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사천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상세
 
{{개념정보상세
|사진=Sacheonwang.jpg
+
|사진=BHST_Sacheonwang.jpg
 
|사진출처=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
 
|사진출처=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
 
|대표명칭=사천왕
 
|대표명칭=사천왕
29번째 줄: 29번째 줄: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
|rowspan="2"|[[파일:Sacheonwang E.jpg|thumb|center|120px|동방지국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rowspan="2"|[[파일:BHST_Sacheonwang E.jpg|thumb|center|120px|동방지국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동방 제두뢰타천왕(提頭賴咤天王, 持國天, Dhrtarastr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동방 제두뢰타천왕(提頭賴咤天王, 持國天, Dhrtarastr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40번째 줄: 40번째 줄: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
|rowspan="2"|[[파일:Sacheonwang_S.jpg|thumb|center|120px|남방증장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rowspan="2"|[[파일:BHST_Sacheonwang_S.jpg|thumb|center|120px|남방증장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남방 비루륵차천왕(毘樓勒叉天王, 增長天 Virudhak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남방 비루륵차천왕(毘樓勒叉天王, 增長天 Virudhak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51번째 줄: 51번째 줄: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
|rowspan="2"|[[파일:Sacheonwang_W.jpg|thumb|center|120px|서방광목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rowspan="2"|[[파일:BHST_Sacheonwang_W.jpg|thumb|center|120px|서방광목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서방 비루박차천왕(毘樓博叉天, 廣目天, Virupaks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서방 비루박차천왕(毘樓博叉天, 廣目天, Virupaks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62번째 줄: 62번째 줄: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
|rowspan="2"|[[파일:Sacheonwang_N.jpg|thumb|center|120px|북방다문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rowspan="2"|[[파일:BHST_Sacheonwang_N.jpg|thumb|center|120px|북방다문천왕<ref>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ref>]]||style="background:#EAEAEA;width:70px;text-align:center" | '''이칭''' || style="width:1200px;text-align:left" |  
 
* 북방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 多聞天, Vaisravan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북방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 多聞天, Vaisravana)<ref>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6964&cid=42636&categoryId=42636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78번째 줄: 78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사천왕문의 사천왕상''">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사천왕문의 사천왕상''">
파일:DSC01393.JPG|120px|경주 불국사 사천왕문의 사천왕상
 
파일:Bulguksa Sacheonwang.JPG|경주 불국사 사천왕문의 사천왕상
 
파일:Gwanchoksa Sacheonwang-1.jpg|논산 관촉사 사천왕상
 
파일:Gwanchoksa Sacheonwang-2.jpg|논산 관촉사 사천왕상
 
파일:수덕사 사천왕 광목천왕.JPG|예산 수덕사 서방광목천왕
 
파일:수덕사 사천왕 다문천왕.JPG|예산 수덕사 북방다문천왕
 
파일:수덕사_사천왕_증장천왕.JPG|예산 수덕사 남방증장천왕
 
파일:수덕사_사천왕_지국천왕.JPG|예산 수덕사 동방지국천왕
 
 
파일:BorimSacheonE.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동방지국천왕(1539년)]]
 
파일:BorimSacheonE.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동방지국천왕(1539년)]]
 
파일:BorimSacheonS.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남방증장천왕(1539년)]]
 
파일:BorimSacheonS.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남방증장천왕(1539년)]]
 
파일:BorimSacheonW.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서방광목천왕(1539년)]]
 
파일:BorimSacheonW.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서방광목천왕(1539년)]]
 
파일:BorimSacheonN.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북방다문천왕(1539년)]]
 
파일:BorimSacheonN.jpg|[[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중 북방다문천왕(1539년)]]
파일:Chiljangsa Sacheonwang-1.jpg|[[안성 칠장사 소조사천왕상|안성 칠장사 소조사천왕상(17세기 전반)]]
 
파일:Chiljangsa Sacheonwang-2.jpg|[[안성 칠장사 소조사천왕상|안성 칠장사 소조사천왕상(17세기 전반)]]
 
 
</gallery>
 
</gallery>
  

2017년 5월 22일 (월) 23:53 판

틀:개념정보상세

정의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네 명의 외호신(外護神).[1]

