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왕실남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기타)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필드수= 7 | |필드수= 7 | ||
}} | }} | ||
− | ==정의== | + | =='''정의'''== |
− | + | [[대례복]]인 [[면복]] 일습 중 상체에 입는 옷이다. | |
− | == | + | =='''내용'''== |
− | + | ==착용신분=== | |
− | + | [[황제]], [[왕]],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이 착용 하였다. | |
− | |||
===착용상황=== | ===착용상황=== | ||
− | + |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착용 하였다. | |
− | === | + | ===복식구성=== |
− | + | 직물의 온폭을 사용해 만들어 바름[正]을 취한다. 소매도 둥글게 할 수 없어 거의 직각이 되고, 손이 나오는 곳인 수구는 1척 2촌을 남겨두고 가선을 두른다. 의는 검은색으로 하늘을 상징한다. | |
− | + | ||
− | + | '''무늬''' | |
− | + | *[[황제]]: 일, 월, 성신, 용, 산, 화충을 그림. | |
− | + | *[[왕]]: 용, 산, 화, 화충, 종이를 그림. | |
− | + | *[[왕세자]]: 화, 화충, 종이를 그림. | |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의(왕실남성)01.jpg|전 고종 의(앞면).<ref>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파일:궁중기록화 복식 의(왕실남성)01.jpg|전 고종 의(앞면).<ref>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f> | ||
45번째 줄: | 43번째 줄: | ||
===기타=== | ===기타=== | ||
− | + | '''상징'''<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05~106쪽.</ref> | |
− | + | 생식기만 가리던 인간은 사회가 발전하고 추위를 막을 필요가 생기면서 상의가 출현 했다. {{교열|생식기만 가리던 인간은 사회가 발전하고 추위를 막을 필요가 생기면서 상의가 출현 했다.|너무 원론적인 이야기 아닌가요...?|정주영}} | |
− | ==관련항목== | +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항목A!!항목B!!관계 | !항목A!!항목B!!관계 | ||
77번째 줄: | 75번째 줄: | ||
− | ==주석== | + | =='''주석'''==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식]] | [[분류:복식]] |
2017년 5월 22일 (월) 23:23 기준 최신판
의(衣)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의(衣) |
---|---|
이칭별칭 | 상의(上衣) |
착용신분 | 왕실 |
착용성별 | 남성 |
정의
내용
착용신분=
착용상황
국가 의례, 혼례 등의 대례복을 입을 때 착용 하였다.
복식구성
직물의 온폭을 사용해 만들어 바름[正]을 취한다. 소매도 둥글게 할 수 없어 거의 직각이 되고, 손이 나오는 곳인 수구는 1척 2촌을 남겨두고 가선을 두른다. 의는 검은색으로 하늘을 상징한다.
무늬
기타
상징[5] 생식기만 가리던 인간은 사회가 발전하고 추위를 막을 필요가 생기면서 상의가 출현 했다. 생식기만 가리던 인간은 사회가 발전하고 추위를 막을 필요가 생기면서 상의가 출현 했다. ☞ 너무 원론적인 이야기 아닌가요...? (정주영)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
황제 | 의(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왕 | 의(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왕세자 | 의(왕실남성) | A는 B를 착용한다 |
의(왕실남성) | 대례복 | A는 B의 부분이다 |
참고문헌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朝鮮時代 王世子 冕服」, 『한국복식학회지』 18권, 1992.
- 金明淑, 「朝鮮後期 冕服의 變遷-國葬都監儀軌 服玩圖設을 통한 考察-」, 『한국복식학회지, 7권,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은진, 조효진, 「조선말기 왕실복식 소재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권 3호, 한복문화학회, 2008.
- 이혜경,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4권 4호, 한복문화학회, 2001
- 인윤실, 「조선왕조시대 금박에 관한 연구」, 『복식』 2권, 한국복식학회, 1978.
- 전혜숙, 「면복의 십이장문에 관한 연구-상징의의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규순, 「황제와 황후의 복식 어떻게 변화했나」,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