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신륵사 조사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관련항목) |
(→내용)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조사당|조사당(祖師堂)]]은 절에서 덕이 높은 승려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800000,31 여주 신륵사 조사당]",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조사당|조사당(祖師堂)]]은 절에서 덕이 높은 승려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건물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800000,31 여주 신륵사 조사당]",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여주 신륵사|신륵사(神勒寺)]]의 조사당은 [[지공|지공(指空)]], [[혜근|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 [[자초|무학대사 자초(無學大師 自超)]] 3대 화상의 진영(眞影)을 모신 곳으로, 보물 제180호로 지정되어 있다.<ref>황원갑, "나옹 혜근과 봉미산 신륵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69쪽.</ref> [[여주 신륵사|신륵사]]의 여러 건물 중 가장 오래된 조선 초기에 세워졌다.<ref>사찰문화연구원, 『경기도의 전통사찰 I』, 사찰문화연구원, 2008, 250쪽.</ref> | + | [[여주 신륵사|신륵사(神勒寺)]]의 조사당은 [[지공|지공(指空)]], [[혜근|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 [[자초|무학대사 자초(無學大師 自超)]] 3대 화상의 [[진영|진영(眞影)]]을 모신 곳으로, 보물 제180호로 지정되어 있다.<ref>황원갑, "나옹 혜근과 봉미산 신륵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69쪽.</ref> [[여주 신륵사|신륵사]]의 여러 건물 중 가장 오래된 조선 초기에 세워졌다.<ref>사찰문화연구원, 『경기도의 전통사찰 I』, 사찰문화연구원, 2008, 250쪽.</ref> |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앞면은 6짝의 문을 달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옆면은 앞 1칸만 문을 달아 출입구를 만들어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800000,31 여주 신륵사 조사당]",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내부에는 마루를 깔고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만들었으며, 불단(佛壇) 뒷벽 중앙에 [[혜근|나옹화상]]과 그 좌우에 [[지공]] 및 [[자초|무학대사]]의 진영이 걸려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834&cid=40942&categoryId=33383 여주 신륵사 조사당]",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앞면은 6짝의 문을 달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옆면은 앞 1칸만 문을 달아 출입구를 만들어 놓았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1800000,31 여주 신륵사 조사당]",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내부에는 마루를 깔고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만들었으며, 불단(佛壇) 뒷벽 중앙에 [[혜근|나옹화상]]과 그 좌우에 [[지공]] 및 [[자초|무학대사]]의 진영이 걸려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8834&cid=40942&categoryId=33383 여주 신륵사 조사당]",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2017년 7월 31일 (월) 13:51 판
여주 신륵사 조사당 (驪州 神勒寺 祖師堂) |
|
대표명칭 | 여주 신륵사 조사당 |
---|---|
한자표기 | 驪州 神勒寺 祖師堂 |
영문명칭 | Josadang Shrine of Silleuksa Temple, Yeoju |
시대 | 조선 |
지정번호 | 보물 제180호 |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소장처 | 여주 신륵사 |
수량 | 1동 |
관련인물 | 지공(指空), 혜근(惠勤), 자초(自超) |
|
정의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神勒寺)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
내용
조사당(祖師堂)은 절에서 덕이 높은 승려의 초상화를 모셔놓은 건물이다.[1]
신륵사(神勒寺)의 조사당은 지공(指空), 나옹화상 혜근(懶翁和尙 惠勤), 무학대사 자초(無學大師 自超) 3대 화상의 진영(眞影)을 모신 곳으로, 보물 제180호로 지정되어 있다.[2] 신륵사의 여러 건물 중 가장 오래된 조선 초기에 세워졌다.[3]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앞면은 6짝의 문을 달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하고, 옆면은 앞 1칸만 문을 달아 출입구를 만들어 놓았다.[4] 내부에는 마루를 깔고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만들었으며, 불단(佛壇) 뒷벽 중앙에 나옹화상과 그 좌우에 지공 및 무학대사의 진영이 걸려 있다.[5]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여주 신륵사 조사당 | 지공 | A는 B와 관련있다 | |
여주 신륵사 조사당 | 혜근 | A는 B와 관련있다 | |
여주 신륵사 조사당 | 자초 | A는 B와 관련있다 | |
여주 신륵사 조사당 | 여주 신륵사 | A는 B에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여주 신륵사 조사당",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황원갑, "나옹 혜근과 봉미산 신륵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69쪽.
- ↑ 사찰문화연구원, 『경기도의 전통사찰 I』, 사찰문화연구원, 2008, 250쪽.
- ↑ "여주 신륵사 조사당",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여주 신륵사 조사당",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 사찰문화연구원, 『경기도의 전통사찰 I』, 사찰문화연구원, 2008, 250쪽.
- 주남철, "여주 신륵사 조사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3년 12월 5일. - 황원갑, "나옹 혜근과 봉미산 신륵사", 『고승과 명찰』, 바움, 2010, 256-271쪽.
- "여주 신륵사 조사당",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여주 신륵사 조사당",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