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복식 규 02.jpg |대표명칭= 규(圭) |이칭별칭= |착용시대= 조선 |착용신분= 왕실 |착...)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규(왕실남성)|규(圭)(왕실남성)]]는 남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복식정보
+
*[[규(왕실여성)|규(圭)(왕실여성)]]는 여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이미지= 궁중기록화 복식 02.jpg
 
|대표명칭= 규(圭)
 
|이칭별칭=
 
|착용시대= 조선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착용연령= 성인, 아동
 
|복식구분= 기타
 
|복식구성=
 
|관련복식= [[대례복]]
 
|필드수= 10
 
}}
 
  
==정의==
+
[[분류:동음이의어]]
* 손에 드는 길쭉한 모양의 옥기(玉器).
+
[[분류:프로젝트관리]]
 
 
==복식구성==
 
 
 
==기본정보==
 
===착용신분===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착용상황===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대례복]]을 착용할 때.
 
 
 
===형태===
 
* 직사각형의 옥판에 위는 삼각형이고, ‘사방을 안정시킨다’는 의미를 담은 산 무늬를 새김.<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7쪽.</ref>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규 01.jpg|『正祖國葬都監儀軌』.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규 02.jpg|영친왕의 규.<ref>국립고궁박물관 소장.</ref>
 
</gallery>
 
 
 
===기타===
 
* 상징
 
** [[천자]]는 나라를 다스릴 권한을 하늘로부터 받는데, 이 천명(天命)은 실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천명을 상징하는 [[규]]를 받음.<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78쪽.</ref>
 
* [[고종]]은 황제로 등극할 때 중국 황제와 동격인 1척 2촌의 백옥규를 들음.
 
* 규의 아랫부분은 비단으로 감싸는데, [[조선]]시대에는 홍색을 썼고, [[대한제국]]시대에는 황색을 사용.
 
* [[조선]]시대에는 이를 ‘감이’라고 했는데, 우리말 ‘싸개’의 표현.
 
 
 
==관련항목==
 
 
 
==참고문헌==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이강칠 외,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2003.
 
* 임명미, 「韓·中·日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V.51, N.2. 한국복식학회, 2001.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이 시대의 진정한 ‘紳士’를 위하여」, 『전통 의생활 연구』, 제 2집, 단국대학교 전통복식연구소, 2008.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식]]
 

2017년 7월 13일 (목) 00:01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