내용

사천왕은 고대 인도인들에게는 세상을 지켜주는 신들이었는데, 석가모니 부처님께 귀의하여 부처님과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 이들은 수미산 중턱에서 네 방향을 지키면서 불법을 수호한다.[2]

사천왕은 나라와 경전에 따라 도상에 약간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물이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칼과 창, 탑 등의 무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다문천은 손에 항상 보탑을 들고 있어 사천왕의 명칭을 확인하는 데 하나의 기준이 된다.[3]

동방지국천왕

동방지국천왕[4]
이칭
  • 동방 제두뢰타천왕(提頭賴咤天王, 持國天, Dhrtarastra)[5]
설명

지국천왕(持國天王)은 안민(安民)의 신으로서 수미산 동쪽 중턱의 황금타(黃金埵)에 있는 천궁(天宮)에서 살고 있다. 16선신(善神)의 하나이기도 한 지국천왕은 선한 자에게 상을 내리고 악한 자에게 벌을 주어 항상 인간을 고루 보살피며 국토를 수호하겠다는 서원을 세웠다고 한다.[6]

남방증장천왕

남방증장천왕[7]
이칭
  • 남방 비루륵차천왕(毘樓勒叉天王, 增長天 Virudhaka)[8]
설명

증장천왕(增長天王)은 수미산 남쪽의 유리타(瑠璃埵)에 살고 있다. 그는 자신의 위덕을 증가하여 만물이 태어날 수 있는 덕을 베풀겠다는 서원을 세웠다고 한다. 구반다 등 무수한 귀신을 거느린 증장천왕은 온몸이 적육색이며 노한 눈을 특징으로 삼고 있다.[9]

서방광목천왕

서방광목천왕[10]
이칭
  • 서방 비루박차천왕(毘樓博叉天, 廣目天, Virupaksa)[11]
설명

미산 중턱 백은타(白銀埵)에 살고 있는 광목천왕(廣目天王)은 흔히 잡어(雜語)·비호보(非好報)·악안(惡眼)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그의 남다른 모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즉, 그의 몸은 여러 가지 색으로 장식되어 있고 입을 크게 벌린 형상을 함으로써 웅변으로 온갖 나쁜 이야기를 물리친다고 한다. 또 눈을 크게 부릅뜸으로써 그 위엄으로 나쁜 것들을 몰아낸다고 하여 악안·광목이라고 하는 것이다.[12]

북방다문천왕

북방다문천왕[13]
이칭
  • 북방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 多聞天, Vaisravana)[14]
설명

다문천왕(多聞天王)은 항상 부처님의 도량을 지키면서 부처님의 설법을 듣는다 하여 다문이라고 한다. 그가 맡은 역할은 암흑계의 사물을 관리하는 것인데 한때 불법에 귀의하여 광명신(光明神)이 되었으나, 본래 자신의 원을 지킨다 하여 금비라신(金毘羅神)이라고 칭하기도 한다.[15]

사천왕상

우리나라에서 사천왕상이 만들어진 때는 사천왕 신앙이 수용된 600년경을 전후해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크게 성행한 것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던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당시의 명장(名匠) 양지(良志)가 영묘사(靈廟寺)에 사천왕상을 조성하였고, 이어 사천왕사도 건립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16]

예로부터 한국의 사찰에서는 일주문(一柱門)과 본당 사이에 천왕문을 세워, 그림으로 또는 나무로 깎아 만든 사천왕의 조상(彫像)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다.[17] 이는 부처님이 계신 법당으로 오르는 중턱에서 불보살의 세계를 옹호하고 사찰에 들어서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18]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 사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불교입문』, (주)조계종출판사, 2016, 55쪽.
  3. 강민기, 강현숙, 윤희상, 이선재, 이숙희, 장경희,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2014, 168쪽.
  4. 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
  5.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사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7. 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
  8.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9. "사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0. 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
  11.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2. "사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3. McArthur, Meher, Reading Buddhist Art, London: Thames & Hudson, 2002, p.64
  14.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인명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사천왕", 미술대사전(인명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5. "사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6. "사천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7. "사천왕",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18.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불교입문』, (주)조계종출판사, 2016, 5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