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희지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내용)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 | 파일: | ||
+ | 파일:BHST Ingaksa Bogak stele-front.jpg|[[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
+ | 파일:BHST Ingaksa Bogak stele rub.jpg |보각국사비 탑본<ref>"[http://dryplate.museum.go.kr/program_2016/sub/sub_view_category.jsp?RELICNUM=017026&IDS1=D&IDS2=D01&IDS3=D0101&IDS4=D010104&categorySelect=IDS1&keyCategory=Z&searchSelect=keyWord&keyWord=%EB%B3%B4%EA%B0%81%EA%B5%AD%EC%82%AC%EB%B9%84&pageSize=12¤tPage=1&SEQ=11629 인각사 보현(각)국사비 탁본]", 문자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파일:BHST Stele for Master Honggak at Seollimwon Temple Site, Yangyang.jpg|[[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2&VdkVgwKey=12,04460000,32&queryText=&cultnm=%EC%96%91%EC%96%91%20%EC%84%A0%EB%A6%BC%EC%9B%90%EC%A7%80%20%ED%99%8D%EA%B0%81%EC%84%A0%EC%82%AC%ED%83%91%EB%B9%84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 | 파일:BHST Seollimwon Honggak stele rub.jpg|홍각선사탑비 탑본<ref>"[http://dryplate.museum.go.kr/program_2016/sub/sub_view_category.jsp?SEQ=11547&cHkK=C&RELICNUM=016944&IDS1=D&IDS2=&IDS3=&IDS4=&IDR2=&IDR3=&categorySelect=IDS1&keyCategory=D&searchSelect=&keyWord=&pageSize=12¤tPage=57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탁본]", 문자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ref> | ||
+ | </gallery> | ||
=='''주석'''== | =='''주석'''== |
2017년 7월 27일 (목) 16:31 판
정의
중국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 307-365)의 글씨체.
내용
왕희지(王羲之)는 동진(東晉)시대 사람으로 해서(楷書), 행서(行書), 초서(草書)의 서체를 예술적으로 승화시킨 서예가이다. 서진(西晉)의 여류 서예가인 위부인(衛夫人)의 서풍을 배웠고, 한(漢)나라와 위(魏)나라의 비문을 연구하여 해서·행서·초서의 각 서체를 완성하였다. 당 태종(唐 太宗)은 그의 글씨를 수집하여 한 조각의 글씨까지도 아끼다가 죽을 때 관에 넣어갔다고 한다.[1][2]
해서의 대표작으로는 『악의론(樂毅論)』 『황정경(黃庭經』이, 행서로는 『난정서(蘭亭序)』, 초서로는 그가 쓴 많은 편지를 모은 『십칠첩(十七帖)』이 유명하다. 또 송(宋)의 태종(太宗)이 992년에 조각한 『순화각첩(淳化閣帖)』이라는 법첩에는 그의 편지가 많이 수록되었고, 당(唐)나라의 회인(懷仁)이라는 중이 고종(高宗)의 명을 받아 672년에 왕희지의 필적 중에서 집자(集字)하여 세운 ‘대당삼장성교서비(大唐三藏聖敎序碑)’ 등도 그의 서풍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 밖에도 『상란첩(喪亂帖)』, 『공시중첩(孔侍中帖)』, 『유목첩(遊目帖)』, 『이모첩(姨母帖)』,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 등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왕희지체 | A는 B로 쓰여졌다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왕희지체 | A는 B로 쓰여졌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왕희지체 | A는 B로 쓰여졌다 | |
왕희지체 | 왕희지 | A는 B와 관련있다 | |
왕희지체 | 해서 | A는 B와 관련있다 | |
왕희지체 | 행서 | A는 B와 관련있다 | |
왕희지체 | 초서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왕희지",
『두산백과』online . - ↑ "왕희지체",
『두산백과』online . - ↑ "왕희지",
『두산백과』online . - ↑ "인각사 보현(각)국사비 탁본", 문자자료,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 ↑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탁본", 문자자료,
『조선총독부박물관 유리건판』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