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인각사 삼층석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각자료) |
(→내용)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ref>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2599 상륜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가 남아 있어 양식 연구에 중요한 탑이다. 각 층의 비례와 지붕돌 형태 등을 볼 때 고려 전기의 양식이 가미되어 있어 석탑의 편년 연구에도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8936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ref>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2599 상륜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가 남아 있어 양식 연구에 중요한 탑이다. 각 층의 비례와 지붕돌 형태 등을 볼 때 고려 전기의 양식이 가미되어 있어 석탑의 편년 연구에도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78936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ref>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2599 상륜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가 남아 있어 양식과 구조연구에 중요하다. 또한 이 탑의 제1 탑신석(塔身石)<ref> (같은 말)옥신석(석탑의 몸체를 이루는 돌).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9249700 탑신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이 제2 탑신석보다 높이의 비례가 크고, 옥개석(屋蓋石)<ref>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7857900 옥개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국어사전』<sup>online</sup></online></html>.</ref>의 옥개받침이 4단인 점 등을 볼 때 고려전기의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어 나말선초 석탑의 편년 연구에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4270000,37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2017년 5월 24일 (수) 12:38 판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인각사 안에 있는 석탑.
내용
승려 일연이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집필한 곳이라 전하는[1] 인각사 극락전 앞 마당에 세워진 신라 말 고려 초의 삼층석탑이다. 현재 기단부(基壇部) 일부가 땅에 묻혀져 있고 기단(基壇)[2] 윗 부분부터 지상에 드러나 있다.[3]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4]가 남아 있어 양식 연구에 중요한 탑이다. 각 층의 비례와 지붕돌 형태 등을 볼 때 고려 전기의 양식이 가미되어 있어 석탑의 편년 연구에도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5]
탑의 양식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을 이어받은 삼층석탑으로, 보기 드물게 상륜부(相輪部)[6]가 남아 있어 양식과 구조연구에 중요하다. 또한 이 탑의 제1 탑신석(塔身石)[7]이 제2 탑신석보다 높이의 비례가 크고, 옥개석(屋蓋石)[8]의 옥개받침이 4단인 점 등을 볼 때 고려전기의 양식을 따르는 것으로 생각되어 나말선초 석탑의 편년 연구에 있어 좋은 자료로 평가된다.[9]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군위 인각사 | A는 B에 있다 |
주석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두산백과』online . - ↑ 건축물의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단. "기단",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 - ↑ 사찰문화연구원, 『전통사찰총서16』, 사찰문화연구원, 2001. 151쪽.
- ↑ 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 "상륜부",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軍威 麟角寺 三層石塔)",
『두산백과』online . - ↑ 쇠붙이로 된, 원기둥 모양의 장식이 있는 불탑의 꼭대기 부분. "상륜부",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 - ↑ (같은 말)옥신석(석탑의 몸체를 이루는 돌). "탑신석",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 - ↑ 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옥개석",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 문화재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