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교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
62번째 줄: | 62번째 줄: | ||
|- | |- | ||
| '''{{PAGENAME}}''' || [[백관]] || A에 B가 등장하였다 || | | '''{{PAGENAME}}''' || [[백관]] || A에 B가 등장하였다 || | ||
− | |||
− | |||
|} | |} |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2017년 8월 7일 (월) 10:56 판
수교도 (受敎圖) |
|
대표명칭 | 수교도 |
---|---|
한자표기 | 受敎圖 |
주제 | 관례 |
제작연대 | 19세기 전반 |
구성 | 1첩(총 26면) |
크기 | 전체 크기 45.4 × 30.6㎝ 그림 크기 45.4 × 61.2㎝ |
소장처 | 국립문화재연구소 |
목차
정의
왕세자의 성인식인 관례의 절차를 그린 그림이다. 국가 의례인 오례(五禮) 중 가례(嘉禮)에 해당하는 관례를 왕세자는 대략 10세 전후하여 관례를 치르는데, 의례의 시작으로여겨 엄숙하게 거행하였다. [1]
내용
해제
구성
임헌명빈찬의도(臨軒命賓贊儀圖) : 1, 2면
왕이 정전에서 빈(賓)과 찬(贊)에게 왕세자의 관례를 행할 것을 명령하는 장면으로, 내용은 전교관이 선교하고 교서가 든 교서함을 빈이 받는 의식이다. 종친과 백관이 동쪽과 서쪽으로 나뉘어 서 있는 모습을 그렸다.[2]
세자수궁관급집사배도(世子受宮官及執事拜圖) : 3, 4면
관례의가 진행되는 장면으로, 동궁 처소에서 왕세자가 세자시강원 및 익위사 관원, 집사자들로부터 재배를 받는 의식을 그린 것이다. 동쪽에는 시강원 관원 및 집사관이 있고, 서쪽에는 익위사 관원들이 앉아있다.[3]
세자여이품이상답배도(世子與二品以上答拜圖) : 5, 6면
종친 및 2품 이상의 백관이 당 안으로 들어오면 종친 및 문관은 북쪽, 무관은 남쪽이 절하는 위치로 가서 왕세자에게 재배(再拜)하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4]
세자수삼품이하배도(世子受三品以下拜圖) : 7, 8면
왕세자가 3품 이하 관원들에게 절을 받는 장면이다. 왕세자의 의자 주변을 호위한 세자시강원과 익위사 관원들과 3품 이하 백관이 그려져 있다.[5]
세자강계배사부빈객도(世子降階拜師傅賓客圖) : 9, 10면
왕세자가 궁관과 집사관, 사부, 빈객을 맞이하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서쪽에 마련된 왕세자의 자리가 있고, 그 앞에 백관의 조복을 입은 사부가 절하는 모습을 그렸다.[6]
세자여주인답배도(世子與主人答拜圖) : 11, 12면
왕세자와 의식을 주관한 주인이 서로 절하는 과정을 그렸다. 왕세자의 자리는 서쪽에 마련되었고, 동쪽에서 백관의 조복을 입은 주인이 홀로 절하고 있다. 왕세자가 재배하면 주인이 답하여 재배하는 모습이다.[7]
세자수교도(世子受敎圖) : 13, 14면
왕세자는 빈(賓)이 왕명을 받들고 온 교서를 받는 의식을 그린 장면이다. 중앙에 왕세자가 서있는 자리가 있고, 계단 위에 교서가 담겨있는 교서함이 준비되어 있다. 교서함 서쪽에 서 있는 사람이 찬자(贊者)이다.[8]
세자승계입동서도(世子陞階入東序圖) : 15, 16면
삼가(三加)를 준비하는 동안 교서를 받은 왕세자가 계단 위로 올라가 협실로 들어가 기다리는 절차를 보여주는 장면이다. 당 안에 관례를 위한 복식이 담긴 함이 보이고 파란 위장 뒤에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다. 왕세자의 자리 동쪽에 있는 사람이 주인이고 북쪽에는 사(師)가 대기하고 있다.[9]
삼가도(三加圖) : 17, 18면
왕세자에게 초가, 재가, 삼가의 관을 씌우는 절차를 그린 장면이다. 주인이 왕세자를 자리로 인도하면 빈이 머리를 빗질하고 싸맨 후 초가의 관인 원유관을 씌운다. 이후 왕세자는 협실로 들어가 곤룡포를 갈아입고 나와서 재가의 관인 익선관을 쓴다. 다시 협실로 들어가 면복을 입고 나와 삼가의 관인 면관을 쓰면 삼가의 예를 마친다.[10]
세자수예도(世子受醴圖) : 19, 20면
왕세자가 왕세자의 대례복인 면복을 입고 당 안의 자리에 앉아 감주를 받아 마시는 장면이다. 이 의식은 빈과 찬이 주관한다.[11]
빈자세자도(賓字世子圖) : 21, 22면
빈이 왕세자에게 자를 내려주는 장면이다. 화면의 동쪽에서 서쪽을 바라보며 서 있는 사람이 행사를 주관하는 주인이다.[12]
조알의도(朝謁儀圖) : 23, 24면
관례를 마친 왕세자가 왕에게 하례를 올리는 장면이다. 화면을 이분하여 아래는 하례장면 오른쪽은 왕세자가 대기하고 있는 장소를 그렸다.[13]
회빈객의도(會賓客儀圖) : 25, 26면
왕세자 관례의 마지막 절차로 주인이 빈객에게 연회를 베푸는 장면이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조알례 이전이여야 하나 여기서는 맨 마지막 절차로 그려졌다.[1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수교도 | 관례 | A는 B를 표현한다 | |
수교도 | 왕세자 | A는 B를 위한 의식이었다 | |
수교도 | 국립문화재연구소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수교도 | 왕세자 | A에 B가 등장하였다 | |
수교도 | 왕 | A에 B가 등장하였다 | |
수교도 | 백관 | A에 B가 등장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9세기 전반 | 수교도를 제작했다 |
공간정보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 ↑ 네이버 지식백과 '수교도'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89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3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5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7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8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99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0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1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2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3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5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7쪽.
-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09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조 행사기록화』,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 김문식, 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민속원, 2006.
- 신명호, 『조선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의 왕: 조선시대 왕과 왕실문화』, 시공사, 1998.
- 한영우, 『조선왕조의 儀軌-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