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보물 제697호. 2권 2책. 목판본. 고려의 고승 나옹화상 혜근(惠勤)의 글을 각련(覺璉)과 각뢰(覺雷)가 수집하고, 혼수(混修)가 교정, 간행한 것이다.
+
보물 제697호. 2권 2책. 목판본. 고려의 고승 나옹화상 혜근(惠勤)의 글을 각련(覺璉)과 각뢰(覺雷)가 수집하고, 혼수(混修)가 교정, 간행한 것이다.<ref>천혜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10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제1권은 『나옹화상어록』으로서 혜근의 행장·탑명(塔銘)·법어 등을 수록하고, 제2권은 『나옹화상가송』으로서 가(歌)·송(頌)·게(偈)·찬(讚) 등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이 판본은 1363년(공민왕 12) 간행의 구본(舊本)을 혜근의 제자인 각정(覺玎)·각연(覺然)·각변(覺卞) 등이 교수(校讐)하여 1379년에 중간한 것이다. 그 판에서 인출한 판본이 적지 않게 전래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 이것이 가장 정교하다. 민족항일기에 경성제국대학에서 발행한 영인본도 바로 이 판본에 의한 것이다. 리움미술관에 있다.<ref>천혜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10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나옹화상어록은 고려의 승려 나옹화상 혜근(惠勤)의 글을 제자들이 수집하고 교정하여 총 67장으로 간행한 것이며, 나옹화상가송은 나옹화상 혜근이 직접 지은 시집이다. 나옹화상(1320∼1376)은 일찍 중국에 들어가 인도의 승려 지공(指空)에게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운 뒤 고려에 돌아와 공민왕의 스승이 되었다.
+
제1권은 『나옹화상어록』으로서 혜근의 행장(行狀)·탑명(塔銘)·법어 등을 수록하고, 제2권은 『나옹화상가송』으로서 가(歌)·송(頌)·게()·찬() 등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語錄 및 懶翁和尙歌頌)은 공민왕 12년(1363)에 처음 간행한 것을 나옹화상의 제자들이 교정하여 우왕 5년(1379)에 다시 찍어낸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어록과 가송이 각각 1권으로 나눠져 2책으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26㎝, 가로 16㎝이다.
+
이 판본은 1363년(공민왕 12) 간행의 구본(舊本)을 혜근의 제자인 각정(覺玎)·각연(覺然)·각변(覺卞) 등이 교수(校讐)하여 1379년에 중간한 것이다.<ref>천혜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1410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나옹화상어록은 여러 책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 책은 그 중에서도 글자의 새김과 인쇄상태가 가장 좋은 책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970000,11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목판본. 2권 2책. 보물 제697호.
+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어록과 가송이 각각 1권으로 나눠져 2책으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26㎝, 가로 16㎝이다. 나옹화상어록은 여러 책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 책은 중에서도 글자의 새김과 인쇄상태가 가장 좋은 책이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6970000,11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나옹의 글에 대한 자료를 직계 제자인 각련(覺璉) · 각뢰(覺雷)가 수집하고 혼수(混修)가 교정하여 간행하였다.
 
제1권은 그의 행장(行狀)과 법어(法語) · 탑명(塔銘) 등을 수록한 《나옹화상어록》이며, 제2권은 가(歌) · 송(頌) · 게(偈) · 찬(讚) 등의 시가(詩歌)를 모아 엮은 《나옹화상가송》이다. 이 판본은 1363년(공민왕 12)에 간행된 구본을 나옹의 제자인 각정(覺玎) ·각연(覺然) 등이 교수(校修)하여 중간한 것이다.
 
같은 판본을 저본으로 인출한 판본들이 많이 전해지고 있으나, 그 가운데에서 가장 정교함을 보여준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3893 석불좌상]",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고려 말의 고승 나옹화상 혜근(惠勤)의 어록과 가송. 1379년(우왕 5)에 간행되었다. 2권 2책. 목판본. 보물 제697호. 나옹화상(惠勤)의 글을 각련(覺璉)과 각뢰(覺雷)가 수집하고, 혼수(混修)가 교정, 간행한 것이다. 제1권은 ≪나옹화상어록≫으로서 혜근의 행장 · 탑명(塔銘) · 법어 등을 수록하고, 제2권은 ≪나옹화상가송≫으로서 가(歌) · 송(頌) · 게(偈) · 찬(讚) 등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
이 판본은 1363년(공민왕 12) 간행의 구본(舊本)을 혜근의 제자인 각정(覺玎) · 각연(覺然) · 각변(覺卞) 등이 교수(校讐)하여 1379년에 중간한 것이다. 그 판에서 인출한 판본이 적지 않게 전래되고 있으나 그중에서 이것이 가장 정교하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7&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이 판본은 1363년(공민왕 12) 간행의 구본(舊本)을 혜근의 제자인 각정(覺玎) · 각연(覺然) · 각변(覺卞) 등이 교수(校讐)하여 1379년에 중간한 것이다. 그 판에서 인출한 판본이 적지 않게 전래되고 있으나 그중에서 이것이 가장 정교하다.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민족항일기에 경성제국대학에서 발행한 영인본도 바로 이 판본에 의한 것이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1437&cid=41708&categoryId=41711 나옹화상어록·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017년 7월 19일 (수) 18:59 판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BHST Naonghwasang eorok and Naonghwasang gasong.jpg
대표명칭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시대 고려시대
소장처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정의

1379년에 간행된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어록과 가송.[1]


내용

보물 제697호. 2권 2책. 목판본. 고려의 고승 나옹화상 혜근(惠勤)의 글을 각련(覺璉)과 각뢰(覺雷)가 수집하고, 혼수(混修)가 교정, 간행한 것이다.[2]

제1권은 『나옹화상어록』으로서 혜근의 행장(行狀)·탑명(塔銘)·법어 등을 수록하고, 제2권은 『나옹화상가송』으로서 가(歌)·송(頌)·게(偈)·찬(讚) 등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이 판본은 1363년(공민왕 12) 간행의 구본(舊本)을 혜근의 제자인 각정(覺玎)·각연(覺然)·각변(覺卞) 등이 교수(校讐)하여 1379년에 중간한 것이다.[3]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어록과 가송이 각각 1권으로 나눠져 2책으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26㎝, 가로 16㎝이다. 나옹화상어록은 여러 책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 책은 그 중에서도 글자의 새김과 인쇄상태가 가장 좋은 책이다.[4]

이 판본은 1363년(공민왕 12) 간행의 구본(舊本)을 혜근의 제자인 각정(覺玎) · 각연(覺然) · 각변(覺卞) 등이 교수(校讐)하여 1379년에 중간한 것이다. 그 판에서 인출한 판본이 적지 않게 전래되고 있으나 그중에서 이것이 가장 정교하다.[5]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나옹 A는 B를 저술하였다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삼성미술관 리움 A는 B에 있다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혼수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천혜봉,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천혜봉,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천혜봉,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나옹화상어록 및 나옹화상가송",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나옹화상어록·나옹화상가송", 국어국문학자료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