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_단체기사]]
+
 
 +
{{단체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의정부
 +
|한자표기=議政府
 +
|영문명칭=
 +
|이칭= 도당, 묘당, 정부, 황각, 낭묘
 +
|유형=
 +
|창립자=
 +
|창립시대=조선
 +
|창립일= 1400년
 +
|변경일=
 +
|해체일= 1907년
 +
|주요업무= 국정 회의
 +
|담당업무= 국정 회의
 +
|관련기관=
 +
|관련단체=
 +
|소재지=
 +
|웹사이트=
 +
}}
 +
 
 +
==정의==
 +
모든 관료들을 통솔하고 국정의 제반 업무를 관장하였던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이다.
 +
 
 +
==내용==
 +
===의정부의 성립과 변천===
 +
====조선시대 이전 의정부와 유사한 기관====
 +
삼국시대에는 최고 행정기구가 아닌 귀족회의나 합의기구가 있었다가 고려시대에 들어와 당나라의 3성 제도의 영향을 받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이 재상부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도병마사(都兵馬使)(또는 도평의사사)에 최고 관료들이 모여 군사와 국정의 중대사를 운영하게 되었다. 조선의 의정부는 최고기구인 도평의사사를 개편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의 도평의사사가 중서문하성과 중추원(中樞院)의 고위 관직자들이 모인 기구였다면 의정부는 의정부 내의 관직자로만 구성이 되었다는 점에서 독자적 위계를 가진 상설기구라는 성격이 강조되었다.
 +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G0022 의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의정부의 성립====
 +
1400년(정종 2) 세워진 의정부의 소속 관원의 명칭은 판문하부사・문하좌정승・문하우정승이었으며, 고려후기 문하부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 태종|태종]]대와 [[조선 세종|세종]]대 관제개편을 거치면서 점점 그 형태와 성격이 변하게 되었다.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G0022 의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태종 대와 세종 대의 의정부====
 +
의정부는 1400년(정종 2)부터 1414년(태종 14) 4월까지는 의정부서사제가 실시되어 국정을 총괄하기는 하였지만, 태종이 왕권 강화를 위하여 육조직계제를 실시하자 점차 약화되었다.
 +
1414년부터 1436년(세종 18)까지는 육조직계제가 실시됨에 따라 그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
<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79 의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세종 대 이후의 의정부====
 +
436년부터 1455년(단종 3) 윤6월까지와 1516년(중종 11)부터 1592년(선조 25)까지 의정부서사제가 다시 부활되면서 의정부가 국정운영을 주도하였다. 또 1455년(세조 1) 윤6월부터 1516년(중종 11)까지는 육조직계제가 부활됨에 따라 의정부는 다시 약화되었다.
 +
한편 이런 중에도 세조 말년에 이르러 원상제가 운영되면서는 의정부나 육조보다 원상이 국정의 실권을 장악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예종·성종 초로 계승되었다.
 +
<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79 의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조선 후기 비변사와 의정부====
 +
1592년부터 1864년(고종 1)까지는 1554년(명종 9)에 설치된 비변사가 임진왜란을 계기로 육조 등을 지휘하면서 중앙과 지방의 모든 군국기무(軍國機務)를 맡게 됨에 따라 의정부는 실권을 비변사에게 빼앗기고 형식적인 최고기관으로서만 존속하게 되었다. 1864년 2월에 이르러 의정부는 종래까지 비변사가 맡았던 기능 중에서 외교·국방을 제외한 모든 업무를 돌려받음에 따라 옛 기능을 거의 회복하였다. 더욱이 1865년 3월에는 비변사가 의정부에 병합됨에 따라 옛 기능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
 +
그러나 1864년부터 1873년(고종 10)까지는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섭정으로, 1873년부터 1894년까지는 왕비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한 여흥 민씨가 집권하였기에 실질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
<ref>한충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379 의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의정부의 활동===
 +
『경국대전』 속의 의정부 업무는 법제적・상징적인 문구로 업무를 규정한 것이다. 의정부는 최고의 정치기관으로서 시기별로 변동은 있지만 대체적으로 관료선발・군사・외교・의례・형정과 노비・진휼과 구료・교육과 과거・제도 개혁 등 국정의 모든 분야를 관장하였고, 육조의 업무에 관한 거의 모든 사항에 관여하였다. 조선 중후기에 작성된 『 의정부등록(議政府謄錄)』을 통해서는 조선후기 의정부가 구체적으로 무슨 활동을 했는지 자세히 알 수 있다.
 +
<ref>이민정, "[http://contents.koreanhistory.or.kr/id/G0022 의정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사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PAGENAME}} || [[조선 태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PAGENAME}} || [[조선 태종]]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PAGENAME}} ||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 A는 B에 언급된다 ||
 +
|-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
|1801 || [[조선 순조]]가 {{PAGENAME}}의 노비를 혁파하였다.
 +
|-
 +
|조선후기 || [[조선 고종]]이 {{PAGENAME}}를 폐지하였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790885||126.9748553||{{PAGENAME}}는 [[경복궁]]에 있다.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 : 한글팀 내탕고 사정전구조도.JPG | 사정전 구조도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참고문헌==
 +
===더 읽을거리===
 +
*논문
 +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사노비」, 『한국학보』11, 일지사, 1985.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단체]]
 +
[[분류:유물유적]]
 +
[[분류:이혜영]]

