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후성 전답매매명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참고문헌) |
|||
86번째 줄: | 86번째 줄: | ||
[[분류:한글고문서]] | [[분류:한글고문서]] | ||
[[분류:전시자료]] | [[분류:전시자료]] | ||
+ | |||
+ | [[분류:한글고문서_문헌]] | ||
+ | [[분류:문헌]] |
2017년 6월 30일 (금) 23:17 판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
영문명칭 | A record of land trade issued when Yang Huseong was trading land with Gu Aengae |
---|---|
작자 | 양후성 |
작성시기 | 1767년 |
간행시기 | 조선후기 |
소장처 | 장서각(경주손씨 송첨종택 기탁) |
유형 | 고문서 |
크기(세로×가로) | 36.4×43㎝ |
판본 | 필사본 |
수량 | 1章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정의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이 구ᄋᆡᆼ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1767년 2월 7일에 양후성이 구ᄋᆡᆼ애에게 전답을 매매할 때 발급한 문서이다. 양후성은 자신이 소유한 전답을 팔고 다른 곳의 전답을 구입하기 위하여 전답을 매매하였다. 매매한 전답의 면적은 파종량을 기준으로 피모皮牟 12마지기이고, 수확량을 기준으로 10복卜이며, 가격은 전문錢文 3냥으로 거래되었다. 문서의 말미에는 전답을 매매한 후 이의를 제기할 경우 관에 보고해서 분쟁을 해결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당시 전답을 매매할 때 김귀남이 증인으로 참석하였고, 돌이 문서를 작성하였다. [1]
이명
한국학자료센터 한국고문서자료관에는 "1767년 구잉애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양후성 | A는 B이 지었다 | 1767년 |
구ᄋᆡᆼ애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A는 B에 언급된다 | 1767년 |
김귀남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A은 B에 언급된다 | 1767년 |
백돌이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 | A는 B에 언급된다 | 1767년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767년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이 작성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39197 | 127.054387 | 양후성 전답매매명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19쪽.
- ↑ 1767년 구잉애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한국고문서자료관』online 작성일: 2003년 10월 07일.
참고문헌
- 단행본
-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編輯, 『古文書集成/ 32: 慶州 慶州孫氏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온라인 참조: "고문서집성 32",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정보관』online . - 嶺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良佐洞硏究』, 嶺南大學校出版部, 1990.
- 李樹健 編著, 『慶北地方古文書集成』, 嶺南大學校出版部, 1981.
- 李樹健, 『嶺南士林派의 形成』, 嶺南大學校出版部, 1979.
- 國學振興硏究事業推進委員會 編輯, 『古文書集成/ 32: 慶州 慶州孫氏篇』,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온라인 참조: "고문서집성 32",
- 온라인
- "1767년 구잉애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진흥사업단성과포털』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30일.
- "1767년 구잉애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