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여머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
Monica-jang (토론 | 기여)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이칭별칭= | |이칭별칭= | ||
|복식구분= 수식 | |복식구분= 수식 | ||
−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 + | |착용신분=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성별= 여성 | |착용성별= 여성 | ||
|관련복식= [[원삼]], [[떨잠]], [[다리]] | |관련복식= [[원삼]], [[떨잠]], [[다리]]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착용상황=== | ===착용상황=== | ||
− | + | 조선후기 사진자료들을 보면 [[원삼]]을 착용할 때 어여머리를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 |
− | |||
===형태=== | ===형태=== | ||
− | + | 어여머리를 할 때에는 뒤통수에 쪽을 지고 앞머리에는 아청색 공단에 솜을 두어 만든 [[어염족두리]]를 쓴 후 그 위에 굵게 땋아 만든 큰 [[다리]]를 쪽 밑에서 어염족두리 위로 얹어 화려한 옥판이나 화잠으로 장식한다. 이처럼 어여머리를 할 때에는 어여머리용 다리를 받치기 위해 뒤통수에는 쪽을 지고 비녀를 꽂게 되는데 이를 또야머리라고 한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ref> | |
− | |||
===기타=== | ===기타=== | ||
− | + | 어여머리는 [[큰머리]]에 버금가는 예장용으로, 궁중이나 반가의 부녀자들이 하였고 상궁은 지밀상궁만이 하였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ref> | |
−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4번째 줄: | 41번째 줄: |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PAGENAME}}'''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
|- | |- | ||
− | |'''{{PAGENAME}}''' || [[ | + | |'''{{PAGENAME}}''' || [[원삼]] || A는 B에 착용한다 |
|- | |- |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PAGENAME}}'''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2017년 5월 20일 (토) 15:25 판
어여머리 () |
|
[[file:|360px|thumb|center|]] | |
대표명칭 | 어여머리 |
---|---|
착용신분 | 황후, 황태자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외명부, 궁녀 |
착용성별 | 여성 |
목차
정의
조선시대 상류층 부인들이 예장용(禮裝用)으로 하던 머리 모양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왕실 여성 및 상류층 부녀자들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조선후기 사진자료들을 보면 원삼을 착용할 때 어여머리를 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형태
어여머리를 할 때에는 뒤통수에 쪽을 지고 앞머리에는 아청색 공단에 솜을 두어 만든 어염족두리를 쓴 후 그 위에 굵게 땋아 만든 큰 다리를 쪽 밑에서 어염족두리 위로 얹어 화려한 옥판이나 화잠으로 장식한다. 이처럼 어여머리를 할 때에는 어여머리용 다리를 받치기 위해 뒤통수에는 쪽을 지고 비녀를 꽂게 되는데 이를 또야머리라고 한다.[2]
기타
어여머리는 큰머리에 버금가는 예장용으로, 궁중이나 반가의 부녀자들이 하였고 상궁은 지밀상궁만이 하였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
어여머리 | 왕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어여머리 | 왕세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어여머리 | 왕세손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어여머리 | 원삼 | A는 B에 착용한다 |
어여머리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
-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513쪽.