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왕실남성)]]은 왕실 남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
− | {{복식정보
| + | *[[폐슬(왕실여성)|폐슬(蔽膝)(왕실여성)]]은 왕실 여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
− | |이미지= 8폐슬오례의서례.jpg | + | *[[폐슬(백관)|폐슬(蔽膝)(백관)]]은 백관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
− | |대표명칭= 폐슬(蔽膝)
| |
− | |이칭별칭=
| |
− | |착용시대= 삼국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 |
− | |착용신분= 왕실
| |
− | |착용성별= 남성
| |
− | |착용연령= 성인, 아동
| |
− | |복식구성= [[12장문|장문(章紋)]]
| |
− | |관련복식= [[대례복|대례복(大禮服)]], [[제복|제복(祭服)]], [[조복|조복(朝服)]]
| |
− | |복식구분= 예복 장식
| |
− | |필드수= 10
| |
− | }}
| |
− | ==정의==
| |
− | * 무릎 가리개.
| |
| | | |
− | ==복식구성==
| + | [[분류:동음이의어]] |
− | | + | [[분류:프로젝트관리]] |
− | ==기본정보==
| |
− | ===착용신분===
| |
− | *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 |
− | | |
− |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 |
− | *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대례복]].
| |
− | * [[문무백관]]: [[조복]]과 [[제복]].
| |
− | | |
− | ===기본 형태===
| |
− | *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 |
− | ** 위의 너비 1척, 아래의 너비 2척, 길이 3척으로,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태로, 1은 하늘, 2는 땅, 3은 삼재를 상징함.<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1~42쪽.</ref>
| |
− | {{Blockquote|붉은 슬갑 넓적다리에 있고 행전이 아래에 있도다. 【불(芾)은 태고 때 무릎 가리개의 모습이다. 면복을 불(芾)이라 하고 기타의 의복은 필(韠}라고 하는데 가죽으로써 만든다. 그 제도에 있어 위의 너비는 1척이고 아래의 너비는 2척이며 길이는 3척이다. 그 목 부분은 5촌이고 어깨[肩]와 [[혁대]]는 너비가 2촌이다.】(赤芾在股,邪幅在下【箋云: 芾,大古蔽膝之象也。冕服謂之芾,其他服謂之韠。以韋爲之,其製上廣一尺,下廣二尺,長三尺,其頸五寸,肩革帶, 博二寸.】)
| |
− | |출처= 『詩經』, 「小雅」, '采菽'.}}
| |
− | * [[문무백관]]<ref>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05~106쪽.</ref>
| |
− | ** 착용의 여부만 언급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제도가 기록되어 있지 않아 조선시대 문무관 [[조복]]·[[제복]]에 착용된 폐슬은 각 가정에서 제작하여 치수는 크고 작은 정도의 차이가 있음.
| |
− | ** 길이가 가슴에서부터 무릎까지 내려온 것도 있고, 의복으로서의 역할이 아닌 상징적 의미로 착용되어 [[상복|상복(喪服)]]의 눈물받이와 같은 것도 있었음.
| |
− | | |
− | ===기타===
| |
− | * '''기원'''
| |
− | ** 사람은 먼저 앞을 가리는 것을 알고 후에 뒤를 가림을 알았는데, 폐슬은 앞을 가리던 역할을 하였다가 후에 예복에 달린 무릎가리개가 되고 앞과 뒤에 두르는 [[상|상(裳)]]이라는 형태의 옷이 생겨남.<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1~42쪽.</ref>
| |
− | | |
− | ==관련항목==
| |
− | ===문헌/회화 → 복식===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보여준다 ||
| |
− | |-
|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
− | |-
| |
− | |}
| |
− | | |
− | ===복식 → 복식===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PAGENAME}}''' || 노드 || A는 B의 부분이다 ||
| |
− | |-
| |
− | |}
| |
− | | |
− | ===인물 → 복식===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
− | |}
| |
− | | |
− | ===복식 → 기관===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PAGENAME}}''' || 노드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 | |-
| |
− | |}
| |
− | | |
− | ===기관/소장처 → 복식===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노드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
−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 |
− | * 권현주, 「접섭대(䪓韘帶)에 관한 연구」, 『中央아시아硏究』, V.11, 중앙아시아학회, 2005.
| |
− |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
− |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
−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7.
| |
− |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
− |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
− |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
− | * 周錫保, 『中國古代服飾史』, 中國戱劇出版社, 1983.
| |
− |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
− |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
− |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 [[분류:궁중기록화]] | |
− | [[분류:복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