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내용'''== | =='''내용'''== | ||
− | === | + | ===복식세부=== |
===착용신분=== | ===착용신분=== | ||
− | 남녀 공용으로 모든 신분이 귀천없이 사용하지만 여성용 비녀는 장식적 요소가 강하다. | + | 남녀 공용으로, 모든 신분이 귀천없이 사용하지만 여성용 비녀는 장식적 요소가 강하다. |
− | ===착용상황 | + | ===착용상황=== |
왕실 남성들은 [[면관|면관(冕冠)]], [[원유관|원유관(遠遊冠)]]에 옥(玉)이나 금(金)으로 된 비녀를 사용하고 문무백관은 [[양관|양관(梁冠)]]에 뿔로 된 비녀[角簪]나 나무로 된 비녀[木簪]를 사용한다.<br/> | 왕실 남성들은 [[면관|면관(冕冠)]], [[원유관|원유관(遠遊冠)]]에 옥(玉)이나 금(金)으로 된 비녀를 사용하고 문무백관은 [[양관|양관(梁冠)]]에 뿔로 된 비녀[角簪]나 나무로 된 비녀[木簪]를 사용한다.<br/> | ||
− | 여성들은 봄에는 모란잠(牡丹簪), 봄·가을에는 매죽잠(梅竹簪), 여름에는 민옥잠(珉玉簪), 겨울에는 용잠(龍簪)을 주로 사용하며 예복용으로는 봉잠(鳳簪)을 주로 사용한다. | + | 여성들은 봄에는 모란잠(牡丹簪), 봄·가을에는 매죽잠(梅竹簪), 여름에는 민옥잠(珉玉簪), 겨울에는 용잠(龍簪)을 주로 사용하며 예복용으로는 봉잠(鳳簪)을 주로 사용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4쪽.</ref> |
===형태=== | ===형태=== | ||
− | 긴 막대 형태의 | + | 긴 막대 형태의 [[비녀]]는 한쪽 끝은 머리카락이나 관(冠)의 구멍을 관통하기 위해 뾰족한 편이며 다른 한쪽 끝은 비녀 머리라 하여 장식이 되어 있다. |
+ | |||
===기타=== | ===기타=== | ||
− | 비녀는 대개 | + | 비녀는 대개 가로방향으로 꽂지만, [[대수]]에는 세로 방향으로 선잠[立簪]을 꽂기도 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4쪽.</ref><br/> |
− | |||
비녀의 이름은 비녀를 만든 재료나 비녀 머리의 장식에 따라 붙여진다. | 비녀의 이름은 비녀를 만든 재료나 비녀 머리의 장식에 따라 붙여진다. | ||
2017년 7월 12일 (수) 23:09 판
비녀 (簪) |
|
대표명칭 | 비녀 |
---|---|
한자표기 | 簪 |
이칭별칭 | 계(筓), 채(釵) |
구분 | 수식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쪽진 머리나 관(冠) 등 머리 형태를 고정하거나 장식하기 위해 꽂는 도구이다.[1]
내용
복식세부
착용신분
남녀 공용으로, 모든 신분이 귀천없이 사용하지만 여성용 비녀는 장식적 요소가 강하다.
착용상황
왕실 남성들은 면관(冕冠), 원유관(遠遊冠)에 옥(玉)이나 금(金)으로 된 비녀를 사용하고 문무백관은 양관(梁冠)에 뿔로 된 비녀[角簪]나 나무로 된 비녀[木簪]를 사용한다.
여성들은 봄에는 모란잠(牡丹簪), 봄·가을에는 매죽잠(梅竹簪), 여름에는 민옥잠(珉玉簪), 겨울에는 용잠(龍簪)을 주로 사용하며 예복용으로는 봉잠(鳳簪)을 주로 사용한다.[2]
형태
긴 막대 형태의 비녀는 한쪽 끝은 머리카락이나 관(冠)의 구멍을 관통하기 위해 뾰족한 편이며 다른 한쪽 끝은 비녀 머리라 하여 장식이 되어 있다.
기타
비녀는 대개 가로방향으로 꽂지만, 대수에는 세로 방향으로 선잠[立簪]을 꽂기도 한다.[3]
비녀의 이름은 비녀를 만든 재료나 비녀 머리의 장식에 따라 붙여진다.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비녀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비녀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비녀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비녀 | 대수 | A는 B에 착용한다 |
비녀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4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4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4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