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고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중국으로 유학) |
(→출가수행)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출가수행=== | ===출가수행=== | ||
+ | 태고 보우는 13세 때 [[양주 회암사]]의 [[광지|광지선사(廣智禪師)]]를 스승으로 하여 득도하였다. 19세 때 가지산 업림에서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설두로 선지를 참구하였으나 대중은 아무도 그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26세 화엄선에 합격하고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그 뜻을 깊이 각인하였다.<ref> 太古 普愚大師 硏究, 23</ref> | ||
{{Blockquote|13살 때 회암사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은사로 하여 스님이 되었다. 19살 적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이언만 일귀하처화(一歸何處話)를 들어 참선하였다. ...(중략)... 신사년(辛巳年) 봄에 한양(漢陽)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에 주석하게 되었는데, 동봉(東峯)에 자그마한 암자를 짓고는 편액(扁額)을 태고암(太古庵)이라 하고, 그곳에서 영가(永嘉)스님의 증도가(證道歌)를 본받아 태고암가(太古庵歌) 한 편을 지었다. | {{Blockquote|13살 때 회암사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은사로 하여 스님이 되었다. 19살 적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이언만 일귀하처화(一歸何處話)를 들어 참선하였다. ...(중략)... 신사년(辛巳年) 봄에 한양(漢陽) 삼각산(三角山) 중흥사(重興寺)에 주석하게 되었는데, 동봉(東峯)에 자그마한 암자를 짓고는 편액(扁額)을 태고암(太古庵)이라 하고, 그곳에서 영가(永嘉)스님의 증도가(證道歌)를 본받아 태고암가(太古庵歌) 한 편을 지었다. |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460쪽.}} | |출처=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460쪽.}} |
2017년 8월 7일 (월) 21:32 판
보우(普愚) | |
대표명칭 | 보우 |
---|---|
한자 | 普愚 |
생몰년 | 1301(충렬왕 27)-1382(우왕 8) |
시호 | 원증(圓證) |
호 | 태고(太古) |
휘 | 보우(普愚) |
탑호 | 보월승공(寶月昇空) |
성씨 | 홍씨(洪氏) |
본관 | 홍주(洪州) |
출신지 |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
승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승탑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승려
생애
가계와 탄생
태고 보우는 1301년(충렬왕 27년)에 충청남도 홍주(洪州, 현재의 충청남도 홍성) 태어났다. 본관은 홍주(洪州). 속성은 홍씨(洪氏). 첫 법명은 보허(普虛), 호는 태고(太古). 법명은 보우(普愚). 홍주(洪州: 현재 충청남도 홍성) 출신. 아버지는 홍연(洪延)이며,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다. [1]
국사의 휘는 보우(普愚)요 호는 태고(太古)이며 속성은 홍씨(洪氏)이니 충남 홍주(洪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연(延)이니,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해설 1] 상주국(上柱國)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리병부사(判吏兵部事) 홍양공(洪陽公)에 추증(追贈)되었다. 어머니는 정씨(鄭氏)이니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추증되었다. 부인이 어느 날 밤 태양이 가슴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임신하여 대덕(大德) 5년 신축(辛丑) 9월 21일에 스님을 낳았다. 스님은 성동(成童)의 나이에도 영오(穎悟)함이 남달리 뛰어났다. | ||
출처: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
출가수행
태고 보우는 13세 때 양주 회암사의 광지선사(廣智禪師)를 스승으로 하여 득도하였다. 19세 때 가지산 업림에서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설두로 선지를 참구하였으나 대중은 아무도 그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26세 화엄선에 합격하고 경전을 두루 연구하여 그 뜻을 깊이 각인하였다.[2]
중국으로 유학
귀국 및 활동
왕사에 임명됨
신돈과의 악연
입적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보우 | A는 B의 승탑이다 | |
석옥 | 보우 | A는 B의 스승이다 | |
보우 | 공민왕 | A는 B와 관련있다 | |
보우 | 신돈 | A는 B와 관련있다 | |
보우 | 고양 태고사 | A는 B를 창건하였다 | |
보우 | 장흥 보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권주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석굉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
보우 | 보은 법주사 | A는 B와 관련있다 |
참고문헌
- 서정문, 「太古普愚의 禪風에 관한 硏究」, 『中央增伽大學論文集』, 중앙승가대학교, 1994, 7-31쪽.
- 송윤주, 『태고 보우대사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지관,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9, 450-472쪽.
- 최연식, 「신돈(辛旽)의 불교 신앙과 불교 정책」, 『불교학보』 86,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267-291쪽.
- 한기두, 「太古 普愚 硏究」, 『원광대학교 논문집』, 1973, 83-105쪽.
- 황인규, "36. 태고보우 선사", 불교신문, 2007.10.10.
- 허정철, "⑪ 태고 보우국사-한국불교 대선사의 풍모 '장엄'", 불교신문, 2008.03.19.
주석
용어해설
- ↑ 고려 문산계(文散階). 중국에서는 위(魏)·진(晉) 시대부터 시작된 관계(官階)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995년에 전의대광(典儀大匡)을 개부의동삼사라고 불렀다. 1298년 숭록대부(崇祿大夫)로 개칭. 1356년에 다시 개부의동삼사라 하다가 1362년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으로 고쳤다. 출처: "양주 태고사 원증국사 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고려편4,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458쪽. 각주 15.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