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사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여성의 머리에 드리우는 장식용 | + | 여성의 머리에 드리우는 장식용 [[댕기]]의 일종이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68쪽.</ref> |
− | ==내용== | + | =='''내용'''== |
− | === | + | ===복식세부=== |
===착용신분=== | ===착용신분=== |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여기 등이 착용한다.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여기 등이 착용한다. | ||
===착용상황=== | ===착용상황=== | ||
− | [[대수]] 등의 머리모양을 할 때와 | + | [[대수]] 등의 머리모양을 할 때와 [[여기]]들이 [[연화대]]복식을 입을 때 머리에 드리운다. |
===형태=== | ===형태=== |
2017년 7월 12일 (수) 22:56 판
마리사기 (首紗只) |
|
대표명칭 | 마리사기 |
---|---|
한자표기 | 首紗只 |
이칭별칭 | 수사지(首沙只), 유소(流蘇) |
구분 | 수식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여기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내용
복식세부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여기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대수 등의 머리모양을 할 때와 여기들이 연화대복식을 입을 때 머리에 드리운다.
형태
하나의 긴 끈으로 제작하여 정 중앙을 한번 접어 두 가닥으로 만들고 그 두 가닥의 가운데를 다시 한번 접어 네 가닥으로 하여 다시 그 가운데를 접어 여덟 가닥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보인다.[2]
기타
수사지(首沙只)는 '마리사기'의 표기로서 수(首)는 '마리' 혹은 '머리'의 뜻을 새기어 표기한 것이고, 사지(沙只)는 사기의 음을 쫒은 표기이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마리사기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마리사기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마리사기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마리사기 | 대수 | A는 B에 착용한다 |
마리사기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68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68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46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