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품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이미지=  
+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품대
 
|대표명칭= 품대
 
|한자표기= 品帶
 
|한자표기= 品帶
 
|이칭별칭= 각대
 
|이칭별칭= 각대
|복식구분= 기타
+
|구분=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착용성별= 남성
|관련복식= [[단령]]
 
|필드수= 7
 
 
}}
 
}}
  

2017년 6월 28일 (수) 23:14 판


품대
(品帶)
대표명칭 품대
한자표기 品帶
이칭별칭 각대
구분
착용신분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 남자들이 관복을 입을 때 허리에 띠는 대이다.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왕자, 문무백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제복이나 조복 차림, 단령을 입을 때 겉옷 위에 두른다.

형태

가죽으로 띠를 만들어 청색이나 흑색 비단을 씌운다. 정(鞓)에는 가로로 가는 금줄 5개를 그리고 그 위에 띠돈[帶錢](과판)을 붙여 장식한다. 품대는 사용자의 품계에 따라 띠돈의 재료를 달리 사용하는데 1품은 서대(犀帶), 정2품은 삽금대(鈒金帶), 종2품은 소금대(素金帶), 정3품은 삽은대(鈒銀帶), 종3품에서 종4품까지 소은대(素銀帶), 5품 이하는 흑각대(黑角帶)를 띠었다.[1]

기타

조선 전기의 품대는 허리에 잘 맞도록 고안된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나 후기에는 착용자의 허리둘레보다 큰 형태로 변화됨에 따라 착용 시 뒤로 늘어지게 되었다. 규정에는 없으나 흑단령본 초상화나 유물 중에 학정대(鶴頂帶)가 많은 편인데 이는 소금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부마 등을 비롯하여 종2품이 사용하는 품대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품대 문무백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품대 단령 A는 B에 착용한다
품대 속대전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2쪽.
  2.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13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