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앙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분류: | + | {{개념정보 |
− | [[분류: | + | |사진=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원앙진 | ||
+ | |한자표기= 鴛鴦陣 | ||
+ | |영문명칭= Magic Square | ||
+ | |이칭= | ||
+ | |유형= | ||
+ | |관련개념= | ||
+ | }} | ||
+ | =='''정의'''== | ||
+ | 중국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의 하나.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ref> | ||
+ | =='''내용'''== | ||
+ | 척계광이 저술한 병서 『기효신서(紀效新書)』에 수록되어 있는데, 진의 정면에 방패를 든 군사 2명을 앞세우고서 군사 10명이 2열 종대로 대오를 이룬 진형을 취하고 있어 마치 짝을 찾아 사는 새인 원앙과 그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척계광은 당시 중국의 가장 큰 근심의 하나였던 남방의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새로운 근접전 무기인 낭선(狼筅), 당파(鎲鈀), 장창(長槍), 등패(籐牌) 등을 채택하여 왜구의 장기인 큰 칼을 이용한 근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무기를 장비한 12명으로 이루어진 최소 부대 단위인 대(隊)를 편성하였다. 한 대에는 지휘자인 대장 1명과 등패와 표창(鏢槍)을 가진 등패수 2명, 낭선을 가진 낭선수 2명, 장창을 든 장창수 4명, 당파와 화전(火箭)으로 무장한 당파수 2명, 그리고 취사 등 잡일을 담당하는 화병(火兵) 1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전투시에는 이 대의 군사 중에서 화병은 빠지고 대장을 선두로 하여 등패수-낭선수-장창수-당파수의 순으로 서서 적군을 향해 나아가 낭선, 장창, 당파 등을 이용하여 격투를 벌이게 된다. | ||
+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25134&cid=49345&categoryId=49345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콘텐츠닷컴. </ref> | ||
+ | |||
+ | =='''지식 관계망'''==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PAGENAME}}||[[기효신서]]||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PAGENAME}}||[[병학지남]]||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 |{{PAGENAME}}||[[척계광]]||B는 A에 의해 창시되었다|| | ||
+ | |}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
+ | </gallery> | ||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사료=== | ||
+ | * 기효신서(紀效新書), 1560년 | ||
+ | * 병학지남(兵學指南), 1787년 | ||
+ | |||
+ | ===논문=== | ||
+ | *홍을표, 「明後期 戚繼光의 戰法 硏究」, 학위논문 (박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 동양(명청)사 2013. 8 | ||
+ | *박금수, 『무예제보(武藝諸譜)』를 통한 원앙진(驚鴦陣)의 운용형태 연구, 한국스포츠인류학회, Vol.5 No.- [2008], 45-59(15쪽) | ||
+ | *최형국, 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Vol.- No.78 [2011], 71-107(37쪽) | ||
+ | |||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
2017년 7월 27일 (목) 12:16 판
원앙진 (鴛鴦陣) |
|
대표명칭 | 원앙진 |
---|---|
한자표기 | 鴛鴦陣 |
영문명칭 | Magic Square |
정의
중국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이 고안한 진법의 하나. [1]
내용
척계광이 저술한 병서 『기효신서(紀效新書)』에 수록되어 있는데, 진의 정면에 방패를 든 군사 2명을 앞세우고서 군사 10명이 2열 종대로 대오를 이룬 진형을 취하고 있어 마치 짝을 찾아 사는 새인 원앙과 그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척계광은 당시 중국의 가장 큰 근심의 하나였던 남방의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새로운 근접전 무기인 낭선(狼筅), 당파(鎲鈀), 장창(長槍), 등패(籐牌) 등을 채택하여 왜구의 장기인 큰 칼을 이용한 근접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무기를 장비한 12명으로 이루어진 최소 부대 단위인 대(隊)를 편성하였다. 한 대에는 지휘자인 대장 1명과 등패와 표창(鏢槍)을 가진 등패수 2명, 낭선을 가진 낭선수 2명, 장창을 든 장창수 4명, 당파와 화전(火箭)으로 무장한 당파수 2명, 그리고 취사 등 잡일을 담당하는 화병(火兵) 1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전투시에는 이 대의 군사 중에서 화병은 빠지고 대장을 선두로 하여 등패수-낭선수-장창수-당파수의 순으로 서서 적군을 향해 나아가 낭선, 장창, 당파 등을 이용하여 격투를 벌이게 된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앙진 | 기효신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원앙진 | 병학지남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원앙진 | 척계광 | B는 A에 의해 창시되었다 |
주석
- ↑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문화콘텐츠닷컴. - ↑ "원앙진(鴛鴦陣)", 문화원형백과 한민족 전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문화콘텐츠닷컴.
참고문헌
사료
- 기효신서(紀效新書), 1560년
- 병학지남(兵學指南), 1787년
논문
- 홍을표, 「明後期 戚繼光의 戰法 硏究」, 학위논문 (박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 동양(명청)사 2013. 8
- 박금수, 『무예제보(武藝諸譜)』를 통한 원앙진(驚鴦陣)의 운용형태 연구, 한국스포츠인류학회, Vol.5 No.- [2008], 45-59(15쪽)
- 최형국, 朝鮮後期 陣法 鴛鴦陣의 軍士武藝 特性,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Vol.- No.78 [2011], 71-107(3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