을 지낸 [[정광우|정광우(鄭光遇)]]이며, 어머니는 조씨(趙氏)였다.
+
지눌은 1158년([[고려 의종|의종]] 12)에 황해도 서흥군 (당시 경서의 동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국학의 학정(學正)을 지낸 [[정광우|정광우(鄭光遇)]]이며, 어머니는 조씨(趙氏)였다. 태어나면서부터 병이 많아 약을 써도 효험이 없었으므로, 그의 부모가 부처에게 기도하여 스님을 만들기로 하자 이내 병이 나았다.<ref>김보혜, 10쪽</ref>
 +
{{blockquote|
 +
스님의 휘(諱)는 지눌(知訥)이니 경서(京西)의 동주(洞州 : 황해도 서흥) 출신이다. 자호(自號)는 목우자(牧牛子)이며, 속성은 정씨(鄭氏)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광우(光遇)이니 국학(國學) 학정(學正)을 역임하였으며, 어머니는 조씨(趙氏)이니 개흥군부인(開興郡夫人)이다. 스님은 날 때부터 병이 많아 백약이 무효였다. 그리하여 아버지가 부처님께 기도하면서 만약 병을 낫게 하여 주시면 출가시켜 부처님을 섬기도록 하겠다고 서원을 세우자마자 병이 곧 완쾌되었다.
 +
|출처=
 +
}}
  
 
===출가수행===
 
===출가수행===

2017년 8월 15일 (화) 13:44 판

지눌(知訥)
순천 송광사 국사전 내 보조국사 지눌의 진영
대표명칭 지눌
한자 知訥
생몰년 1158년(의종 12)-1210년(희종 6)
시호 불일보조(佛日普照)
목우자(牧牛子)
탑호 감로(甘露)
성씨 정씨(鄭氏)
출신지 황해도 서흥(瑞興)
승탑 송광사보조국사비
승탑비 순천송광사보조국사감로탑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내용

가계와 탄생

지눌은 1158년(의종 12)에 황해도 서흥군 (당시 경서의 동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국학의 학정(學正)을 지낸 정광우(鄭光遇)이며, 어머니는 조씨(趙氏)였다. 태어나면서부터 병이 많아 약을 써도 효험이 없었으므로, 그의 부모가 부처에게 기도하여 스님을 만들기로 하자 이내 병이 나았다.[1]

Quote-left.png

스님의 휘(諱)는 지눌(知訥)이니 경서(京西)의 동주(洞州 : 황해도 서흥) 출신이다. 자호(自號)는 목우자(牧牛子)이며, 속성은 정씨(鄭氏)이다. 아버지의 이름은 광우(光遇)이니 국학(國學) 학정(學正)을 역임하였으며, 어머니는 조씨(趙氏)이니 개흥군부인(開興郡夫人)이다. 스님은 날 때부터 병이 많아 백약이 무효였다. 그리하여 아버지가 부처님께 기도하면서 만약 병을 낫게 하여 주시면 출가시켜 부처님을 섬기도록 하겠다고 서원을 세우자마자 병이 곧 완쾌되었다.

Quote-right.png
출처:


출가수행

구법유학

(귀국 및) 활동

입적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보혜, 10쪽

참고문헌

  • 이종익, "지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심재룡, 『지눌연구 : 보조선과 한국불교』,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 강건기, 『보조국사 지눌의 생애와 사상: 불일 보조 스님 이야기』, 불일출판사, 2010.
  • 정안스님, 이용운, 진영에 깃든 선사의 삶과 사상 <96> 보조지눌(普照知訥), 불교신문, 2017.03.13.
  • 이지관,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고려편 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7, 5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