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이이|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이이|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내용'''== | =='''내용'''== | ||
− | * [[이이|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희|주자(朱子)]]의 [[무이구곡도가|〈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의 [[도산십이곡|〈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이이|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희|주자(朱子)]]의 [[무이구곡도가|〈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의 [[도산십이곡|〈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ref>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년 12월 27일 확인.--></ref> |
− | *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ref>시각자료들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3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 + | *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ref>시각자료들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3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곳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ref>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89999&cid=41708&categoryId=41711&anchorTarget=TABLE_OF_CONTENT6#TABLE_OF_CONTENT6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2017년 03월 29일 확인.-->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3647 고산구곡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2016년 12월 27일 확인.--> | ||
===더 읽을 거리=== | ===더 읽을 거리=== | ||
*단행본 | *단행본 | ||
86번째 줄: | 89번째 줄: | ||
*#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 1·2」, 『개신어문연구』1·2, 충북대학교, 1981-1982. | *#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 1·2」, 『개신어문연구』1·2, 충북대학교, 1981-1982. | ||
*온라인 | *온라인 | ||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8874&cid=41773&categoryId=41783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2007.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서비스. <!--2017년 03월 29일 확인.--> |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68874&cid=41773&categoryId=41783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2007.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서비스. 2017년 03월 29일 확인.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문헌]] | [[분류:문헌]] |
2017년 7월 27일 (목) 00:35 판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 |
대표명칭 | 고산구곡가 |
---|---|
한자표기 | 高山九曲歌 |
영문명칭 | Nine poems of Gosan composed by Yi Yi |
저자 | 이이 |
역자 | 송시열 |
저술시기 | 1578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정의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1]
내용
- 율곡 이이가 43세 때 황해도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은 10수의 연시조(聯時調)로서 〈석담구곡가(石潭九曲歌)〉라고도 한다. 주자(朱子)의 〈무이구곡가(武夷九曲歌)〉를 본떠서 지었다고 한다.(栗谷先生年譜) 그 첫수는 서곡(序曲)이고, 둘째 수부터 제1곡으로 시작하여 제9곡까지 읊었다. 즉 제1곡은 관암(冠岩), 2곡은 화암(花岩), 3곡은 취병(翠屛), 4곡은 송애(松崖), 5곡은 은병(隱屛), 6곡은 조협(釣峽), 7곡은 풍암(楓岩), 8곡은 금탄(琴灘), 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를 한 수의 시조로 읊어 놓았다. 이황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작이다.[2]
- 이이가 애초 한글[諺文]로 작성하였고, 이후 송시열(宋時烈)이 오언의 한역시로 번역하기도 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무이구곡도가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모델이다 | |
고산구곡 | 고산구곡가 | A는 B의 모델이다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의 모델이다 | |
고산구곡가 | 고산구곡도 | A는 B에 포함된다 | |
이이 | 고산구곡가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578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578년 | 이이가 고산구곡가를 창작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고산구곡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고산구곡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시각자료들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243쪽;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곳에서 소개된 『율곡전서』 수록 한역본 이미지이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이응백·김원경·김선풍,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고산구곡가", 이이,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고산구곡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5.
-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77.
- 논문
- 고정희, 「〈도산십이곡〉과 〈고산구곡가〉의 언어적 차이와 시가사적 의의」, 『국어국문학』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 권오성, 「율곡의 고산구곡가 율자보에 대한 소고」, 『제3회 국제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 이민홍, 「고산구곡가와 무이도가고 1·2」, 『개신어문연구』1·2, 충북대학교, 1981-1982.
- 온라인
- "고산구곡금탄", 『한시작가작품사전』, 국학자료원, 2007.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