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후수(백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후수 |한자표기= 後綬 |이칭별칭= |복식구분= 의복 |착용신분= 왕세...)
(차이 없음)

2017년 6월 9일 (금) 01:05 판


후수
(後綬)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후수
한자표기 後綬
착용신분 왕세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복과 제복 차림을 할 때 적초의청초의 위에 허리 뒤쪽으로 드리우는 장식이다. [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왕세자, 왕자, 대원군, 문무백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국가 제사를 지낼 때,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에 에게 하례(賀禮)를 드리는 의례에 참석할 때 입는 옷이다.[2]

형태

비단 위에 관품에 따라 다른 종류의 새를 수놓은 몸판과 아래에 늘어뜨려진 망수(網綏)로 되어 있고, 몸판 위에 1쌍의 환이 달려 있다. 환(環)의 종류는 1·2품 금환, 3·4품 은환, 5품 이하가 동환이다. 수놓인 새의 종류는 1·2품 학(鶴), 3품 소리개[반조(盤鵰)], 4~6품 때까치[연작(練鹊)], 7품 이하가 비오리[계칙(㶉鶒)]이다.[3]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후수(백관) A는 B를 착용하였다
후수(백관) 왕세자 A는 B를 착용하였다
후수(백관) 왕세손 A는 B를 착용하였다
후수(백관) A는 B에 착용한다
후수(백관)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1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9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90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