2017년 8월 9일 (수) 16:36 판


의정부(議政府)
대표명칭 의정부
한자표기 議政府
이칭 도당, 묘당, 정부, 황각, 낭묘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400년
해체일 1907년
주요업무 국정 회의
담당업무 국정 회의



정의

모든 관료들을 통솔하고 국정의 제반 업무를 관장하였던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이다.

내용

의정부의 성립과 변천

조선시대 이전 의정부와 유사한 기관

삼국시대에는 최고 행정기구가 아닌 귀족회의나 합의기구가 있었다가 고려시대에 들어와 당나라의 3성 제도의 영향을 받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이 재상부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도병마사(都兵馬使)(또는 도평의사사)에 최고 관료들이 모여 군사와 국정의 중대사를 운영하게 되었다. 조선의 의정부는 최고기구인 도평의사사를 개편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의 도평의사사가 중서문하성과 중추원(中樞院)의 고위 관직자들이 모인 기구였다면 의정부는 의정부 내의 관직자로만 구성이 되었다는 점에서 독자적 위계를 가진 상설기구라는 성격이 강조되었다. [1]

의정부의 성립

1400년(정종 2) 세워진 의정부의 소속 관원의 명칭은 판문하부사・문하좌정승・문하우정승이었으며, 고려후기 문하부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었다. 그러나 태종대와 세종대 관제개편을 거치면서 점점 그 형태와 성격이 변하게 되었다. [2]

태종 대와 세종 대의 의정부

의정부는 1400년(정종 2)부터 1414년(태종 14) 4월까지는 의정부서사제가 실시되어 국정을 총괄하기는 하였지만, 태종이 왕권 강화를 위하여 육조직계제를 실시하자 점차 약화되었다. 1414년부터 1436년(세종 18)까지는 육조직계제가 실시됨에 따라 그 기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3]

세종 대 이후의 의정부

436년부터 1455년(단종 3) 윤6월까지와 1516년(중종 11)부터 1592년(선조 25)까지 의정부서사제가 다시 부활되면서 의정부가 국정운영을 주도하였다. 또 1455년(세조 1) 윤6월부터 1516년(중종 11)까지는 육조직계제가 부활됨에 따라 의정부는 다시 약화되었다. 한편 이런 중에도 세조 말년에 이르러 원상제가 운영되면서는 의정부나 육조보다 원상이 국정의 실권을 장악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예종·성종 초로 계승되었다. [4]

조선 후기 비변사와 의정부

1592년부터 1864년(고종 1)까지는 1554년(명종 9)에 설치된 비변사가 임진왜란을 계기로 육조 등을 지휘하면서 중앙과 지방의 모든 군국기무(軍國機務)를 맡게 됨에 따라 의정부는 실권을 비변사에게 빼앗기고 형식적인 최고기관으로서만 존속하게 되었다. 1864년 2월에 이르러 의정부는 종래까지 비변사가 맡았던 기능 중에서 외교·국방을 제외한 모든 업무를 돌려받음에 따라 옛 기능을 거의 회복하였다. 더욱이 1865년 3월에는 비변사가 의정부에 병합됨에 따라 옛 기능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 그러나 1864년부터 1873년(고종 10)까지는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섭정으로, 1873년부터 1894년까지는 왕비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한 여흥 민씨가 집권하였기에 실질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5]

의정부의 활동

『경국대전』 속의 의정부 업무는 법제적・상징적인 문구로 업무를 규정한 것이다. 의정부는 최고의 정치기관으로서 시기별로 변동은 있지만 대체적으로 관료선발・군사・외교・의례・형정과 노비・진휼과 구료・교육과 과거・제도 개혁 등 국정의 모든 분야를 관장하였고, 육조의 업무에 관한 거의 모든 사항에 관여하였다. 조선 중후기에 작성된 『 의정부등록(議政府謄錄)』을 통해서는 조선후기 의정부가 구체적으로 무슨 활동을 했는지 자세히 알 수 있다. [6]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정부 조선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의정부 조선 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의정부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A는 B에 언급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1 조선 순조가 의정부의 노비를 혁파하였다.
조선후기 조선 고종이 의정부를 폐지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90885 126.9748553 의정부는 경복궁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민정, "의정부",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2. 이민정, "의정부",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3. 한충희, "의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한충희, "의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한충희, "의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이민정, "의정부", 『한국사콘텐츠』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1.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사노비」, 『한국학보』11, 일지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