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세종]] || {{PAGENAME}} || A는 B를 창시하였다 || 1443년 창제 | | [[세종]] || {{PAGENAME}} || A는 B를 창시하였다 || 1443년 창제 | ||
|- | |- | ||
− | | {{PAGENAME}} || [[훈민정음 해례본]] || A는 B에 | + | | {{PAGENAME}} || [[훈민정음 해례본]] || A는 B에 묘사되었다 || 1446년 반포 |
|- | |- | ||
| {{PAGENAME}} || [[언문]] || A는 B와 유사하다 || | | {{PAGENAME}} || [[언문]] || A는 B와 유사하다 || |
2017년 8월 15일 (화) 06:24 판
훈민정음 (訓民正音) |
|
대표명칭 | 훈민정음 |
---|---|
한자표기 | 訓民正音 |
영문명칭 | Korean phonetics and phonology for the people |
관련개념 | 파스파 문자 |
목차
정의
'훈민정음'은 다음의 2가지를 의미한다. 우선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이다. 아울러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을 가리키는 책이름이기도 하다.[1]
내용
문자로서의 '훈민정음'
세종은 일반 민중이 글자 없이 생활하면서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음을 마음 아프게 여겼다. 그들 민중은 관청에 호소하려 해도 호소할 길이 없었고, 억울한 재판을 받아도 바로잡아 주기를 요구할 도리가 없었으며, 편지를 쓰려고 해도 그 어려운 한문을 배울 수가 없었다. 또한, 농사일에 관한 간단한 기록도 할 방법이 없었다. 1443년(세종 25) 음력 12월 세종은 ‘훈민정음’이라는 새 글자를 만들어 냈는데, 이러한 독창적인 글자를 만든 일은 세계 역사에 일찍이 찾아볼 수 없었다. 한국의 고유 문자로서의 한글을 일컫는 이름은 여러 가지이다. 세종이 한글을 만들 당시에는 ‘훈민정음’이라 불렀는데, 이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이 때의 소리는 글자와 통한다. ‘훈민정음’을 줄여 ‘정음’이라고도 하였는데, 이 이름은 훈민정음 해례본의 끝에 있는 정인지의 글에 이미 나타나 있다. ‘언문(諺文)’이라는 이름은 최근까지 쓰였는데, 이것은 그 유래가 오래된 말이다. 원래 ‘언’이란 ‘우리말’ 또는 ‘정음’을 가리키는 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훈민정음 해례본에 보면, “문(文)과 언(諺)을 섞어 쓸 때는……” 또는 “첫소리(초성)의 ㆆ과 ㅇ은 서로 비슷하여 언에서는 가히 통용될 수 있다. ”라고 하였고, “반혓소리 ㄹ은 마땅히 언에 쓸 것이지 문에는 쓸 수 없다. ”고 하였는데, 여기서‘언’은 우리글·우리말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2] 더 자세한 내용 보기
문헌으로서의 '훈민정음'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1446년(세종 28) 정인지(鄭麟趾) 등이 세종의 명으로 설명한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解例)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3] 한편 이 속의 '예의'편만을 국역(옛한글 언해)한 책도 있는데, 이는 '훈민정음 언해본' 또는 '언해본 훈민정음'이라고 한다.[4] 이 '훈민정음 언해본'은 현재 온라인으로 디지털화되어 해설과 함께 편리하게 볼 수 있다.[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세종 | 훈민정음 | A는 B를 창시하였다 | 1443년 창제 |
훈민정음 | 훈민정음 해례본 | A는 B에 묘사되었다 | 1446년 반포 |
훈민정음 | 언문 | A는 B와 유사하다 | |
언문 | 한글 | A는 B와 유사하다 | |
한글 | 훈민정음 | A는 B와 유사하다 | |
집현전 | 훈민정음 해례본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446년 간행 |
정인지 | 집현전 | A는 B에 포함된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43년 |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
1446년 | 세종이 훈민정음을 반포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8988 | 126.975914 | 집현전이 위치했던 경복궁 수정전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저술되었다. |
37.593845 | 126.996824 | 간송미술관에 훈민정음 해례본이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 훈민정음 02 예의편 1611469.jpg
예의편
- 훈민정음 03 제자해 1611470.jpg
제자해
- 훈민정음 04 종성해 1611471.jpg
종성해
- 훈민정음 05 합자해 1611472.jpg
합자해
- 훈민정음 06 용자례 1611473.jpg
용자례
- 훈민정음 07 비단과종이에싸여있는훈민정음 1611474.jpg
비단과종이에싸여있는훈민정음
- 훈민정음 08 표지 1611475.jpg
표지
주석
- ↑ "훈민정음",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 ↑ "한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신항, "훈민정음"(간송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05월 28일. - ↑ 강신항, "훈민정음"(언해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훈민정음 언해본",
『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online ,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한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신항, "훈민정음"(간송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신항, "훈민정음"(언해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강신항,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 방종현, 『훈민정음통사』, 일성당서점, 1948.
- 논문
- 김완진, 「세종대의 어문정책에 대한 연구」, 『성곡논총』3, 1972.
- 리숭녕, 「세종의 언어정책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2, 1958.
유용한 정보
- "훈민정음 언해본",
『네이버 한글한글아름답게』online ,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