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26번째 줄: 26번째 줄:
  
 
===탑비===
 
===탑비===
탑비는 비신(碑身)이 없어지고,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만 남아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응료탑비(凝寥塔碑)''라는 전액(篆額)이 새겨져 있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71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
탑비는 비신(碑身)이 없어지고, [[귀부|귀부(龜趺)]]와 [[이수|이수(螭首)]]만 남아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응료탑비(凝寥塔碑)'라는 전액(篆額)이 새겨져 있다.<ref>김세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3671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홍척은 남한조사라(南漢祖師)고도 하며, 헌강왕 때에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826년(흥덕왕 1)에 귀국한 뒤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실상산파(實相山派)의 기반을 닦은 고승이었다.<ref>민백,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495&cid=40942&categoryId=33380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 두산백과.</ref>
 
홍척은 남한조사라(南漢祖師)고도 하며, 헌강왕 때에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826년(흥덕왕 1)에 귀국한 뒤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실상산파(實相山派)의 기반을 닦은 고승이었다.<ref>민백,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9495&cid=40942&categoryId=33380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 두산백과.</ref>

2017년 6월 1일 (목) 03:22 판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한자 南原 實相寺 秀澈和尙塔碑
이칭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實相寺 證覺大師凝廖塔碑)
주소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9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승려 홍척
승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정의

전라남도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實相寺)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홍척(洪陟, ?-?)의 탑비.

내용

탑비

탑비는 비신(碑身)이 없어지고, 귀부(龜趺)이수(螭首)만 남아있다. 이수 앞면 가운데에는 '응료탑비(凝寥塔碑)'라는 전액(篆額)이 새겨져 있다.[1]

홍척은 남한조사라(南漢祖師)고도 하며, 헌강왕 때에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826년(흥덕왕 1)에 귀국한 뒤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실상산파(實相山派)의 기반을 닦은 고승이었다.[2]

탑비는 9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경주의 신라 무열왕릉비와 같이 한국 석비의 고전적 형태를 잘 나타내고 있다.[3]

비문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세호,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민백, "실상사 증각대사응료탑비", 두산백과.
  3.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