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학 진영(신륵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7번째 줄: 17번째 줄:
 
=='''내용'''==
 
=='''내용'''==
  
[[무학(無學)]]을 그린 초상화로, 크기는 가로 80㎝, 세로 133㎝이며, 제작연대가 불분명하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이 그림은 [[무학(無學)]]을 그린 초상화로, 크기는 가로 80㎝, 세로 133㎝이며, 제작연대가 불분명하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나옹|나옹(懶翁)]]의 조각상을 봉안한 조사전의 후벽에 모셔져 있었다. 조선 후기 초상화의 양식을 따랐지만 적색·녹색, 음영법을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19세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나옹|나옹(懶翁)]]의 조각상을 봉안한 조사전의 후벽에 모셔져 있었다. 조선 후기 초상화의 양식을 따랐지만 적색·녹색, 음영법을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19세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림 속 [[무학]]은 가사·장삼을 걸치고 의자에 앉은 모습이다. 위쪽에는 “조선국태조왕사무학대화상(朝鮮國太祖王師無學大和尙)”이라고 쓰여 있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그림 속 [[무학]]은 가사·장삼을 걸치고 의자에 앉은 모습이다. 위쪽에는 “조선국태조왕사무학대화상(朝鮮國太祖王師無學大和尙)”이라고 쓰여 있다.<ref> "[http://www.doopedia.co.kr/mo/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2&MAS_IDX=10101300094485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7월 18일 (화) 22:29 판

무학 진영(신륵사)
한자명칭 懶翁 眞影(神勒寺)
소장처 여주 신륵사
문화재지정사항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
유형 유물
크기(세로×가로) 133㎝×80㎝


정의

고려 말의 승려 무학(無學, 1327-1405)의 진영.

내용

이 그림은 무학(無學)을 그린 초상화로, 크기는 가로 80㎝, 세로 133㎝이며, 제작연대가 불분명하다.[1]

나옹(懶翁)의 조각상을 봉안한 조사전의 후벽에 모셔져 있었다. 조선 후기 초상화의 양식을 따랐지만 적색·녹색, 음영법을 사용한 것으로 미루어 19세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2]

그림 속 무학은 가사·장삼을 걸치고 의자에 앉은 모습이다. 위쪽에는 “조선국태조왕사무학대화상(朝鮮國太祖王師無學大和尙)”이라고 쓰여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학 진영(신륵사) 무학 A는 B를 묘사하였다
무학 진영(신륵사) 여주 신륵사 A는 B에 있다
무학 진영(신륵사) 지공 진영(신륵사) A는 B와 관련있다
무학 진영(신륵사) 나옹 진영(신륵사) A는 B와 관련있다
무학 진영(신륵사) 무학 진영(통도사)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2012년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7호로 지정되었다

주석

  1.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두산백과』online.
  2.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두산백과』online.
  3. "신륵사 조사당 삼조사도",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