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방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글고문서_개념기사]]
+
{{개념정보
 +
|사진=
 +
|사진출처=
 +
|대표명칭= 방방례
 +
|한자표기= 放榜禮
 +
|영문명칭=
 +
|이칭=
 +
|유형=
 +
|관련개념= 의식
 +
}}
 +
=='''정의'''==
 +
장원급제자(壯元及第者)가 왕(王)에게 절하고 홍패(紅牌)와 어사화(御賜花)를 하사(下賜)받는 의식(儀式). "[http://hanja.naver.com/word?q=%E6%94%BE%E6%A6%9C%E7%A6%AE&cp_code=0&sound_id=0  방방례(放榜禮)]", <html><online style="color:purple">『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
<!--
 +
=='''내용'''==
 +
경사를 매 일본마다 [[익직]](搦織)하여 제직한 직물로서 한더위 때의 한복용 옷감이다. ≪[[궁중발기]]≫에는 분홍은조사·다홍은조사·백은조사·설백은조사·진홍은조사·옥색은조사·청옥색은조사·남은조사·두록은조사·양남은조사·초록은조사·남송은조사·진분홍은조사·일남은조사 등의 기록이 있어 색상이 다양하였음이 나타난다.
 +
 
 +
우리 나라에서 사용된 은조사는 국내산·중국산·일본산 등이었으며, 보통 여인들의 한더위 때 깨끼치마·저고릿감으로 사용되었다. 은조사는 반드시 안과 밖을 같은 감으로 겹쳐서 지어 입는다. 이와 같이, 겹으로 겹치면 옷감의 올과 올이 겹치며 ‘모아레문’이 천태만상으로 나타나는데, 그 무늬의 어울림이 시각적으로 시원할 뿐만 아니라 청아한 멋이 풍겨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경사는 생사, 위사는 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익직이 위사투입 후 매번 되므로 평직같이 보이나 방공이 넓어 시원스러운 옷감이다.
 +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878  은조사(銀造紗)]",<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지식 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
</gallery>
 +
 
 +
=='''주석'''==
 +
<references/>
 +
<!--
 +
==참고문헌==
 +
===사료===
 +
*『궁중건기(宮中件記)』
 +
 
 +
===저서===
 +
* 장사훈,『한국무용개론』, 대광문화사, 1984
 +
* 장사훈,『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
* 차주환,『당악(唐樂)연구』, 범학도서, 1976
 +
 
 +
===논문===
 +
*이봉이, 「조선시대 말기 왕·왕비 복식 재현 제작 연구」, 학위논문(박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한국복식 2014. 8
 +
*박혜원, 「적삼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09. 8. 졸업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8월 4일 (금) 23:00 판

방방례
(放榜禮)
대표명칭 방방례
한자표기 放榜禮
관련개념 의식


정의

장원급제자(壯元及第者)가 왕(王)에게 절하고 홍패(紅牌)와 어사화(御賜花)를 하사(下賜)받는 의식(儀式). "방방례(放榜禮)", 『사전』online, 네이버.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방방례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