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98번째 줄: 98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소순규,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N0108 황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 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 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420 황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8418 황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인물]]
 
[[분류:인물]]

2017년 8월 14일 (월) 17:36 판

황희(黃喜)
대표명칭 황희
한자표기 黃喜
영문명칭 Hwang Hee
생몰년 1363년-1452년
본관 장수(長水)
이칭 수로(壽老)
시호 익성(翼成)
방촌(厖村)
구부(懼夫)
출생지 개성(開城)
시대 조선시대
국적 조선
대표저서 방촌집(厖村集)
대표직함 우의정(右議政), 좌의정(左議政), 영의정(領議政)
황군서(黃君瑞)
자녀 황치신(黃致身), 황보신(黃保身), 황수신(黃守身)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내용

본관은 장수(長水)이고 초명은 수로(壽老)이며,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厖村)이다.[1]

황석부(黃石富)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균비(黃均庇)이고, 아버지는 자헌대부 판강릉대도호부사(資憲大夫判江陵大都護府使) 황군서(黃君瑞)이며, 어머니는 김우(金祐)의 딸이다.[2]

황희는 생전 두 명의 아내를 맞이하였는데 첫 번째는 최안(崔安)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일찍 사망하였다. 두 번째로 양진(楊震)의 딸을 맞이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 큰 아들인 황치신(黃致身)은 판중추원사를 역임하였다. 두 번째 아들 황보신(黃保身)은 세조대 원종공신으로 봉해졌으나 고위 관직을 역임하지는 못하였으며, 막내 아들 황수신(黃守身)은 의정부 우참찬을 역임하였다.[3]

업적

1376년(우왕 2) 음직으로 복안궁녹사(福安宮錄事)가 되었다가, 1383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 1389년(창왕 1) 문과에 급제, 이듬해 성균관학관(成均館學官)이 되었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했으나, 태조 이성계의 요청으로 1394년(태조 3) 성균관학관으로 일하게 되었고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도 겸임하였다. 그 후 직예문춘추관(直藝文春秋館)·사헌감찰(司憲監察)·우습유(右拾遺)·경기도도사(京畿道都使)를 역임했다.[4]

1400년(정종 2) 이후 형조·예조·이조·병조 등의 정랑(正郞)을 지냈다. 1402년 부친상을 당해 잠시 사직하였다. 1404년(조선 태종|태종]] 4) 우사간대부(右司諫大夫)가 되었다가 이듬해 승정원에서 왕명을 출납하는 지신사(知申事)에 올랐다. 1408년 민무휼(閔無恤) 등의 횡포를 제거하였다. 1409년 이후 형조·대사헌, 병조(1411), 예조(1413), 이조판서(1415)를 역임하였다. 송사(訟事)문제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호조판서로 복귀하였고, 1416년에는 세자 양녕대군의 실행을 옹호하여 파직되었다가 다시 공조판서로 전임 복귀되었다. 이어 평양 판윤을 거쳐, 1418 한성부판사(漢城府判事)가 되었다.[5]

1449년(세종 31) 벼슬에서 물러날 때까지 18년간 국정을 관리하였다. 농사의 개량, 예법의 개정, 천첩(賤妾) 소생의 천역(賤役) 면제, 국방강화(야인과 왜 방어책), 4군6진 개척, 문물제도의 정비·진흥 등의 업적을 남겼다. 또한 국가의 법이 혼란스러운 것을 수정, 보완하여 《경제육전(經濟六典)》을 간행하였다. 태종은 물론 세종의 가장 신임받는 재상으로 명성이 높았다.[6]

시문에도 뛰어나 몇 수의 시조 작품도 전해진다. 1452년(문종 2)년에 세종묘(世宗廟)에 배향되었다. 파주의 방촌영당(厖村影堂)에 영정이 봉안되어 있고, 상주(尙州)의 옥동서원(玉洞書院) 장수의 창계서원(滄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에 《방촌집(厖村集)》이 있다.[7]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군서 황희 A는 B의 아버지이다
황희 방촌집 A는 B를 저술하였다
황희 조선 세종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363년 황희가 태어났다
1411년 병조판서를 지냈다
1413년 예조판서를 지냈다
1415년 이조판서를 지냈다
1426년 우의정에 올랐다
1427년 좌의정에 올랐다
1449년 영의정으로 치사되었다
1452년 황희가 세상을 떠났다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한충희, "황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한충희, "황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소순규, "황희", 『한국사 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4. "황희", 『두산백과』online.
  5. "황희", 『두산백과』online.
  6. "황희", 『두산백과』online.
  7. "황희",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

  • 소순규, "황희", 『한국사 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한충희, "황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황희", 『두산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